d라이브러리
"줄"(으)로 총 6,865건 검색되었습니다.
- 천문학계 노병, 우주에 잠들다과학동아 l2021년 01호
- 지난해 12월 1일, 57년간 천문학자들의 눈이 돼 주었던 아레시보천문대가 부서졌다. 그보다 앞선 1월엔 16년간 활동해온 스피처우주망원경과의 신호가 끊겼다. 이들은 각기 활동한 ... 저물고 있지만, 그 뒤를 잇는 후임이 빈자리를 메우며 우주를 응시하는 인류의 눈이 돼 줄 것이다 ... ...
- [긱블X과학동아] 마술 마이크스탠드과학동아 l2021년 01호
- 안성맞춤입니다.이제 모든 기계 요소가 완성됐으니, 이를 마술처럼 블루투스로 작동시켜줄 전자 파트 담당 민바크 님이 나설 차례입니다. 이번에도 역시 전자 파트는 전문적인 지식(재미없는)으로 가득합니다. 우선 블루투스 모듈로 HC-05 모델을 사용했습니다. 조금 더 최신 모델인 HC-06도 있지만 이 ... ...
- [이달의 책] 당신의 표정을 진화로 설명하다과학동아 l2021년 01호
- 누워서 자기 목덜미를 쓰다듬어주는 걸 특별히 좋아하는데, 내가 목덜미를 살살 긁어줄 때마다 뒷발을 허공에 휘적인다. 마치 뒷발로 긁는 것처럼 말이다. 이런 행동은 모든 고양이에게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일종의 본능인데, 기분이 좋다는 의미다. 이런 날은 ‘츄르’ 같은 간식을 주지 않아도 꼭 ... ...
- [슬기로운 동물원생활] 청주동물원에 찾아온 손님들, 붉은여우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1호
- 모를 원하지 않는 출산을 막아 여우의 수를 적정하게 유지하고, 쾌적한 공간을 확보해 줄 수 있습니다. 2020년 12월 여우들의 러브 하우스 대변신 -청주동물원에는 김서방을 포함해 총 11마리의 붉은여우가 살고 있습니다. 여우들의 건강한 생활을 위해 환경부의 지원을 받아 2020년 8월부터 여우사를 ... ...
- [만렙! 디지털 리터러시] 0과 1로만 이루어진 세상이 있다고?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1호
- 180제타바이트까지 증가된다고 했지요.그래서 디지털에 대해 잘 알고, 올바르게 사용할 줄 아는 능력인 ‘디지털 리터러시’를 기르는 일이 중요해요. 단어를 알아야 문장을 이해할 수 있는 것처럼, 디지털 기술을 알아야 다른 사람과 협력하고 디지털 자료를 만들어내는 등 현대 시대를 ... ...
- [과동키즈] 만화가와 곤충학자 사이과학동아 l2021년 01호
- 지질박물관의 고생대 바닷속을 복원한 4m짜리 복원도 2장을 그렸다. 일주일이면 충분할 줄 알았는데, 무려 4주가 걸렸다. 해백합 하나를 그리더라도 바다와 강이 만나는 부분, 해수면의 잔잔함 정도 등을 토대로 해백합이 휘어져 있는 정도와 먹이를 섭취하는 구조를 최대한 사실적으로 그려내야 했기 ... ...
- [특집] 세상을 말하는 숫자 빅데이터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01호
- 후후…, 앞에서 김민형 교수님이 얘기한 알쏭달쏭한 수수께끼에 바로 답이 있군! 최고의 수는 세상 어디에나 있지. 우리 주변의 모든 것이 수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거든. ... 이용하는 사람은 거짓말을 만들어낼 수도 있어요. 진실과 거짓을 구분하기 위해서는 숫자를 읽을 줄 알아야 해요 ... ...
- [똥손 탈출! 박 기자의 수학 체험실] 허니콤 종이로 감사의 마음을 전해요!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01호
- 많은 방을 만들 수 있답니다. 또한 빈틈이 없어 아주 튼튼하죠. 벌들이 수학을 이용할 줄 안다니! 이 사실을 발견한 사람들은 벌집 모양을 실생활에 응용하기 시작했답니다. 대표적인 예가 시속 최고 330km로 달리는 고속열차 KTX 운전석 앞부분에 있는 충격 흡수 장치예요. 기차가 아주 빠른 속도로 ... ...
- [수콤달콤 놀이연구소] 도전! 10 만들기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01호
- 놀이 연구소에 온 여러분에게 재미있는 게임을 하나 알려줄게요. 덧셈, 뺄셈만 할 줄 알면 즐길 수 있는 카드 게임이에요. 수콤이와 달콤이가 정한 규칙대로 해도 되고, 여러분만의 규칙을 만들어 추가해도 좋아요. 게임을 더 재밌게 할 수 있는 새로운 규칙이 있다면 ‘어과수’ 홈페이지에서 다른 ... ...
- [과학용어 따라잡기] 화석, 항체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1호
- 단백질 같은 유기물 등을 모두 화석으로 여기죠.화석은 지구와 고생물의 역사를 밝혀줄 보물이에요. 수천만 년 이상 암석 속에 숨어 있던 화석은 과거에 살았던 생물의 진화 순서를 파악하는 실마리가 돼요. 또 지층마다 각 시대를 살았던 생물의 화석이 남아 있어 과거에 살았던 동물의 실체뿐 ... ...
이전929394959697989910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