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안
실개천
속
나
d라이브러리
"
내
"(으)로 총 10,295건 검색되었습니다.
자폐증 밉지 않은 「레인맨」,그러나 방치하면 큰일
과학동아
l
1989년 07호
진단이 가능해진다. 자폐아를 발견하면 즉시 전문적으로 다루는 특수교육기관에 보
내
져야 한다.특수교육기관이란 한 선생님이 여러 명을 지도하는 일반 유아원과 달리 소수 인원에 대한 집중적인 놀이치료 행동치료 언어치료를 할 수 있는 시설을 갖추고 자폐아동을 다루어 본 경험이 있는 ... ...
정보문화확산 글짓기 현상공모 최우수 당선작
내
가 본 정보통신
과학동아
l
1989년 07호
이글은 '정보문화의 달'을 맞아 정보문화센터가 전국 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현상공모한 글짓기 최우수작이다. 한군은 이 글에서 단순히 컴퓨터를 이용해 다른 사 ... 상상이 되질 않는다. 다만 한가지, 주체적인 정보문화 발전을 위한 작은 디딤돌이 되어 있을
내
모습만은 상상이 간다 ... ...
말썽많던 KAIST 연구부·학사부로 갈라진다.
과학동아
l
1989년 07호
그렇지 않으면 입학시험을 치루는데 쓸데없는 시간을 낭비하게 된다"고 말했다.이제
내
년부터 과학원은 과기대를 학사과정으로 편입시키고 석사과정 신입생을 대덕에서 뽑는다. 과학영재교육이라는 관점에서 보면 전국 7개(경기 대전 광주 대구 서울 진주 청주)과학고에 과학원(과기대 포함)이 ... ...
반도체 산업계를 뒤흔든 16메가칩 개발의 진상
과학동아
l
1989년 07호
함께 16메가D램개발에 관한 실사(實査)에 나섰으나 삼성이 기자회견시 발표한
내
용과 크게 다르지 않았다는 후문이다. 정부는 이에따라 예정대로 ETRI와 반도체 3사가 참여하는 공동프로젝트를 추진키로 했다.고도의 장치비용이 들고 위험부담이 큰 반면 미래의 기간산업적인 성격을 갖는 ... ...
소련·루마니아·불가리아 과학기행 특색있는 제도와
내
용
과학동아
l
1989년 07호
관광객들이 모여든다.문헌을 구하기 어려워나를 초빙한 불가리아학술원은 소피아 시
내
중심가에 있었다. 거기에는 7천여명의 직원들이 있었는데 유체역학연구소에만도 2백50명이 일했다. 그중 몇 명은 소피아종합대학의 유체역학교수로 재직하면서 연구와 강의를 겸했다. 연구문헌은 주로 ... ...
에너지혁명인가 「해프닝」인가
과학동아
l
1989년 06호
않고 있다. 또한 이러한 결과가 상업용발전으로까지 발전하겠느냐는 질문에 '20년
내
에는 불가능'이라고 답했다.물리학자들은 존스교수의 결과에 대해 조심스럽게 '그런것 같지는 않지만 또 불가능하지도 않은 일' 정도로 평가하고 있다. 물리학자들은 실온에서 핵융합이 일어나는 경우는 '뮤온'(muon ... ...
상어보다 무서운 유독 가오리와 창꼬치 먹이로 달래 친구처럼
과학동아
l
1989년 06호
달려든다거나 속도가 굉장히 빠르다거나 또는 날카로운 이빨로 이따금 찰칵소리를
내
어 멀리에서도 들을 수 있다는 등의 소문이 있다. 이번 우리가 먹이를 주었을 때의 경우를 회상하면 창꼬치가 느닷없는 전격공격을 하는 것은 틀림없다.창꼬치가 사는 곳에서 잠수자는 될수록 조용하고 유연하게 ... ...
'생명체는 음(-)의 엔트로피를 먹고 산다' 엔트로피란 무엇인가?
과학동아
l
1989년 06호
존재비율과는 거의 상관이 없다(예를 들어서 지구에 가장 많이 존재하는 규소는 생명체
내
에 거의 없다). 이처럼 CHNOPS로 이루어진 이유는 아마도 태양에너지의 형태가 CHNOPS 계의 물질과 가장 잘 상호작용하기 때문일것으로 추정된다. 즉 CHNOPS계는 태양의 복사에너지로 부터 양질의 에너지(낮은 ... ...
전자시대의 새로운 인간유형 실리콘 밸리의 소년들
과학동아
l
1989년 06호
맥루한의 예리한 통찰은 대중의 갈채도 학계의 찬동도 얻지 못했다. 그는 일찌기 "만약
내
가 '제3의 물결'을 써서 일약 유명하여진 저널리스트 '앨빈 토플러'였다면 모두가 나를 이해하여주고 유명하여졌겠지"라고 말한 적이 있다.많은 사람들이 이러쿵저러쿵하는 것은 질색이라고 말하던 ... ...
개관 1년 앞둔 제2국립과학관 한국과학기술사를 재현한다
과학동아
l
1989년 06호
된다. 첨성대와 플라네타리움국립종합과학관에서 빼놓을 수 없는 것 중의 하나가 국
내
최초의 국제수준급 플라네타리움(천체관).안지름 약 23미터, 좌석 3백석의 반구형(半球型) 돔(Dome)형태의 원형극장인 이 천체관은, 신비스런 우주현상과 미래의 우주탐험 및 개발에 관한 영상으로 관람객들에게 ... ...
이전
956
957
958
959
960
961
962
963
96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