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마음속
마음
심리학
가슴속
뱃속
심리상태
상태
d라이브러리
"
심리
"(으)로 총 1,826건 검색되었습니다.
행복의 기술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서서히 침체돼가던 천혜의 섬은 ‘행복한 척’을 하면서 정말 행복한 낙원이 된다.
심리
학적으로 보면 이 원리는 바로 행동과 정서의 관계 때문이다.우리는 정서를 느끼고 행동을 하기보다, 자신의 행동을 보고 정서를 유추한다! 우울감이 있지만, 화장도 하고 바깥에 나가 친구들을 만나다 보면 ... ...
행복의 과학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틀린 거지요.”개인의 행복과 문화의 관계를 밝히는 연구를 주도해오고 있는 연세대
심리
학과 서은국 교수의 설명이다. 결국 한국에서 행복하게 살려면 개인주의 성향과 사회적 요구 사이에 줄타기를 잘하는 지혜가 필요하다. 어쩌다 한두 번은 눈을 질끈 감고 칼퇴근을 할 수 있지만 남들 다 ... ...
당신의 마음에 반창고를 붙여드려요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한다. 세 번째는 협상(bargaining)의 단계로 죽음을 관장하는 신과 타협하려는 비합리적인
심리
상태를 보인다. 의사에게 욕설을 퍼붓던 환자가 갑자기 고분고분해지거나 신앙에 의지하기도 한다. 이 경우 환자가 현실을 직시하도록 도와줘야 한다. 네 번째는 우울(depression)의 단계로 환자는 극도의 ... ...
매운 고추 먹고 땀 흘리는 이유?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전 세계가 고추에 빠져있다고 할 만 하다. 왜 이런 현상이 일어날까?미국 펜실베이니아대
심리
학자 폴 로진 교수는 고추의 매운맛으로 인한 통증은 예측이 가능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한다. 즉 처음 고추를 먹으면 그 얼얼함에 깜짝 놀라지만 몸에 별탈이 없다는 것을 경험하게 된다. 따라서 그 뒤에도 ... ...
고흐에겐 뭔가 특별한 것이 있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24호
수는 없지. 대신 작품을 보는 사람이 그림을 넓게 느끼도록 그리는 거야. 현대의 지각
심리
학자도 깜짝 놀라는 내 소실점의 비밀을 알려 줄게. 보통 그림을 보면 어느 한 점에 눈길이 멈추는데 이 점이 그림에 숨겨진 여러 선이 모이는 소실점이야. 선들은 나무나 밭고랑, 붓질의 방향 등을 따라 살짝 ... ...
까악~! 까마귀 자판기로 돈을 벌겠다고?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23호
모습. 이 장치는 유트브에 동영상으로도 소개되어 화제가 되었다. 스키너 상자미국의
심리
학자인 스키너가 고안한 실험장치. 상자 안쪽에 있는 지렛대를 누르면 먹이가 나오도록 만들어져 있다. 동물들은 먹이를 얻으려면 지렛대를 눌러야 한다는 관계를 학습하게 된다. 동물의 행동분석을 하는 ... ...
착각하는 뇌 너 믿어도 되니?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20호
의미다.착각이 아니라 가짜?뇌가 가짜 기억을 진짜로 믿기도 해. 미국 워싱턴대학교의
심리
학 교수 엘리자베스 로프터스 교수는 가짜 기억에 대한 실험을 했어. 24명의 사람들에게 어렸을 적 진짜 있었던 사건 두 가지와 쇼핑몰에서 길을 잃었다는 가짜 기억 한 가지를 적은 책을 읽게 했지. 그런 ... ...
2008년 4월, 한국인 우주에 간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18호
영어면접, 심층체력평가, 정신건강과 대인관계, 스트레스 관리능력 등에 대한 정신
심리
검사로 30명 선정!2007년 3월~2008년 2월러시아어 교육Счастливо(쉬스리바)! 는 러시아 말로‘행복하세요’야. 정말 생소하지? 어려운 러시아 어지만 러시아 우주인들과 대화하고 장비를 조작하려면 러시아 말을 ... ...
극비공개 괴물동물원 비밀노트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16호
나는야 괴물에 살고 괴물에 죽는 괴생괴사 괴구라 박사. 괴물을 연구한 지 100년 째 되는 날, 난 결심했어.온갖 괴물이 모인 괴물동물원을 만들어 내 이름을 온세상에 알리기로 말야!뭐? 불가능한 일이라구? 아니 이런 발칙한 것들이…! 감히 나의 연구를 무시하는 거냐? 좋아! 그럼 내가 이제껏 정리 ... ...
사이언스 시간여행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13호
1905년 프랑스 정부의 요청을 받고 젊은 의사 시몽과 함께 정신박약아를 구별하기 위한
심리
검사법을 발표했다. 비네와 시몽이 사용한 ‘정신연령’이라는 개념은 오늘날 지능지수(IQ)의 원형이 되었다1896년 7월 13일독일의 화학자 케쿨레 67세로 사망독일의 화학자로 화학구조를 많이 연구했다. ... ...
이전
92
93
94
95
96
97
98
99
10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