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인식"(으)로 총 3,632건 검색되었습니다.
- INTERVIEW 글로벌 기업 바짝 추격한다과학동아 l2015년 07호
- 사물인터넷 시대가 열리면 음성인식 기능이 모든 사물에 들어갈 겁니다. 조만간 음성인식 시장이 확 커질 거예요. 저희는 매일 행복한 비명을 지르고 있습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터미네이터는 없다] INTRO 인공지능 유토피아 vs. 디스토피아PART 1 인공지능 디스토피아는 없다PART 2 두 ... ...
- [과학뉴스] 빛 느끼려면 광자 몇 개가 필요할까과학동아 l2015년 07호
- 눈은 망막의 원추세포에 광자가 부딪히는 순간 빛을 인식한다. 그렇다면 빛을 볼 수 있으려면 최소 몇 개의 광자가 필요할까.정답은 2개다. 미국 일리노이대 물리학자 레베카 홀메스 박사는 양자광학에서 사용하는 광자 발생기를 이용해 이 같은 사실을 실험으로 확인했다. 연구팀은 실험 참가자들을 ... ...
- PART 1 인공지능 디스토피아는 없다과학동아 l2015년 07호
- 갖춰야 한다”고 밝혔다. 거울 속 자신의 모습을 인지하는 데서 더 나아가, 자기를 인식한 정보를 이용해 자신의 미래 계획을 세울 수 있어야 한다는 뜻이다.그렇다면 인공지능이 완벽한 자의식을 갖는 일은 아직 요원한 걸까. 영화 ‘터미네이터’에서는 복잡하게 연결된 인터넷 네트워크가 갑자기 ... ...
- 시계 또는 반시계? 노인 또는 젊은 여인? 아리까리한 그림의 비밀수학동아 l2015년 07호
- 실험을 비교하면 이 그림을 처음 봤을 때보다 두 번째 봤을 때 훨씬 빨리 또 다른 모습을 인식한 셈이다. 지먼 박사는 실험 결과를 그래프로 나타냈다.아주 작은 변화가 큰 변화로~지먼 박사는 그림 1, 2, 3과 7, 8처럼 그림이 남자 얼굴 또는 여인의 모습 한 가지로만 보이는 곳은 수학적으로 다른 ... ...
- 조곤조곤 풀어보는 문화재의 수수께끼 ④ 조선 왕릉 연구의 기틀을 닦다과학동아 l2015년 06호
- 실측 자료와 역 사 자료를 확보했습니다. 덕분에 지금은 이 아름다운 문화재에 대한 인식과 관심이 예전보다 월등히 높아 진 상태입니다. 물론 이 과정이 결코 쉽지는 않았습니 다. 제대로 된 사진이 없어서 먼저 사진 촬영부터 했습니다.사진도 부족한 마당이니, 왕릉을 구성하는 문 화재 하나하나에 ... ...
- 축복인가 재앙인가 유전자 가위 크리스퍼과학동아 l2015년 06호
- Finger)와 탈렌(TALEN)을 활용한 새로운 종류의 유전자 가위가 연구됐다. 하지만 이들 역시 인식서열이 10개 내외로 짧았고, 이렇게 짧은 서열을 자르기 위해서 수천 개가 넘는 유전자 가위 DNA를 새로 이식해야 했다. 배보다 배꼽이 더 큰 격이다. 이런 상황을 종식시킨 새롭고 강력한 유전자 가위가 2012년 ... ...
- 바야흐로 생체 인증의 시대!과학동아 l2015년 06호
- 생체 인증이 결제까지 이어질 순 없을까. 실제로 애플페이나 삼성페이는 스마트 폰 지문 인식을 이용해 결제가 가능하다. 하지만 문 제는 애플페이는 아이폰에서만, 삼성페이는 삼성전 자 모델에서만 가능하다는 점이다. 이 둘의 기술규격 이 다르기 때문이다. 그래서 구글, 비자&마스터카드, 페이팔, ... ...
- PART2. 현실 닮아가는 가상현실과학동아 l2015년 06호
- 훨씬 정확 하게 손과 팔의 움직임을 인식한다. 작년 6월 소비자 버전이 나왔다. 인식범위가 15m로 키넥트보다 훨씬 넓어 사용하기 편리하다.INSIDE | 시각을 넘어 ‘오감’으로 가상현실 만끽하자 2013년 우리나라에는 규모 2.0 이상의 지진이 93회나 발생했다. 지진 관측 사상 최다 기록으로 예년의 2배 ... ...
- 에볼라 No! ‘필로바이러스 관련 출혈열2’라고 불러과학동아 l2015년 06호
- 이름 때문에 특정 환자나 지역 주민들이 불쾌감을 느끼고, 특정 동물이 해로운 것처럼 인식되는 것을 막기 위해서다. 돼지독감, 리프트 밸리 열병, 크로이츠펠트-야콥병이나 원숭이 천연두가 이런 사례다. WHO는 증상(호흡기 질환, 수인성 설사 등)이나 환자의 특징(청소년, 산모, 계절성, 해안성 등), ... ...
- 착시 드레스 논란, 비밀 풀렸다과학동아 l2015년 06호
- 설문조사한 결과 ‘색 항상성’이 높은 사람일수록 드레스를 ‘흰-금’에 가깝게 인식한다는 결론을 내렸다. 색 항상성은 뇌가 사물의 색을 항상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주변 조명의 영향을 보정하는 특성이다. 즉 색 항상성이 높은 사람은 드레스를 대낮에 햇빛 아래에서 본다고 생각해, 햇빛에 ... ...
이전929394959697989910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