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종이"(으)로 총 2,684건 검색되었습니다.
- 컴컴한 눈 대신 마음으로 연구 시각장애 뛰어넘은 수학자들수학동아 l2015년 04호
- 두 가지 능력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하나는 ‘암산’을 잘 하는 것이다. 공식을 일일이 종이에 쓰면서 계산할 수 없기 때문이다. 하지만 모랑은 암산을 잘 못했다. 그 대신 그는 두 번째 능력인 ‘공간적 상상력’이 뛰어났다. 직선이나 곡선이 회전하면 어떤 도형이 되는지, 그 도형을 변형하면 ... ...
- [화보] 티끌 모아 예술!수학동아 l2015년 04호
- 사연이 무색하게 많은 책들이 버려져 갈 곳을 잃고 있다. 재활용 과정을 통해 새 종이로 탄생하기도 하지만, 헌 책은 ‘천덕꾸러기’가 되기 일쑤다. 그런데 최근 이 천덕꾸러기들에게 새 생명을 불어넣는 움직임이 포착됐다! 여기 낡은 책을 모아 ‘예술 소재’로 활용하는 아티스트가 있다. 미국 ... ...
- [지식] 네 번째 요리 누구보다 빠르게 남들과는 다르게, 로그와 햄버거수학동아 l2015년 04호
- 계산기가 없던 옛날에는 어땠을까요? 그땐 지금보다 작은 숫자만 썼을 테니, 연필과 종이로도 충분했을까요? 그렇진 않았습니다. 아주 오래전부터 큰 숫자에 시달려온 분야가 있었으니, 바로 천문학입니다. 지금도 ‘천문학적’이라는 단어는 ‘엄청나게 크다’라는 뜻으로 통하고 있죠. 고대에는 ... ...
- [Knowledge] 달리기 명수 타조공룡과학동아 l2015년 03호
- 펠레카니미무스(스페인)나 셴조우사우루스(중국)가 타조공룡에서도 가장 원시적인 종이기 때문이다. 몽골에서 발견된 하르피미무스는 조금 더 역사가 짧은데, 위 두 공룡과 거의 비슷하게 원시적인 특성을 보이고 있다. 이들이 타조공룡의 초기 종들이다. 이후 타조공룡은 중국(시노오르니토미무스, ... ...
- PART3. 4D 프린팅의 마술과학동아 l2015년 03호
- 3D 프린터를 이용하지 않았지만 3년 뒤에는 몸체에 형상기억합금과 전기회로를 내장한 종이접기 로봇을 3D 프린터로 제작했다. 전기를 흘려 열을 내면 형상기억합금이 움직이면서 개구리 모양으로 스스로 변신한다(사진). 차 디자인, 내 기분 맞춰 달라진다 이들에 질세라 스카일러 티비츠 MIT 교수도 ... ...
- [화보] 모자이크 컬처 식물의 우아한 변신수학동아 l2015년 03호
- 법한 아름다운 자태는 ‘모자이크 컬처’라는 새로운 예술로부터 시작됐다. 여러 빛깔의 종이나 타일을 조각조각 붙여 하나의 예술 작품으로 탈바꿈하는 모자이크 기법을 다양한 종류의 식물을 심는 데 적용한 것이다. 마다가스카르의 대표 동물 여우원숭이부터 소설 속 주인공까지, 웬만한 꽃보다 ... ...
- [참여] 혼자만의 상상이 모두의 눈앞에 국립과천과학관 무한상상실수학동아 l2015년 03호
- 되요. 테이프를 이용해 자신만의 멜로디 카드를 만들어 보세요.”기자단은 초록색 종이 위에 이리저리 테이프를 붙어가며 자신만의 멜로디 회로를 만들기 시작했다. 처음에는 생각대로 소리가 나지 않았다. 박 디자이너는 납땜을 하면 전기가 더 잘 통해 소리가 잘 나올 거라고 알려줬다. 기자단 ... ...
- 보물을 찾아라! 두근두근 동굴탐험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3호
- 촬영했어요. 문화재청에서는 이 물고기 다시 조사한 결과, 바다에 사는 미끈망둑의 일종이라는 것을 알아내 지난해 발표했지요. 미끈망둑은 전세계에 17종, 우리나라에서는 7종이 서식하는 물고기예요. 다만 호수에서 발견한 미끈망둑은 그 어떤 물고기 하고도 생김새가 달랐어요. 머리가 크고 피부 ... ...
- 2015 태국탐사대, 치앙마이를 접수하다! 꽃보다 와이룬!수학동아 l2015년 03호
- 동물원으로 연간 70만 명 정도가 다녀간다. 동물은 7000여 마리가 살고 있고, 조류도 2000여 종이 따로 마련된 조류 공원에서 살고 있다. 또한 치앙마이 동물원의 나이트사파리는 싱가포르, 중국, 광저우에 이어 세 번째로 선보인 야간 동물원이다.3 매탕 강 래프팅태국 매탕 강 상류로 올라가 보트를 ... ...
- [생활] 수학 문제로 신에게 축복을 빌다 산가쿠(算額) 찾아 떠나는 일본여행기 2수학동아 l2015년 03호
- 게다가 보통 문제 풀이에는 많아야 5, 6개의 보조선이 쓰이는데, 산가쿠는 푸는 데 종이가 많이 필요할 정도로 복잡하다.특히 문제가 모호해서 풀기 어렵다. 대부분의 문제가 일본인이 일상에서 쓰는 보통 언어가 아닌 완전한 한문으로만 쓰여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평민 수학’임에도 현대의 ... ...
이전929394959697989910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