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결합
통합
종합
혼합
조합
교류
융해
스페셜
"
융합
"(으)로 총 985건 검색되었습니다.
“생명과학은 창의성의 학문…
융합
형 인재 절실”
동아사이언스
l
2013.04.30
저해하는 각종 규제와 단기적 성과평가 관행을 개선하자. ○ 비즈니스 능력을 겸비한
융합
형 인재가 필요하다. ○ 톱다운 방식의 중장기 대형집단연구사업과 창의성을 바탕으로 하는 보텀업 연구의 적절한 조화가 필요하다. 유명희 단장은 1972~1976 서울대 미생물학 학사 1977~1981 미국 버클리 ... ...
“
융합
형 뇌 연구는 시대의 흐름…대형 연구소 세워야”
동아사이언스
l
2013.04.30
않을까요?” 서유헌 단장의 ‘이것만은 꼭!’ ○ 한국뇌연구원 설립 ○ BT-NT-IT 연계한 뇌
융합
연구 ○ 뇌 관련 BIO 분야 미래성장동력 창출 서유헌 단장은 1948년 출생 1981년 서울대 신경약리학 박사 1984년~1986년 미국 코넬대 교수 1992년~1993년 일본 동경대 의과학연구소 교수 1997년~1999년 강원대 의대 ... ...
“‘내셔널 아젠다’ 집중하면 한국 BT 미래 밝아”
동아사이언스
l
2013.04.30
꼭!’ ○ 바이오 연구에서 대학, 연구원 그리고 기업의 역할 분담이 이뤄져야 한다. ○
융합
연구를 위한 시스템을 만들자. ○ 대기업과 중소기업, 벤처를 모두 육성할 수 있는 제도가 필요하다. 박영훈 원장은 1970~1974 서울대 화학공학과 학사 1974~1976 KAIST 생물공학과 석사 1980~1983 미국 버지니아 ... ...
“기반 기술 ‘나노’, 이제는 산업화에 주력해야”
동아사이언스
l
2013.04.30
과학신문 ‘더사이언스’(www.thescience.co.kr)는 대한민국 나노기술계를 지원하는 ‘나노
융합
산업협력기구’와 공동으로 기획 시리즈 ‘나노人’을 시작합니다. 국내외에 나노기술 과학자, 정책전문가를 찾아가는 릴레이 인터뷰 시리즈를 매월 두 차례 소개하고 있습니다. 독자 여러분의 많은 관심 ... ...
“한국 나노산업엔 디딤돌 필요… 색다른 관점으로 상용화 이끌어야”
동아사이언스
l
2013.04.30
되겠습니다.” ● 박종구 단장이 말하는 ‘나노과학’ 발전 방향 ① 다양한 분야가
융합
해 색다른 관점 제시해야 ② 완성도-신규성-원천성 만족하는 기술 개발 ③ 원천기술을 상용화로 이끄는 별도의 플랫폼 필요 ... ...
나노 원천기술 개발 비결은? “공동연구가 해법이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4.30
과학신문 ‘더사이언스’(www.thescience.co.kr)는 대한민국 나노기술계를 지원하는 ‘나노
융합
산업협력기구’와 공동으로 기획 시리즈 ‘나노人’을 시작합니다. 국내외에 나노기술 과학자, 정책전문가를 찾아가는 릴레이 인터뷰 시리즈를 매월 두 차례 소개할 예정입니다. 독자 여러분의 많은 관심 ... ...
미래창조과학부 성공의 조건
과학기술인공제회
l
2013.04.30
그간 진행됐던 정책을 어떻게 꾸려나갈지에 많은 사람들이 관심을 보이고 있다.
융합
인재교육(STEAM), 대학에서의 연구 지원과 관리 등 교육과 과학이라는 두 영역에 공통적으로 속해 있는 사안들에 대해 적절하게 선을 긋고 집중하는 단호함이 필요하다. 마지막은 원자력안전위원회의 확실한 ... ...
창조경제의 전초기지 대덕연구개발특구 화합 한마당
동아사이언스
l
2013.04.29
미래창조과학부 이상목 차관은 격려사를 통해 “과학기술과 정보통신기술(ICT)의 창조적
융합
을 통해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출하고, 새로운 일자리를 만들어야 한다”고 강조하고, ○ “이를 위해 대덕연구개발특구가 우리나라 R&D 허브로서 우수한 연구인력 등 인프라를 바탕으로 창조경제 실현의 ... ...
광합성의 양자생물학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것처럼 상황을 꾸민다. 위의 인용구는 알두스가 불륜을 변명을 하는 과정에서 비어드의
융합
이론을 인공광합성에 적용할 경우 놀라운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하는 장면이다. 그는 비어드를 위해 자신의 아이디어를 담은 파일을 남겨뒀는데 비어드는 이를 읽고 인공광합성 연구에 ... ...
2012년 하늘나라로 간 과학계의 별들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의도적으로 데이터를 조작한 건 아니라는 점이다. 플라이슈만은 죽을 때까지도 상온핵
융합
이 언젠가는 사람들의 인정을 받을 것이라고 기대했다고 한다. 6. 필립 토비아스 (1925.10.14 ~ 2012. 6. 7) 인종차별에 반대한 고인류학자 “내가 하루에 세 시간만 잔다는 이야기는 사실이 아닙니다. 네다섯 ... ...
이전
91
92
93
94
95
96
97
98
9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