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사고"(으)로 총 4,030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고리 1호기] 시작과 끝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6호
- 10년 더 전기를 생산해 왔어요. 하지만 2011년 일본 대지진으로 후쿠시마 원자력 발전소 사고가 일어났어요. 이후 우리나라에서도 원자력 발전소의 안전성에 대한 국민들의 관심이 높아졌지요. 2015년, 정부는 고리 1호기의 두 번째 연장 운전을 검토했고, 지역 주민들의 요청에 따라 영구 정지를 ... ...
- Part 1. 로봇이야, 물고기야? 로보피시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5호
- 원자로를 더 이상 냉각할 수 없었고, 그 결과 열을 견디지 못한 원전이 녹아내린 거예요.사고가 난 뒤, 원자로 격납고 내부는 몇 초 안에 사람이 죽을 정도의 높은 방사능 수치를 나타내기 시작했어요. 이에 일본 과학자들은 사람을 대신해 원전에 들어갈 로봇을 개발하기 시작했지요. 후쿠시마 원전 ... ...
- Part 2. 인어가 나타났다! 로봇인어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5호
- 수학자를 비롯해 많은 과학자들이 함께 했답니다.그러니 주변에 관심을 가지고 과학적인 사고력을 길러 보세요. 또 요즘은 아두이노처럼 공학으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도구가 많으니 이런 방법을 활용한다면 더욱 도움이 되리라 생각해요.사실 저도 어렸을 때 를 보며 과학자의 꿈을 키웠어요. ... ...
- Part 3. [변신 3단계] 수박으로 움직이는 자동차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중학생이 된 이후 와 를 읽었고요. 실제로 이 책을 보면서 과학적인 사고 방식을 익히고 배경 지식을 얻은 게 큰 도움이 됐어요. 과학책을 읽다가 수박씨를 활용할 아이디어를 떠올렸던 것처럼요. 친구들도 책을 읽다 떠오르는 아이디어가 있다면 두려워하지 ... ...
- Part 2. AI, 인공신경망으로 뇌 뛰어넘나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있다. 다른 생체 정보에 비해 시시때때로 등록해야 해 번거롭다. 홍채, 혈관 등은 특별한 사고를 당하지 않는 한 한 번 정보를 등록하면 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한번 저장해 놓으면 수십 년이 지나도 주인을 분간한다. 하지만 얼굴은 나이가 들면서 주름이 생기는 등 물리적인 변화가 나타난다. ... ...
- [Future] 남극 펭귄 ‘제니’ 관찰카메라 24시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카메라를 가져온 뒤에는 새끼들이 집단으로 죽는 일은 생기지 않았어. 하지만 이런 대형사고는 예고 없이 갑자기 발생하기 때문에 자동모니터링카메라 시스템으로 꾸준히 감시하는 게 좋대. 펭귄 보호용 연구 필요수십 년 동안 많은 학자들이 우리를 연구했지만, 아직 궁금한 게 많은가 봐. ... ...
- 다~ 드루와! 다트의 세계로!수학동아 l2017년 12호
- 뽑힌 조광희 선수를 수학동아가 만나봤습니다. 놀랍게도 조광희 선수는 몇 년 전 사고로 식물인간 판정을 받았어요. 지팡이를 쥔 채 다트로 재활운동을 시작한 뒤, 프로 다트 선수가 됐다는 조광희 선수의 인터뷰를 공개합니다. 프로 다트 선수가 된 계기가 무엇인가요?처음에는 재활운동을 하려고 ... ...
- [Issue] 동물정신과 측면에서 본 공격성과 치료과학동아 l2017년 12호
- “평생 개를 키워서 웬만한 개는 훈련시킬 수 있다고 생각했어요. 그런데 이 아이는 도저히…, 사람을 물기까지 하더군요. 유명한 훈련사에게 데려갔는데 초크체인(올가 ... 사람과 개를 만나는 사람이 조금만 이해하고 행동하면 예방할 수 있다. 다시는 안타까운 사고가 없길 바랄 뿐이다 ... ...
- ‘나노영챌린지 2017’ 6개월 대장정 막 내려과학동아 l2017년 12호
- 부산대 팀은 나노선을 이용해 3차원 저항 변화 메모리 소자를 만들었다. 사람 뇌의 사고 과정을 모방한 반도체인 뉴로모픽(Neuromorphic) 칩에 사용할 수 있다. 또 다른 우수상인 한국과학창의재단이사장상은 한국산업기술대 학부생들에게 돌아갔다. 이들은 전류로 ‘on’ ‘off’를 조절하는 기존 ... ...
- [Culture] 새 책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조건이 필요치 않다. 꼭 대학에서 강의를 듣지 않더라도, 이런 교양서를 통해 과학적 사고방법을 터득할 수 있다. 과학과 자연에 좀더 흥미를 갖게 된다면, 이미 첫 걸음을 내디딘 셈이다. 다른 과학 분야보다 물리학이 어렵다는 오해가 만연하다. 누구는 수학 공식이 많아서라고 하고, 또 다른 이는 ... ...
이전929394959697989910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