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아이팟나노
아이팟
쥐샥
아이팟 나노
아이팟나mp3
아이팟나노 4
아이팟나노 512
d라이브러리
"
나노
"(으)로 총 1,438건 검색되었습니다.
로봇이 부드러워진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17호
이렇게 늘어나도 전기를 흐르게 하는 성질은 전혀 떨어지지 않아요. 특히 탄소
나노
튜브를 이용해 만들어 로봇의 피부에 도 쓰일 만큼 충분히 유연하다고 해요.소메야 교수팀은 이번에 개발한 소재를 이용해 로봇의 피부를 만들 계획이라고 해요. 여기에 압력과 온도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를 넣으면 ... ...
컴퓨터에 한강이 들어왔네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입학했는데 아빠가 하는 연구는 어렵고 재미가 없다며 전공을 바꾸더라”면서도 “IT나
나노
기술처럼 연구 내용이 화려하진 않지만 국가에 꼭 필요한 기반기술이란 점에서 사명감과 보람이 크다”고 말했다.그는 지난해 데이비스 소재 캘리포니아대에 6개월 동안 교환교수로 지내면서 한국보다 ... ...
무선전력 송신의 꿈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에너지를 공급하는 부분이 필요하다. 그러나 이 부분을 부착하면 마이크로머신이라든가
나노
바이오로봇이라는 이름이 무색하게 기계의 부피는 커질 것이다. 여기에 와이트리시티 기술을 활용해 외부 자기장에 공명할 수 있는 소형화된 연료 공급장치를 장착하면 그 크기를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다 ... ...
넌 유학 가니, 난 유망학과 간다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생긴 ‘정문술 파이오니어 프로그램’이다.경원대 바이오
나노
대학 바이오메디컬 전공과
나노
시스템 전공도 융합학과로 주목받을 만하다. 수능 1.8등급 이상의 합격생에게 4년간 전액 장학금과 학업보조비 월 30만 원씩 지급하고 정시 최초 합격자 전원에게 1년간 학비를 면제해준다. 학장인 장창현 ... ...
나노
벽으로
나노
건축물 만든다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물론 관찰된 현상을 설명해주는 이론연구도 병행해야겠지요.” 이 단장은 논문에 실린,
나노
벽이 만든 저널 이름 ‘Advanced Mate-rials’를 가리키며 강한 자신감을 내비쳤다. 대학에서는 연구보다 교육이 먼저◀ 이규철 단장“저희 실험실에서는 원칙적으로 밤 9시 이후에는 실험을 하지 못하게 ... ...
이공계 희망 쏘는 과학영재의 명문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조선대, 광산업연구소 등이 이들의 열정에 힘을 보태고 있다. 정 군은 “R&E 주제로 ‘금속
나노
구조의 공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를 진행했다”면서 “실험 결과를 두고 조원들과 의견 대립도 있었고 새벽까지 연구하느라 고생했던 기억이 남는다”고 말했다. 같은 조를 이뤄 실험에 참여했던 노 ... ...
[
나노
과학]탄소
나노
튜브가 그린 오바마 초상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형상이 나타난다. 하트 교수는 “
나노
바마는 재미뿐 아니라 탄소
나노
튜브를 비롯한
나노
구조물이 고성능 태양전지나 배터리, 기억소자 등에 쓰일 중요한 재료이기 때문에 이 연구에 대한 대중의 지지를 얻기 위한 작품”이라고 설명했다 ... ...
[생물물리]DNA 광섬유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가닥을 광섬유로 만들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전했다. DNA 광섬유는 지름이 불과 수 nm(
나노
미터, 1nm=10-9m)에 불과하며 길이도 20nm에 지나지 않기 때문에 광 컴퓨터나 인공 광합성 기술에 유용하다.연구팀은 DNA에 ‘크로모포어’ 분자를 이용해 DNA 광섬유를 만들었다. 크로모포어는 녹조류와 같은 ... ...
일본 과학기술 발전의 기둥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지원을 받는 연구실은 총 12곳이다. 지원받는 분야는 재료화학, 로봇공학, 핵에너지,
나노
장치 등 다양하며 모두 미래에 고부가가치를 창출할 첨단과학 분야다. 일본 내 공대로 유학을 고려하는 학생이라면 COE 프로그램의 지원을 받는 연구소에 참여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 일본 대학에 입학하기 ... ...
나노
미터 크기 물질 꿰뚫어 보는 냉중성자
과학동아
l
2008년 11호
강도가 높아 비행기 동체를 만들 수 있고 반도체와
나노
로봇을 만드는 데도 쓸 수 있어
나노
기술 분야의 팔방미인으로 평가받는다. 연구결과는 재료과학 분야 최고 권위지인 ‘어드밴스드 머티리얼즈’ 2007년 5월호에 발표됐다. 그 뒤 미국화학회가 화학 분야에서 우수한 논문을 선정해 게재하는 ... ...
이전
92
93
94
95
96
97
98
99
10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