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오른편
우측
바른쪽
바른편
오른편짝
우방
우편
d라이브러리
"
오른쪽
"(으)로 총 1,428건 검색되었습니다.
중국 과학혁명의 산실, 칭화대
과학동아
l
200408
칭화대의 캠퍼스의 분위기는 구획에 따라 많이 다르다. 서쪽의 교문을 통해 들어가면
오른쪽
에 교직원용 아파트촌이 자리잡고 있다. 1980년대 우리나라 주공아파트촌이 연상된다. 그러나 왼쪽으로 길을 들어서면 연꽃이 피어있는 호수와 정자가 한가롭게 펼쳐져 있다. 칭화대 캠퍼스는 원래 ... ...
6월 8일 금성일면 통과 현상 벌어져
과학동아
l
200407
금성의 대기로 인해 태양빛이 산란돼 나타난 현상이다. 왼쪽아래(03)는 자외선으로,
오른쪽
아래(04)는 파장이 더 짧은 자외선으로 촬영한 이미지다.이번 금성일면 통과 현상은 1882년 이후 관찰된 이래 1백22년만에 일어났다. 다음은 2012년 6월 6일로 현재 사람들이 볼 수 있는 사실상 마지막 기회다. 그 ... ...
효소가 좌우하는 노년의 운명
과학동아
l
200407
정체가 밝혀지지 않았다. 서로 다른 4개의 분자가 합쳐져야만 아밀로이드전구단백질의
오른쪽
부분을 자를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감마시크리타제는 아밀로이드전구단백질뿐만 아니라 다른 여러 단백질을 잘라 인체에 필수적인 역할을 하는 형태로 만들기도 한다. 따라서 감마시크리타제가 ... ...
왜 꼭 대칭이어야 해? 허파의 반항
과학동아
l
200405
있다. 예를 들어 암이
오른쪽
허파의 위엽에만 생겼다고 가정해 보자. 이 경우 수술할 때
오른쪽
허파를 모두 떼어낼 필요 없이 위엽만 떼어내면 된다.건강한 사람의 허파는 검붉은색이다. 시신에서 꺼낸 허파의 여러곳에 검은색 점이 있는 이유는 호흡할 때 매연 같은 오염물질이 쌓였기 때문이다. ... ...
마침내 다시 합쳐진 사자머리 조각
과학동아
l
200405
있다.얘기의 시작은 1970년대로 거슬러 올라간다. 두부분으로 쪼개진 사자머리 조각 중
오른쪽
부분은 이미 이때부터 소장돼 있었다. 이 대학에 주요 그리스 유물을 기증해온 고 라이오넬 제이콥슨이 박물관측에 빌려준 것이었다.어느날 박물관 설립자인 브라이언 쉐프턴 교수는 한 고미술품 ... ...
제주서 5만년 전 사람 발자국 발견
과학동아
l
200403
문제를 지적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왼쪽 발자국은 왼쪽 바깥부분이
오른쪽
발자국은
오른쪽
바깥부분이 들어간다.연대추정방식에도 문제가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발자국이 발견된 지층의 연대는 칼륨-아르곤법으로 추정한 것인데 오차가 2만년 이상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오차가 1백년 이하인 ... ...
2003년 한국의 쿨한 과학상품
과학동아
l
200401
제품. 평범을 거부하고 새로운 것을 찾는 이들을 겨냥했다. 운전자가 그저 몸을 왼쪽,
오른쪽
으로 번갈아 움직이면 앞으로 전진한다. 몸을 비틀면서 만들어낸 분력의 수평 성분이 보드를 앞으로 전진시키는 추진력이 된다. 방향은 봉으로 연결된 두개의 발판을 기울이는 쪽으로 정해진다. 스노보드, ... ...
쥐라기 공원에 운석이 떨어지지 않았다면
과학동아
l
200312
때문입니다.사회자: 마치 왼쪽 벽에 해당하는 술집이 몇번의 전환기를 넘을 때마다 점점
오른쪽
으로 이동한다는 주장처럼 들리는데요, 그런 말씀입니까?도킨스와 메이너드 스미스(D팀): 예, 바로 그것입니다!사회자: 이거 어쩌죠. 이제 시간이 채 2분밖에 남지 않았습니다. 굴드 교수님과 도킨스 ... ...
크리스마스 트리 닮은 별무리의 사연
과학동아
l
200312
모습이다. 트리 꼭대기에 있는 산타의 고깔모자를 닮은 모양은 ‘원뿔성운’이고 트리
오른쪽
아래로 쭉 이어져 있는 모양은 ‘여우목도리성운’이다. 누구를 위한 것인지 잘 몰라도 붉은 여우목도리는 크리스마스선물이 아닐까.원뿔성운이 까만 이유는 성운이 뒤쪽의 별빛을 차단하기 때문이다. ... ...
4백30년전 애달픈 사연 담은 파평윤씨 母子 미라
과학동아
l
200312
촬영과 CT(컴퓨터 단층촬영), MRI(자기공명영상촬영)를 통해 뱃속에 태아가 있어 이로 인해
오른쪽
옆구리가 튀어나왔다는 것을 알게 됐다. 임신한 미라였던 것이다. 우리들은 이 미라를 ‘파평윤씨 모자(母子) 미라’라고 이름지었다.그렇다면 이 시신은 어떻게 이처럼 미라로 남게 됐을까.미라는 ... ...
이전
92
93
94
95
96
97
98
99
10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