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완전
완비
천의무봉
완전무결
완성
마무리
극치
d라이브러리
"
완벽
"(으)로 총 2,300건 검색되었습니다.
로마 콜로세움엔 왜 아치문이 많을까?
수학동아
l
2011년 11호
지혜가 돋보인다.그뿐만 아니라 판테온은 미켈란젤로가 천사의 설계라고 극찬할 정도로
완벽
한 구조다. 판테온의 높이와 돔 내부의 원지름이 약 43.3m로 같다. 즉 판테온의 바닥에서 천정까지 꼭 맞는 구 하나를 끼워 넣을 수 있는 모양이다. 판테온 안으로 들어가면 벽에 장식된 조각상이 내뿜는 ... ...
[수학영재캠프] 가위바위보 효율 높이기
수학동아
l
2011년 11호
필요한 가위바위보 횟수는 1번이면 충분함을 보여라. 특히, 어떤 담합도 소용이 없는
완벽
하게 공평한 규칙을 만들 수 있음을 보여라.즐거운 고찰이 되었는가? 여기에 제시된 것 말고도 여러분 스스로 생각해낸 재미있는 질문이 있을지도 모르겠다. 그런 탐구를 즐기기 바란다. 또, 가위바위보가 아닌 ... ...
'요리왕' 링링의 꿈
수학동아
l
2011년 11호
”“맛뿐만 아니라 독특한 아이디어, 그리고 마음을 움직이는 무언가까지….
완벽
해.”심사위원의 심사가 끝나고 마지막 주제발표가 이어졌다.“마지막 주제와 문제입니다. 마지막 주제는 지금까지 만든 음식을 손님에게 대접하듯이 식탁에 올리는 것입니다. 문제는 앞에 차려진 음식을 보고 ... ...
뻥! 지구에 거대한 구멍이 뚫렸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10호
않은 싱크홀도 많아. 일부 싱크홀은 지하 공간이 무너져서 생겼다고 하기엔 구멍이 너무
완벽
한 원형이라는 점도 논란 거리지. 갑자기 꺼지는 땅이라니, 조금 무섭긴 하지만 이또한 지구의 신비로운 모습 중 하나란다 ... ...
포물선을 그리며 날아가는 것들… 신기전 vs ANGRY BIRDS
수학동아
l
2011년 10호
‘곡사’ 라 불리는 가공된 상상의 기술이기 때문에 이때의 화살이 그리는 궤적은
완벽
한 포물선은 아니다. 포물선의 아름다운 곡선은 비단 영화나 게임속에만 등장하지 않는다. 일례로 큰 공원에 세워진 분수에서 찾아볼 수도 있다. 이 원리는 다음과 같다. 분수의 급수라인에 연결된 노즐을 통해 ... ...
Part 3. ‘가장
완벽
한 이론’을 꿈꾸다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방정식’이다. 이들을 이용해 완성된 정교한 수학 모형은 물질 세계의 모습을 거의
완벽
하게 계산하고 예측한다. 하지만 이를 위해 양자역학은 상식으로는 도무지 이해할 수 없는 기묘한 성질을 도입해야 했다. 파트1에 나온 성질들이 그것이다. 이순칠 KAIST 물리학과 교수는 “양자역학의 해석은 ... ...
[knowledge] 고대 화장품은 현대 화장품과 다르다? 같다!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통의 뚜껑을 열면 크림을 떠내던 손가락 자국이 그대로 남아있을 정도로 보존상태가
완벽
하다. 영국 브리스톨대의 리차드 에버쉐드 교수팀이 이 크림의 내용물을 분석한 결과 녹말과 동물 지방이 각각 40% 정도 들어 있었다. 녹말은 지방의 번들거리는 느낌을 줄이기 위해 넣은 것으로 추정되는데, ... ...
“꼼꼼한 기출분석, EBS 교재 복습”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풀고 오답노트 만들어 반복해서 복습하는 것이 지구과학 1등급의 왕도다.그러나
완벽
하게 준비된 학생도 한 두 문제는 틀리기 마련이다. 실력이 있는 학생들이 어려운 문제는 정답을 골라내면서도 간단하게 답을 낼 수 있는 문제에서 실수하는 경우가 많다. 어려운 문제를 접하면 지문도 두 번, 세 번 ... ...
Intro. 양자역학과 춤을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과학동아가 정통 물리학 특집을 준비했다. 주제는 현대물리학의 대명사 양자역학. 원자의 핵 내부부터 우주, 일상의 휴대전화에서 상상 속의 공간이동장치까지 양자역학이 ... 춤을Part 1. 이랬다 저랬다 미스터리 양자월드Part 2. “불가능은 없다” 양자미션5Part 3. ‘가장
완벽
한 이론’을 ... ...
Part 2. “불가능은 없다” 양자미션5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뜻이다.]이런 사실을 계산을 통해 처음 보인 사람은 스티븐 호킹이다. 호킹은 먼저
완벽
히 진공인 우주를 가정했다. 그리고 그 안 어딘가에 있는 단 하나의 별을 가정했다. 이 별의 질량이 충분히 크면 일반상대성 이론에 따라 곧바로 블랙홀로 응축되고 지평선이 생긴다. 그러면 주변에 더 이상 ... ...
이전
92
93
94
95
96
97
98
99
10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