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조직망
계통
제도
기구
조직
시스팀
system
d라이브러리
"
시스템
"(으)로 총 3,514건 검색되었습니다.
2010 개인게놈 시대 개막 선언
과학동아
l
201006
활용되려면 시간이 더 필요하다”며 “의사나 환자가 개인게놈의 의미를 이해할 수 있는
시스템
을 만들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2005년 황우석 사태 이후 새로운 생명과학 분야에 과감하게 뛰어들지 못한 채 움츠려 있는 우리나라 환경에 익숙해 있던 기자는 마치 미래에서 벌어지고 있는 것 같은 ... ...
3D TV 아직도 안경 끼고 보세요?
과학동아
l
201006
이용자의 시선을 추적해서 LCD 장벽의 위치를 바꾸는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ETRI 실감방송
시스템
연구팀 허남호 팀장은 “이용자의 시선 위치에 따라 여러 개의 LCD 장벽 중 하나를 선택해서 이용하는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며 “이 기술을 3D DMB 단말기에 적용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한편 필립스나 ... ...
PARTⅠ 수학을 알아야 축구를 잘 한다 : 축구는 수학이다
수학동아
l
201006
일이 많았다.그러나 2002년 한일월드컵을 거치면서 네덜란드를 비롯한 축구선진국의 분석
시스템
이 우리나라에 들어왔다. 지금은 우리나라에도 경기 분석을 담당하는 전력분석관이 있어 상대팀의 전술과 선수의 성향을 치밀하게 조사한다.상대를 분석해서 잘 막을 수 있었던 예가 지난 2006년 ... ...
세상을 바꾼 재료? 미래를 바꿀 재료!
어린이과학동아
l
201006
주는 성질이 있다. 따라서 다리가 무너질 정도의 큰 압력을 받으면 압전성 재료는 경보
시스템
으로 전기 신호를 보내 경보음을 울리게 한다. 또한 다리 내부에 들어 있는 형상 기억 재료는 원래의 형태로 돌아가려는 성질이 있다. 따라서 센 압력을 받아 다리가 휘어 지더라도 다시 원래의 모습으로 ... ...
걸어 다니는 발전기
과학동아
l
201006
1mW=10-3W)를 생산한다.카자카리 교수는 “이 기술은 라디오파를 쓰는 센서나 위성위치확인
시스템
(GPS)센서 같은 장치에 적용할 수 있다”며 “현재 휴대전화 수준의 휴대기기에 전기를 공급하는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 ...
날갯짓 하는 로봇새
과학동아
l
201006
닮은 로봇 비행체캠퍼스에 출현한 이상한 새의 정체는 KAIST 항공우주공학과 ‘스마트
시스템
및 구조 연구실(SSSLAB)’ 한재흥 교수팀이 개발한 로봇새(SF-2)다. 한 교수팀은 새, 박쥐, 곤충 같은 자연계 동물들의 날갯짓 원리를 모방해 ‘생체 모방형 날갯짓 비행체’를 개발하고 있다.한 교수는 “새 ... ...
멸종위기종 산양의 복원 현장 설악산에 가다
과학동아
l
201006
북부팀의 조재운 연구원이 산양의 위치를 추적하기 위해 위성위치확인
시스템
(GPS) 수신기를 높이 쳐들며 말했다. 조 연구관이 추적하고 있는 산양들은 복원센터 뒤뜰에 있는 계류장에서 한동안 지내다가 지난 주 5월 3일에 방사된 녀석들이다.녀석들은 지난 2~3월에 눈 쌓인 설악산 능선 자락에서 ... ...
레이저 그 탄생을 위한 질주
과학동아
l
201005
바탕을 둔 반도체 레이저는 상온에서 잘 작동하므로 CD 및 DVD 플레이어, 상점의 바코드
시스템
에 레이저를 활용할 수 있게 했다. 이로써 레이저를 향한 경주는 마무리됐다. 레이저 개발에 뛰어든 과학자들의 명암 레이저는 여러 명의 노벨상 수상자를 배출했다. 최초의 수상자는 메이저를 개발한 찰스 ... ...
증강현실로 포옹을 느낀다
과학동아
l
201005
물론 수치심, 죄의식, 혐오 같은 감정을 포함해 9가지 감정을 만들어 낸다.연구팀은 이
시스템
을 시험하기 위해 가상현실 게임 ‘세컨드라이프’에 한 쌍의 가상 아바타를 만들었다. 수천km 떨어져 있는 두 사람은 촉감센서가 부착된 장치를 착용하고 그들의 아바타를 통해 의사소통을 진행했다. ... ...
뇌신경 연결지도 커넥톰 나온다
과학동아
l
201005
구조는 거의 동일하다고 설명했다. 뇌도 생물학적인 조직이므로 100% 같진 않지만
시스템
수준에서 보면 거의 동일한 회로망을 갖고 있다. 즉 뇌 안에서 가장 기본적인 수준이 미니컬럼으로 돼 있고 이 안에 100여 개의 신경세포가 존재한다. 결국 미니컬럼이 뇌의 논리회로인 셈이다. 따라서 그보다 ... ...
이전
92
93
94
95
96
97
98
99
10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