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결과
실적
결말
성적
결실
결정
소산
d라이브러리
"
성과
"(으)로 총 2,600건 검색되었습니다.
제10회 ‘올해의 여
성과
학기술자상’ 발표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아직까지 국내 과학자 중 여성의 비율은 13%밖에 안 된다”면서 “앞으로 젊은 여
성과
학기술인의 멘토로서 우수한 인재들을 키워 우리나라가 과학 선진국으로 발전하는 데 기여하고 싶다”고 포부를 밝혔다 ... ...
인공태양 빛낼 플라스마의 꿈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1995년이었어요. 당시 미국과 러시아, 유럽, 그리고 일본이 주도하고 있던 핵융합 에너지 연구에 갑자기 우리나라가 도전장을 내고 뛰어들었어요. 미국 학자들은 물론 저조차도 ... 더 많은 기회가 잇다. 특히 공부나 연구를 시작하는 학생은 새로운 분야에서 더 큰
성과
를 거둘 수 있다. ... ...
바이오 이종 장기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돼지의 신장, 심장, 간, 폐 등을 이식한 결과 이식 거부반응이 수일에서 수개월 지연되는
성과
를 얻고 있다.이식수술 방법이나 환자의 면역력을 높이는 기술은 완성단계에 와 있다. 돼지가 태어날 때부터 염색체에 갖고 있는 레트로바이러스 (PERV)는 이론상으로 미리 제거할 수 있으며, 염려했던 ... ...
과학동아 특집 ‘코리아노사우루스’ 정식 학명 됐다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과학동아의 특집 제목이 공룡의 정식 이름이 됐다. 본지 2005년 7월호 공룡 특집의 제목이었던 ‘코리아노사우루스’가 최근 한국에서 발견된 신종 공룡의 공식 학명 ... “화석에서 DNA를 뽑아내는 게 굉장히 어렵지만 한국 공룡을 통해 세계적인 연구
성과
를 내고 싶다”고 포부를 밝혔다 ... ...
노벨상 수상자들의 국적을 묻다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만큼 가톨릭계의 반대가 심하다. 하지만 위원회는 400만 명의 새 생명을 탄생시킨 의학적
성과
를 높이 평가해 에드워즈 교수를 수상자로 선정했다.한편 기초과학(화학상)과 응용과학(생리의학상), 이미 상용화된 기술(생리의학상)과 연구 초기 단계인 기술(물리학상)이 고루 선정돼 작년에 이어 일상 ... ...
한국 인공태양 핵융합 리더가 되다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똑같은 니오븀주석합금(Nb3Sn)을 이용한 것은 KSTAR뿐이다. 따라서 KSTAR가 이룩한 운영
성과
는 ITER의 성공에 대단히 중요하다.두 번째 이유는 막대한 재원과 긴 시간이 필요한 핵융합에너지 연구만의 특성이다. ITER의 전체 건설 비용을 계산하면 10조 원이 훌쩍 넘어간다. 한 국가가 모두 내기엔 지나치게 ... ...
탄탄한 기초가 가져온 빛의 미래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나노포토닉스 소자와 홀로그래픽 3D 디스플레이를 연구하고 있다. 연구실에서 얻은
성과
를 바탕으로 연구의 비전과 방향을 올바르게 설정하고 구체화하기 위해 기초 연구에 충실히 임하고 있다. 필자를 비롯한 연구실 졸업생들은 이러한 철학을 바탕으로 다양한 분야에서 최선을 다해 활동하고 있다 ... ...
“세계 비소 오염 우리가 책임집니다”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2차 환경 오염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국제화된 연구실, 자유로운 분위기 속 높은
성과
유학생이 많다보니 토양환경연구실은 국제화 분위기가 넘쳐난다. 김 교수는 “기본적인 대화도 영어로 하고 세미나도 물론 영어로 합니다. 자연스럽게 영어에 대한 두려움이 없어진다는 장점이 있죠. 다양한 ... ...
인공 난소 개발…암 환자 불임 치료길 열리나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사람의 난소와 같은 기능을 하는 조직을 만드는 데 성공했다고 9월 14일 밝혔다.이 같은
성과
는 제프리 모건 브라운대 의공학과 교수가 개발한 3차원 세포 배양기술 덕분이다.모건 교수는 2009년 자신이 개발한 3차원 배양접시에 세포를 넣어 복잡한 형태를 띠도록 배양하는 데 성공했다. 세포의 크기와 ... ...
긍정의 힘으로 만든 나노 고분자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보통 기술이 아니다”고 말하는 장 교수의 눈에 자랑스러움이 묻어나왔다.장 교수팀의
성과
는 고분자에서는 나노입자를 만들 수 없다는 기존의 학설을 뒤집는 결과여서 더욱 의미가 깊다. 사실 장 교수가 실험을 하는 동안 같은 방법으로 실험한 결과를 먼저 발표한 곳이 있었다. 그 연구팀은 ... ...
이전
92
93
94
95
96
97
98
99
10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