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구성
구조
기구
기관
제도
편성
시스템
d라이브러리
"
조직
"(으)로 총 2,887건 검색되었습니다.
수혈 받을 피, 미리 만들어 놓고 수술한다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7일자에 발표했다.바티아 교수팀은 혈액 생성에 관여하는 ‘OCT4’ 유전자를 사람의 피부
조직
에서 떼어낸 세포에 넣었다. OCT4 유전자는 피부 세포를 혈액 세포로 바꾸는 데 필요한 유전자 중 하나다. 이 결과 피부 세포는 혈액 세포의 전 단계 세포인 조혈전구세포로 바뀌었다. 이 조혈전구세포를 ... ...
통합적 추론 능력이 핵심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이러한 수화껍질은 기체 분자가 물 내에서 확산되는 데에 더욱 큰 하중을 부여한다. 호흡
조직
을 통해 가스 교환이 일어나게 하기 위해 공기나 물의 끊임없는 흐름을 만들 필요가 있다. 제시문 (나)에 언급된 공기의 유입량 Q를 증가시키거나, 공기 흐름의 저항 R을 작게 하기 위해선 공통적으로 ΔV를 ... ...
생명과학의 불 밝힌 유영숙 박사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않았다. 치열한 논문경쟁에서 뒤쳐지지 않도록 연구를 멈추지 않았다. 쥐의 뇌
조직
과 부신수질이라는 장기를 떼어내어 조절반응을 분석하는 연구를 할 때는 실험용 쥐를 직접 죽여야 하는 공포감을 극복해야만 했다. 박사후 연구원을 마친 뒤에는 대학교수, 연구원, 기업 연구원이라는 세 가지 ... ...
브누아 만델브로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경쟁에서 서서히 밀려나고 실적이 악화되면서 IBM은 왓슨 연구소에서 기초과학 연구
조직
을 정리했다. 1987년, 만델브로는 30년 만에 IBM에서 나와 예일대 수학과로 자리를 옮겼다.이곳에서 그는 애초에 그의 관심을 사로잡았던 가격변동 문제를 더욱 확장해 금융시장의 가격변동에 대한 연구에 ... ...
수학 배틀! 최강 도시를 가린다
수학동아
l
2010년 12호
올림피아드나 콩쿠르 같은 각종 국제대회는 대회 전 국가대표 선발전을 통해 뽑힌 각 나라의 최고 선수가참가합니다. 승리보다는 참가하는 데 의의가 있다는 올림픽마저도 각 나라에서 손으로 꼽히는 선수가 아니면 참가할 수 없습니다. 왜 국제대회는 언제나 국가대표에게만 기회를 주는 걸까요 ... ...
꿈의 대회 창시자는 나! 콘스탄티노프
수학동아
l
2010년 12호
하지만 교육부의 반대에 부딪혔고 결국 1980년 콜모고로프 교수를 중심으로 구성된
조직
위원회는 해산됐습니다.대신 콜모고로프 교수와 저는 모스크바와 상트페테르부르크 같은 도시 학생을 대상으로 새로운 경시대회를 만들었습니다. 이 대회가 바로 도시대항 국제수학토너먼트죠. 대회는 회를 ... ...
암은 과거에 없던 현대병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영국 맨체스터대의 로잘리에 데이비드 교수팀은 최대 3000년 전의 미라 수백 구에서 세포
조직
을 채집하고 특수 처리해 현미경으로 관찰했다. 연구진은 과거에는 외과수술이 거의 이뤄지지 않았으므로 악성종양인 암이 있었다면 흔적이 남아 있을 것이라 예상했다. 관찰 결과 수백 구 중 오직 한 ... ...
흑인 부모는 어떻게 백인 아기를 낳았을까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두께의 표피다. 바로 밑은 질긴 결합
조직
인 2mm 두께의 진피, 진피 밑에는 지방
조직
인 피하
조직
이 있다. 표피를 이루는 상피세포는 점점 딱딱하게 변하는데 이를 ‘각질화’라고 한다. 이렇게 변한 피부 세포를 케라티노사이트(Keratinocyte)라고 한다.피부 색깔은 바로 이 세포에 멜라닌 색소가 얼마나 ... ...
과학으로 담그면 행복한 겁니다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진행된 15~20일 경에는 영하 1℃ 부근, 즉 세균이 발효나 부패를 진행하기 어렵지만 채소의
조직
까지는 망가지지 않는 온도에서 김치를 보관하면 겨우내 계속해서 맛있는 김치를 먹을 수 있다. 김치냉장고의 ‘숙성’이나 ‘맛 지킴’ 기능 역시 이런 원리로 만들어진 것이다.만약 김치냉장고가 ... ...
불치병 콕 찍어내는 뇌단백질체 지도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있다.기초연의 박영목 박사와 유종신 박사는 2006년 11개국 20개 연구팀과 함께 인간 뇌
조직
을 질량분석기법으로 분석해 세계적인 단백질체 학술지 ‘프로테오믹스’ 9월호에 발표한 바 있다. 당시 과학기술부의 국제공동연구사업비로 3년간 매년 8000만 원을 지원받은 이 연구에서 박 박사와 유 ... ...
이전
92
93
94
95
96
97
98
99
10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