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땀띠
한창
칸
hahn
khan
뉴스
"
한
"(으)로 총 24,691건 검색되었습니다.
트럼프 처방으로 다시 주목 받는 코로나 치료제
동아사이언스
l
2020.10.05
출원했다. 지난달 3일에는 이 두 종을 병행 투여하는 동물실험을 통해 폐 병변을 치료
한
결과 렘데시비르보다 높은 치료 효과를 확인했다(관련기사 : '특허·예측력 세계 2위'…코로나 시대 두각 나타내는 국내 AI-BI 기업들) ... ...
트럼프 덱사메타손·렘데시비르 투여…"예상보다 심각할 수도"
동아사이언스
l
2020.10.05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지난 2일(현지시간) 백악관에서 병원으로 이동하며 취재진에게 손을 흔들어 보이고 있다. AP/연합뉴스 제공 신종 코로나바이러 ... 대통령이 스스로 걸을 수 있다는 사실과 숨가쁘지 않은 상황에서 메시지 영상을 공개
한
사실은 긍정적인 신호라는 해석도 있다 ... ...
코로나19 젊은층 심장에 영향줄 수 있어
동아사이언스
l
2020.10.05
대해서도 조사와 검토가 필요하다"면서 "소아·청소년, 젊은 연령층에 대해 코로나19로 인
한
건강과 후유증 문제를 장기적으로 고민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 ...
'상온노출 의심' 백신 문제없나…품질검사 결과 내일 나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0.05
당초 질병청은 백신 사용 중단을 발표
한
직후인 지난달 22일 문제의 백신 접종자가
한
명도 없다고 밝혔으나 9월 25일 이후부터 105명→224명→324명→407명→873명→1천362명→1천910명→2천290명→2천303명으로 연일 증가했다. 마지막 수치는 2천303명에서 2천295명으로 조정됐다. 질병청은 품질 검사 ... ...
'강하고 전기 잘 통하는 입체 그래핀 제조' 난제 풀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0.05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기업의 고온 공정이 2000도의 온도를 써서 연구팀이 개발
한
방법보다는 약간 온도가 낮지만, 기본적인 공정이 같아 대량생산에 적용하기에 유리하다는 것이다. 류 교수는 "열처리 외에 전자빔을 쏘는 방법으로도 그래핀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는 사실도 밝힌혀 현재 ... ...
소행성 베누가 돌조각을 뿌리는 이유
과학동아
l
2020.10.05
다공성 표면을 가졌을 경우, 관측된 돌조각의 양이 컴퓨터 모델로 계산
한
값과 일치
한
다”며 “향후 베누 표면의 시료을 얻는 데 성공하면 이를 증명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NASA의 오리시스-렉스는 10월 20일경 베누 표면 시료 채취를 시도하고, 2023년 9월 지구로 귀환할 예정이다 ... ...
'상온 노출' 의심 독감백신 접종자 2천295명…정부, 수치 정정(종합)
연합뉴스
l
2020.10.05
어제 발표보다 8명 적어…질병청 "지자체에서 일부 정정해 감소" "백신 품질검사 완료시 접종계획 검토해 발표"…6∼7일께 나올듯 [연합뉴스TV ... 검사 진행 상황을 함께 모니터링하고 있다. 질병청·식약처·지자체의 (신성약품에 대
한
) 합동 현장조사 결과도 정리 중"이라고 밝혔다. ... ...
코로나바이러스 분석장치가 손안으로 들어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0.05
모두 짚어내는 데 성공했다. 데버슨 선임연구원은 “코로나19 확산을 추적할 때에는 신속
한
실시간 유전정보 분석이 매우 중요하다”며 “이 기술 덕분에 곧 전 세계 과학자들이 언제 어디에서나 바이러스 유전정보를 분석할 수 있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 ...
[과학게시판] 과기인력개발원 경력개발 참가자 모집 外
동아사이언스
l
2020.10.05
천리안위성 2B호는
한
반도를 포함
한
동아시아 주변의 해양 및 대기 환경을 관측하기 위
한
정지궤도 위성이다. 일반인도 국립해양조사원 홈페이지(www.khoa.go.kr)를 통해 적조‧유류유출 등 해양영상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 ...
노벨상 올해의 관전 포인트
동아사이언스
l
2020.10.04
애널리틱스가 분석
한
논문 피인용 우수연구자 중에서
한
국인 연구자만 3명 있다.
한
국기관에 소속된 연구자로 세면 4명이다. 현택환 서울대 석좌교수(기초과학연구원(IBS) 나노입자연구단장)가 나노입자 합성 기술로 올해, 로드니 루오프 울산과학기술원(UNIST) 교수(IBS 다차원탄소재료연구단장)가 ... ...
이전
960
961
962
963
964
965
966
967
96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