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공급
제의
지급
조달
보급
신입
제안
뉴스
"
제공
"(으)로 총 48,213건 검색되었습니다.
암·노화에 영향 미치는 '염색체 3차 구조' 원리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23.04.10
역할을 밝혀 더 큰 범위에서의 염색체 3차 구조에 대한 근본적인 원리 규명 단서를
제공
했다는 점에서 큰 의의가 있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를 주도한 주재건 KAIST 석박사통합과정생은 "그동안 실험기법의 한계로 가려져 있던 염색체 간 상호작용 형성원리를 밝혀낸 연구”라고 설명했다. ... ...
코로나 확진 4005명…위중증 127명·사망 8명
동아사이언스
l
2023.04.10
서울 중구 보건소 선별진료소. 연합뉴스
제공
중앙방역대책본부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10일 0시 기준 4005명 늘어 누적 3091만8060명이 됐다고 밝혔다. 이날 신규 확진자 수는 1주일 전인 지난 3일 4349명보다 344명, 2주일 전인 지난달 27일 4200명보다는 195명 각각 ... ...
화재 위험 없는 '전고체 전지' 언제 빛 볼까
동아사이언스
l
2023.04.10
쓰이는 리튬이온전지와 달리 화재 위험이 없다는 점에서 특히 주목받는다. 픽사베이
제공
지난 4일 정부는 차세대 이차전지 기술 개발을 국가전략기술 프로젝트 후보로 선정했다. 올해부터 2027년까지 5년 간 170조원의 연구개발(R&D) 예산을 투자해 12대 국가전략기술을 집중 육성하겠다는 정부 ... ...
기후변화가 메이저리그 홈런수 늘렸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4.10
양키스 선수가 2016년 미국 뉴욕 양키 스타디움 경기장에서 홈런을 치는 모습. 위키미디어
제공
지구 온난화로 인한 기온상승이 메이저리그 경기에서 홈런이 나올 가능성을 높였다. 온도가 높아지면서 공기 밀도가 낮아져 타자가 친 공이 더 멀리 날아가게 한 것이다. 지표면 온도가 현재와 같은 ... ...
고래가 암에 잘 걸리지 않는 이유
동아사이언스
l
2023.04.09
해안에서 포착된 참고래. 위키피디아
제공
고래는 5% 가량이 암으로 죽는다. 반면 인간은 암으로 목숨을 잃는 비율이 11~25%에 이른다. 이런 차이는 왜 발생할까. 과학자들은 비밀을 풀기 위해 ‘생어 동물원’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이 프로젝트를 이끌고 있는 알렉스 케이건 영국 ... ...
“암·심장질환 백신 2030년이면 나올 것”
동아사이언스
l
2023.04.09
갖게 될 것”이라며 “전 세계 사람들에게 다양한 종양 유형에 대한 맞춤형 백신을
제공
해 수십만명의 생명을 구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버튼 CMO가 말하는 백신들은 코로나19 백신 개발에 근간이 됐던 ‘메신저리보핵산(mRNA)’ 기술을 기반으로 한다. mRNA는 체내에서 특정 단백질을 만드는 DNA ... ...
국내 6번째 M두창 환자 발생...첫 지역사회 감염
동아사이언스
l
2023.04.09
바이러스 한국분리주 전자 현미경 사진. 질병관리청
제공
국내에서 6번째 M두창(원숭이두창) 확진 환자가 발생했다. 이전 5명이 해외 유입 연관성이 있었던 것과 달리 첫 지역사회 감염 사례다. 9일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내국인 A씨는 지난 7일 M두창 양성으로 확인됐다. 지난 3일 피부 발진이 낫지 않아 ... ...
[씨즈더퓨처] 아들과 딸 골라 낳을 수 있다면
2023.04.09
차이를 볼 수 있다. 긴 게 X 염색체, 짧은 게 Y 염색체다. National Human Genome Research Institute
제공
● 아들과 딸, 정자 ‘무게’로 선택한다 수많은 정자 속에서 X 염색체 정자 혹은 Y 염색체 정자를 찾고 싶을 때 사용하던 기준은 주로 ‘무게’였다. X 염색체가 Y 염색체보다 무거운 탓이다. 다만 둘의 ... ...
[표지로 읽는 과학] 오메가3와 생리 반응의 연결고리
동아사이언스
l
2023.04.09
사이언스
제공
국제학술지 사이언스는 이번주 표지에 밝은 주황색으로 표시된 오메가-3 지방산이 체내 G단백질 연결 수용체 중 하나인 'GPR120'에 결합된 모습을 실었다. G단백질 연결 수용체는 생체내 신호 전달에 쓰이는 수용체로 거의 모든 생리적 반응을 촉매하는 역할을 한다. 에너지원일 뿐만 ... ...
[주말N수학] 수학자가 사람 살리는 '수리생물학'에 빠진 사연
수학동아
l
2023.04.08
답을 빨리 맞히는 것보다 한 문제라도 잘 푸는 능력이 중요해지지 않을까요?" 수학동아
제공
※관련기사 수학동아 4월, [People] 사람 살리는 수학자 수리생물학자 ... ...
이전
959
960
961
962
963
964
965
966
96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