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교통
운행
수송
의사
생각
의견
마음
d라이브러리
"
소통
"(으)로 총 1,193건 검색되었습니다.
약물로 마음을 성형한다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풀기 위해서는 뇌지도가 필요하다. 과학자들은 뇌지도를 통해 정확하고 효과적인 의사
소통
을 할 수 있으며 기존의 연구성과를 토대로 현 지식체계를 발전시킬 수 있다. 뇌지도 위에 표현돼야 할 변수들은 신경세포의 구조, 화학물질의 성분, 뇌혈류의 분포, 대사율, 행동학적 정보, 병리적 정보 등 ... ...
1. 디자인으로 기업이 산다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반응을 보이는 이유를 알만도 하다. 그러면서도 원칙을 유지하고 끊임없이 주위와
소통
하는 것은 모두 일종의 생존 법칙인 셈이다. 디자인을 좀더 쉽게 도와주는 첨단기술에 의존하기도 한다.히트작은 단순히 영감의 산물은 아닌 것이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디자인이 기술을 리드한다 1. ... ...
“대중 없이는 의학도 없다”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컴퓨터의 등장과 함께 의학 정보의 전산화에 힘써왔다. 컴퓨터를 이용한 의학 지식의
소통
에 일찍부터 눈 떴던 것이다.도서관이 운영하는 대표적인 인터넷 서비스 ‘펍메드’(PubMed)는 세계 보건 의학의 지식 창고로서 NIH의 역할을 다시 한번 확인해준다. 현재 1200만건 이상의 각종 의학문서와 4000종 ... ...
컴퓨터 그물망이 지능을 창조한다
과학동아
l
2005년 01호
‘뭔가 이상한데···. 뭘까.’인터뷰를 위해 교수실에 들어선 순간 기자는 중요한 무엇이 빠져있다는 느낌을 지울수 없었다. 가운데 테이블이 있고 벽에는 책장, 한쪽에 ... 하기 때문입니다.”21세기는 네트워크컴퓨팅의 그물이 사람과 사람, 사람과 사물을
소통
시키는 시대라는 것이다 ... ...
10. 아인슈타인 해 맞아 '빛의 제전' 열린다
과학동아
l
2005년 01호
알려진 이유는 그의 이론이 복잡하다는 것도 있지만 부분적으로는 일반인과의
소통
에 실패했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과학대중화를 위한 멀티미디어 진흥을 위해 지난 1996년 처음 제정된 피렐리상 위원회도 “올해는 특수상대론을 일반인들에게 가장 쉽게 설명할 수 있는 멀티미디어작품을 ... ...
부엌에서 부는 IT혁명
과학동아
l
2005년 01호
뜻한다. 제품 표면이나 아예 소재 안에 들어가는 이 장치는 인간과 물체, 물체 간 의사
소통
에 반드시 필요한 매개체다. 또한 물체의 상태를 스스로 점검하는 센서 역할을 하기도 한다. 저장중인 음식의 종류와 수량을 보여주고 음식물이 떨어지면 혼자서 척척 주문하는 지능형 냉장고는 바로 ... ...
도쿄국제판타스틱 영화제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통해 발굴한 영화들을 보여주는 영화제야만 관객들의 호응을 얻을 수 있다. 영화제와
소통
한 관객들은 다시 영화제를 지속시키는 힘이 되어준다. 그래서 우리는 ‘600초’를 통해 새로운 재능을 발견하고 관객과 함께 호흡해 나가려 한다.” 시오다 도키토시 집행위원의 말처럼 영화제도 결국 ... ...
슈퍼맨은 정말 가능할까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등장한다). 공상과학소설 작가와 만화가로 활동하는 두 저자는 이 책으로 지난해 의사
소통
전문가협회에서 2개의 상을 받았다.저자는 슈퍼맨이 보통 지구인보다 1000배나 힘이 세다고 지적한다. 중력의 차이로 슈퍼맨의 힘을 설명하려면 크립톤 행성은 지구보다 1000배나 중력이 세야 한다. 그러나 ... ...
3. 손의 비대칭은 인류 진화의 원동력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callosum)좌우 대뇌반구가 연접된 부분으로 신경섬유의 큰 집단이다. 좌뇌와 우뇌의 의사
소통
통로다. 뇌량이 절단된 사람은 정보를 제대로 처리하지 못해 과제를 수행하는데 어려움을 겪는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우주와 생명 탄생의 숨은 코드 비대칭 1. 우주는 왼손잡이 물질이 지배하는 ... ...
사이언스와 미 과학재단 선정 올해 최고의 과학기술 이미지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발표했다.‘열번 듣는 것보다 한번 보는 게 낫다’ 는 우리말 속담도 있듯 이미지는 의사
소통
의 효율적인 수단이다. 하지만 현재 과학자들은 자신의 연구를 눈에 보이도록 하는데 점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두 기관은 “과학기술의 시각화의 중요성을 인식시키기 위해 대회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 ...
이전
92
93
94
95
96
97
98
99
10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