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태양
손해
손상
햇빛
불리
훼손
상해
d라이브러리
"
해
"(으)로 총 13,047건 검색되었습니다.
펭귄과 친구 된 남극월동대장 장순근
과학동아
l
2002년 12호
980년 프랑스 보르도1대학 지질학 박사1984년-1985년 미국 캘리포니아대 연수1980년-현재 한국
해
양연구원 근무(현재 책임연구원)1988년-1989년 남극 세종기지 1차 월동대장1990년-1992년 남극 세종기지 4차 월동대장1994년-1995년 남극 세종기기 8차 월동대장2000년-2001년 남극 세종기지 14차 ... ...
벽 뚫고 지나가는 공
과학동아
l
2002년 12호
따라서 이곳은 빛이 통과 못
해
어두워 장애물로 막혀있는 것처럼 보인다. 이 점을 이용
해
마술을 부릴 수 있다. 탁구공을 이동시켜보면 마치 장애물이 있어도 그냥 지나가는 것처럼 보인다. 또는 길다란 펜을 집어넣으면 펜이 벽을 뚫는 것처럼 보인다. 마술의 효과를 높이려면 상자를 정면에서 약간 ... ...
토성 1년만에 관측 최적기
과학동아
l
2002년 12호
작은 틈이다. 이 간극은 1675년 이탈리아계 프랑스 천문학자 카시니가 처음으로 발견했다
해
서 ‘카시니의 간극’이라 불린다. 토성 고리 중에서 가장 밝은 부분은 B고리다. B고리의 바깥 부분에는 어두운 A고리가 있다. A고리와 B고리의 사이에 나있는 틈이 바로 카시니 간극이다.대개 ... ...
한치의 오차 없는 우편 배달 시스템
과학동아
l
2002년 12호
생산성을 최대화하기 위한 연구 등을 하고 있으며 앞으로 이동단말기, GPS 등과 연계
해
실시간으로 수·배송을 최적화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를 개발할 계획이다.현재 연구실에는 박성수 교수를 중심으로 석사과정 5명과 박사과정 6명이 시스템 최적화 분야의 최고 명의를 꿈꾸며 소프트웨어 개발에 ... ...
3. 스스로 충돌 피하고 고장 대처한다
과학동아
l
2002년 12호
이용
해
근육 구동기를 만드는 방법도 연구중이다. 근육 구동기는 기존 구동기에 비
해
가볍다는 장점이 있다.앞으로는 어떤 모습의 무인기가 탄생하게 될까. 예측하기는 힘들겠지만 우리의 상상을 초월하는 모습을 가지면서도 매우 높은 수준의 자율성을 가진 지능적인 로봇항공기가 출현할 ... ...
나는 네가 지금 어디 있는지 알고 있다
과학동아
l
2002년 12호
친구찾기, 실시간 교통정보, 현재 위치 날씨정보…. 최근 휴대폰 등 이동단말기를 이용
해
누릴 수 있는 각종 위치기반 서비스(LBS)다. LBS를 이용하면 사용자의 위치가 고 ... 파악된다. 위치기반 서비스를 이용한 후 박 대리는 꽉 막힌 도로에서 겪었던 스트레스에서 점차
해
방되는 기분이다 ... ...
돌고래 대화 엿듣는 잔점박이물범
과학동아
l
2002년 12호
주지 않는 알래스카에 사는 범고래 소리를 듣고서도 즉시 도망쳤다. 연구팀은 이에 대
해
소리가 무엇과 관련되는지 배울 기회가 없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 ...
유럽의 화성 탐사 계획(2003년 6월 발사 예정)
과학동아
l
2002년 12호
진공실험을 추시(追試)하는 데 성공했다25세 때 퓌이 드 돔 산정에서의 야외실험에 의
해
수은주의 높이의 증감은 대기압에 의한 것이며, 그 때까지의 스콜라적 통념이었던「자연이 진공을 싫어하기」때문이 아니라는 것을 실증했다 공간적으로 주기성을 가진 포텐셜장에서 한 전자의 정상상태를 ... ...
2. 헬기나 제트기로 자유자재의 변신술
과학동아
l
2002년 12호
헬리콥터는 수직 이착륙이 가능하고, 제트기는 고속비행 능력이 있다. 두가지 능력을 모두 가진 신개념 비행체는 없을까. 헬기처럼 떠서 제 ... 그래서 후방의 배기 노즐 근처에는 양옆으로 또다른 노즐이 있다. 이들 노즐을 통
해
배기가스의 일부를 분사시켜 항공기의 비행 방향을 조종한다 ... ...
올 겨울 슈퍼 독감 상륙 경고
과학동아
l
2002년 12호
발생하지 않았다. 이 때문에 슈퍼독감에 대한 두려움이 더욱 증폭되고 있다. 이에 더
해
미국에서는 독감 바이러스를 이용한 생화학 테러의 가능성도 대두된 바 있다. 이런 이유로 전세계의 바이러스 연구 전문가들은 슈퍼독감에 대한 긴급모임을 갖고 대책을 논의하고 있다 ... ...
이전
956
957
958
959
960
961
962
963
96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