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실상
진상
실제
진실
실태
현실
진리
d라이브러리
"
사실
"(으)로 총 14,202건 검색되었습니다.
라이트 형제의 인류 최초 동력 비행기
과학동아
l
2003년 12호
가능한 한 무리의 생물 다른 생물군과는 생식적으로 격리된 생물군으로 정의된다 그러나
사실
은 반드시 이렇게 명확히 선을 그을 수 있는 것만은 아니다 즉 외견상 비슷한 형태를 지니고 있으면서도 서로 교배할 수 없는 경우가 있는가 하면 그 반대의 경우도 있기 때문이다재료 또는 화물을 일정한 ... ...
자크루즈리의 해양건축 세계
과학동아
l
2003년 12호
역으로 우주 기술을 심해 탐사에 적용할 수도 있다. 미국과 유럽 우주연구소들은 이같은
사실
을 일찍부터 인식하고 해양연구와 우주연구를 병행하고 있다. 몇차례에 걸친 프로젝트에서 함께 생활했던 미국과 프랑스, 러시아 출신의 우주 비행사들과 지금도 친분 관계를 맺고 있다.한국의 대표적인 ... ...
괴물처럼 거대한 태양 폭발
과학동아
l
2003년 12호
우주모델의 하나 우주에 있는 모든 은하들은 모두 우리 은하로부터 멀어져 간다는 관측
사실
과 은하들이 멀어져 가는 시선속도는 거리에 비례한다는 허블(EPHubble)의 법칙에 근거하는 이론이다 이 우주론은 아인슈타인 일반상대성이론의 중력장방정식을 출발점으로 한다 여기서 얻어지는 해(解)로 ... ...
방귀로 대화하는 청어
과학동아
l
2003년 12호
방귀소리가 포식자에게는 들리지 않기 때문에 동족끼리만 대화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사실
도 확인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11월 5일 영국왕립학회의 생물학전문지인 ‘바이오롤지 레터스’에 게재됐다.청어의 방귀는 사람이 내는 것과 다르다. 청어는 수면 가까이에서 들여마신 공기를 부레를 거쳐 ... ...
푸른빛의 환상! 플레아데스성단
과학동아
l
2003년 12호
것처럼 보인다. 이것은 천구에 대해 달이 움직이는 상대 속도인데 의외로 빠르다는
사실
을 실감할 수 있을 것이다.서서히 달에 접근하던 별은 달의 동쪽편인 밝은 부분으로 잠입해 사라진다. 약 1시간 뒤인 6시 30분 경이 되면 달의 어두운 부분인 서쪽에서 다시 별이 그 모습을 드러낸다. 그리고 얼마 ... ...
3 새들의 사투리 방방곡곡 가지각색
과학동아
l
2003년 12호
수많은 새소리를 수집해 그 유형, 즉 음성학적 변이를 파악해봤다. 그 결과 흥미있는
사실
이 밝혀졌다.참새목에 속하는 휘파람새는 우리나라에 2가지의 아종, 즉 비슷한 종이 살고 있다. 그 중 한종인 휘파람새는 여름철새로, 주로 우리나라 중부 이북 지방의 논밭 근처나 덤불에서 볼 수 있는 ... ...
기능성 쌀 등장으로 다시 주목 받는 쌀
과학동아
l
2003년 12호
통해 확인했다. 쌀이 밀이나 감자 등 다른 곡류에 비해 비만을 유발하는 경향이 덜하다는
사실
은 20여년 전에 밝혀졌다.쌀밥은 혈당의 급격한 증가를 일으키지 않으므로 인슐린 분비를 자극하지 않아 체지방의 합성과 축적이 억제되기 때문이다. 실제로 미국 듀크대 의대에서는 ‘쌀 다이어트 ... ...
지자기 폭풍이 빚어낸 걸작 오로라
과학동아
l
2003년 12호
주기성을 보였다. 이는 문헌에 나타난 현상이 한반도 상공에서 관측된 오로라라는
사실
의 과학적 근거가 된다.그렇다면 요즘은 보기 어려운 오로라를 고려시대에 유독 자주 볼 수 있었던 것은 무슨 이유일까. 가장 그럴 듯한 설명은 현재 캐나다 북부에 위치한 지자기 북극이 예전에는 한반도 ... ...
첫 키스를 부르는 크리스마스 나무들
과학동아
l
2003년 12호
이 나무 아래를 지나는 사람들은 자유롭게 키스를 하도록 했다는 것이죠.그런데
사실
발다르를 죽게 한 것은 프리그 자신이었습니다. 겨우살이는 다른 나무 위에서 자라는 기생식물입니다. 겨울철 앙상한 가지 위에 이상하게도 푸른 잎을 가진 나무가 바로 그것입니다. 즉 겨우살이는 땅에 발붙이는 ... ...
'생물의 다살이' 낸 강원대 권오길 교수
과학동아
l
2003년 12호
소나무’의 일부다. 과학자의 글이 국어교과서에 실린 것은 이례적인 일이지만,
사실
권 교수는 과학수필가로 불릴 만큼 소문난 글쟁이다.난 글을 쓰지 않으면 아픈 사람‘사람과 소나무’는 우리 조상들의 생활과 소나무의 관계를 잘 엮은 글로서, 생활 속에서 과학적 소재를 끌어내는 그의 솜씨가 ... ...
이전
958
959
960
961
962
963
964
965
96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