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국제"(으)로 총 5,598건 검색되었습니다.
- [기획] 3장. 더 정확한 1kg을 찾아서!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4호
- 심지어는 공항에서도 가방을 열 수 없어서 세관을 통과할 때도 고생했지요. 프랑스의 국제도량형국에 도착할 때까지 혹시 가방을 소매치기라도 당하면 어떡하나 엄청 마음을 졸였지요. Q 질량을 이렇게 정밀하게 측정할 필요가 있나요?예를 들어, 신약을 만드는 제약 산업에서는 성분의 미세한 ... ...
- [과학마녀 일리의 과학용어 따라잡기] 깃털, 원기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4호
- ‘도구(器)’라는 뜻이죠. 예를 들어 미터와 킬로그램의 경우, 1889년 프랑스에서 열린 국제 도량형 총회에서 원기가 만들어졌어요. 미터의 기준이 될 막대와 킬로그램의 기준이 될 원기둥을 백금 90%와 이리듐 10%의 합금으로 만든 후 40개를 복제하여 전 세계에 나누어 주었지요.우리나라는 조선 ... ...
- [기획] 1장. 초정밀 ‘키블 저울’ 찾아 지하로!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4호
- 우리나라 연구팀은 올해 세계 최초로 열린 ‘국제 비교’에 참가할 수 있었답니다. 국제 비교는 정확한 질량 측정을 위해 각 나라의 키블 저울로 측정한 킬로그램 원기*의 질량을 비교하는 작업이에요. 정밀한 키블 저울을 가진 국가만 참여할 수 있는데, 이번에 우리나라가 미국, 캐나다, 프랑스, ... ...
- [어과동 PICK] 예술이 된 우주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3호
- 그린 상상도예요. 6월 15일, 벨기에 리에주대학교 장 클로드 제라드 교수가 이끄는 국제연구팀은 지난해 TGO가 화성 상공 80~120km에서 녹색 빛을 관측했다고 발표했어요. 연구팀은 이 녹색 빛이 태양에서 온 강한 에너지 입자가 산소 원자와 반응해 발생한 ‘대기광’이라고 설명했어요. 이 산소는 ... ...
- [과학뉴스] 백악기 대멸종의 원인은 소행성 충돌 ‘각도’?!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2호
- 5월 28일, 영국 임페리얼칼리지런던 지구과학공학과 캐러스 콜린 교수가 이끄는 국제 연구팀은 소행성이 45~60°로 날아와 피해가 컸다고 발표했어요. 연구팀은 직경 약 180km, 깊이 20km인 칙술루브 충돌구의 구조를 분석했어요. 그리고 지름 17km의 소행성이 초속 12km와 20km로 날아들 때, 지면과 90°, 60°, ... ...
- [수학뉴스] 꿀잠 방해 원인 수학으로 밝히다수학동아 l2020년 12호
- 것이 어려워 생체시계가 잘 작동하지 않는다는 것을 확인했습니다. 이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미국국립과학원회보’ 10월 26일 자 온라인판에 실렸습니다. ... ...
- [한페이지 뉴스]"산소는 SELF" 스스로 산소 공급하는 인공조직과학동아 l2020년 12호
- 기법으로 합성한 3차원 골격 구조에 산소를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해 국제학술지 ‘물질(Matter)’ 11월 18일자에 발표했다. 3D 바이오프린팅은 ‘바이오 잉크’로 3차원 골격 구조를 만든 뒤, 산소와 영양분 등 세포 생존에 필요한 물질을 운반할 수 있는 혈관 구조를 더해 인공조직을 ... ...
- 크리스마스 트리가 한국산? 멸종위기 구상나무를 구하라!과학동아 l2020년 12호
- 높은 CO2 농도 환경에서 구상나무 유전자 중 어떤 부위가 발현되는지를 2019년 7월 23일 국제학술지 ‘식물 생명공학 리포트’에 발표했다. doi: 10.1007/s11816-019-00553-0 김동욱 국립생태원 전임연구원은 “구상나무가 갑작스러운 기후변화에 대처할 때 발현되는 유전자를 찾아낸 뒤, 구상나무가 어린나무일 ... ...
- 50년 인류 최대 프로젝트 ITER 본격 조립 시작과학동아 l2020년 12호
- 국제적인 기술 교류를 촉구했고, 1961년 국제원자력기구(IAEA) 산하에 핵융합에너지 국제학회가 설립됐다. 선진국들의 연구개발과 기술 교류는 1960~1980년대 핵융합 에너지 생산에 필요한 기술 조건들을 찾는 데 상당한 진전을 이뤘다. 그러자 자연스럽게 이를 실현할 핵융합로 개발의 필요성이 ... ...
- Q&A로 풀어보는 핵융합과학동아 l2020년 12호
- 에너지 연구가 얼마나 진행됐나요? 전 세계적으로 핵융합 연구를 선도하는 국가는 국제핵융합실험로(ITER·이터) 프로젝트에 참여한 7개 국가입니다. 이들은 각각 KSTAR와 같은 핵융합연구장치를 보유하고 있죠.현재 세계에서 가장 큰 핵융합 반응로는 영국에 있습니다. 유럽연합(EU)이 운영하는 ... ...
이전929394959697989910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