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합성물
혼합물
뉴스
"
화합물
"(으)로 총 1,215건 검색되었습니다.
실온에서 자가 치유하는 스마트폰 액정 필름 소재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1.10
에너지를 가해야 자가 치유 기능이 살아났다. 연구팀은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소재에 황
화합물
을 조합하며 새로운 구조로 소재를 설계했다. 그 결과 실온에서 자가 치유 기능을 가지면서 기존보다 강도가 2배 더 큰 소재를 만들었다. 이렇게 만들어진 소재는 자동차 도장이나 스마트폰 보호 필름 ... ...
실온에서 자가 치유하는 스마트폰 액정 필름 소재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1.10
에너지를 가해야 자가 치유 기능이 살아났다. 연구팀은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소재에 황
화합물
을 조합하며 새로운 구조로 소재를 설계했다. 그 결과 실온에서 자가 치유 기능을 가지면서 기존보다 강도가 2배 더 큰 소재를 만들었다. 이렇게 만들어진 소재는 자동차 도장이나 스마트폰 보호 필름 ... ...
구멍 뚫린 오존층, 최근 회복 빨라진 이유는?
동아사이언스
l
2018.01.05
레터스’ 4일자에 게재됐다. CFC는 냉장고나 에어컨, 헤어스프레이 등에 주로 썼던 인공
화합물
이다. 그러나 1974년 CFC 기체가 성층권의 오존을 파괴시킨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됐고 1985년에는 남극 상공에서 실제로 오존층 구멍이 발견됐다. 결국 2년 뒤인 1987년 세계 각국은 ‘몬트리올 의정서’를 ... ...
머리카락 만큼 가는 섬유형 OLED, 입는 디스플레이 상용화 길 연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1.04
구조의 OLED를 개발했다고 3일 밝혔다. OLED는 전류가 흐르면 스스로 빛을 내는 형광성 유기
화합물
을 이용해 만든 디스플레이 소자로 TV, 휴대폰 휴대전화 등에 활용된다. 기존에도 비슷한 섬유형 OLED는 있었지만 일반적인 평판형 OLED보다 수명이나 효율, 내구성 등이 현저히 떨어져 실용화가 ... ...
모래 한 알에 미생물 10만 개
과학동아
l
2018.01.03
- MPIMM 제공 프로밴디트 연구원은 “모래에 붙어 있는 미생물은 바닷물 속의 탄소와 질소
화합물
등을 분해해 전 지구적 물질 순환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말했다. doi:10.1038/ismej.2017.19 ... ...
식약처 ‘생리대 위해 없다’ 최종 결론
동아사이언스
l
2017.12.28
8일 식품의약품안전처(이하 식약처)가 생리대 및 팬티라이너에 들어있는 휘발성 유기
화합물
(이하 VOCs)이 인체에 유해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고 밝혔다. 식약처는 2014년 이후 국내에서 판매중인 생리대와 팬티라이너 총 666개 품목과 기저귀 370개 품목에 대해 전수조사를 실시했다. 생리대 함유 ... ...
의약품 핵심 물질, 자유자재로 다루는 법 찾아냈다
동아사이언스
l
2017.12.27
‘네이처 케미스트리’ 12월 11일자에 실렸다. 이리듐(Ir)을 촉매로 활용해 탄화수소
화합물
의 분자구조를 바꿔 원하는 물질을 합성하는 모식도 - 기초과학연구원 ... ...
소금으로 배터리 개발… “리튬 고갈 염려 사라진다”
동아사이언스
l
2017.12.26
형태로 가공하는 ‘수열합성법’을 이용해 주석 황화물과 그래핀(탄소단원자막)
화합물
을 합성했다. 그 다음 그래핀 속 빈 공간을 열처리를 통해 탄소로 채웠다. 이 방법으로 주석황화물 복합체의 크기를 2nm(나노미터, 1nm는 10억분의 1m)의 초미세 입자로 가공하는데 성공했다. 이번에 연구팀이 ... ...
지구 생명체 기원의 ‘미싱링크’ 찾았다
과학동아
l
2017.12.18
만든 초기 광물이 있을 수 있다”며 “이미 우주의 성간 공간의 가스와 먼지에서 인-질소
화합물
에 대한 증거를 발견했으므로 그 물질이 생명체의 단위 분자 출현에 역할을 했다는 것은 확실하다”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네이처 화학’ 11월 6일자 온라인판에 실렸다. doi:10.1038/nchem.287 ... ...
[나노영챌린지 2017] 물리학도들의 양자컴퓨터 도전기
과학동아
l
2017.11.30
아주대 팀은 논문 읽기 모임을 통해 핵심 아이디어를 얻었다. 전이금속칼코겐
화합물
(TMDC)이라는 물질이 광학적으로 특수한 성질을 가지고 있다는 데 착안한 것이다. 이 물질은 특정한 에너지(파장)를 가진 빛을 비춰주면 반대되는 편광 상태의 빛을 내놓는다. 기존 양자컴퓨터 연구에서 ... ...
이전
91
92
93
94
95
96
97
98
9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