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주변
환경
둘레
근처
외주
원주
가장자리
뉴스
"
주위
"(으)로 총 1,131건 검색되었습니다.
남극 대원, 동상은 적고 외상이 1순위
2015.04.10
허승도 극지연구소 극지기후변화연구부 책임연구원은 “남극에는 병원균이 거의 없고
주위
환경이 깨끗해 감기 같은 일반적인 질병에는 오히려 잘 걸리지 않는다”고 말했다. ● 정신의학, 환경과학 연구가 대세 이 교수의 이번 조사는 대한극지의학회 연구 활동의 일환으로 진행됐다. ... ...
집중력 높이는 손쉬운 방법, ‘이것’만 알면 집중력이 ‘쭈욱↑’…멀티태스킹 알고보니? ‘반전’
동아닷컴
l
2015.04.09
집중력을 높이는 손쉬운 방법 첫 번째는
주위
의 시끄러운 잡음에서 벗어나는 것이다.
주위
소음이나 잡음은 알게 모르게 산만하게 만든다. TV나 라디오의 전원을 끄는 것만으로 눈앞에 있는 과제나 업무에 집중할 수 있다. 집중력을 높이는 손쉬운 방법 두 번째는 자신의 주변 공간을 정돈하는 ... ...
움직이는 ‘로봇 재료’가 온다
2015.04.03
● 온도 따라 모양, 색 변해 로봇 재료의 원조는 ‘스마트 재료’다. 스마트 재료는
주위
환경에 따라 재료의 형태나 색깔 등 특성이 바뀌는 소재를 말한다. 구부러지거나 휘어져도 특정한 온도가 되면 원래 모양으로 돌아가는 형상기억합금이나 온도가 변하면 색도 따라 변하는 시온(示溫) 잉크 ... ...
‘뉴요커 개미’는 정크푸드 좋아해
2015.04.01
또 공원에 사는 종보다 도로에 사는 종이 탄소13의 농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사람
주위
에서 사람의 음식을 주워 먹으며 생존하는 탓에 동위원소도 사람과 유사하게 나타난 것이다. 도로개미의 일종. - 위키피디아 제공 클린트 페닉 연구원은 “사람의 음식은 도로개미 같은 도시 종의 ... ...
줄기세포 잘 보면 백혈병 치료 결과 보인다
2015.03.31
증식하는 암세포인 ‘백혈병 세포’가 정상 줄기세포를 지탱하고 있는 줄기세포
주위
의 지지세포의 유전자 발현이나 지지기능 등을 바꾼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또 줄기세포 주변 환경도 정상 줄기세포는 억제하는 반면 백혈병 세포는 증식하도록 만들었다. 결국 인체 내에서 정상 줄기세포는 ... ...
인생 몰라요~ 점쟁이도 몰라요~
과학동아
l
2015.03.31
까칠한 호관씨’를 매주 수요일 연재합니다. 2013-2014년 과학동아에 연재되었던 코너로
주위
에서 접하는 각종 속설, 소문 등에 대해 과학적인 근거가 있는지 까칠한 시선으로 따져봅니다. 독자 여러분의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 ...
세균으로 만든 천연배터리, 있다 없다?
2015.03.29
사실을 밝혀내고 ‘사이언스’ 27일자에 소개했다. 자색세균은 영양분을 흡수하면서
주위
환경에서 전자를 끌어오는 성질을 가졌다. 전자를 먹는 세균인 셈이다. 특히 철의 산화를 촉진시키며, 이 과정에서 필요한 전자를 끌어오는 것으로 알려져 있었다. 전자를 흡수하고 방출할 수 있다는 ... ...
세포 속에도 ‘도로’와 ‘트럭’이 있다
2015.03.29
그동안 과학자들은 블랙홀과 블랙홀을 포함한 은하를 발달시키는데 블랙홀
주위
에 생기는 강착원반이 도움을 주는 것으로 생각해왔다. 강착원반의 바람이 은하 진화의 원동력이라는 것이다. 이번 주 ‘네이처’에는 실제로 강착원반의 바람을 관측한 결과가 실렸다. 프란시스코 톰베시 ... ...
한반도 덮치는 무서운 물
과학동아
l
2015.03.27
수위를 파악하려면 직접 땅을 파보는 수 밖에 없었다. 반면 NASA의 GRACE는 우아하게 지구
주위
를 돌며, 중력의 미세한 변화로 지하수위를 파악한다.그 결과 7개의 커다란 대수층 중 6개가 지난 10년간 꾸준히 수위가 감소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 과학동아 제공 ● ‘무서운 ... ...
55cm 물체도 식별… 적외선 탐지기능 갖춘 ‘한국의 눈’ 우주 올랐다
2015.03.27
’라는 메시지가 표시됐기 때문이다. 연구원들은 곧 의자에서 일어나 함박웃음을 지으며
주위
사람들과 악수를 나눴다. 우리나라 5번째 실용 인공위성 ‘다목적실용위성3A호(아리랑3A호)’의 발사 성공을 최종적으로 확인하는 순간이었다. ● 발사 6시간 지나 최종 성공 확인 아리랑3A호는 26일 ... ...
이전
91
92
93
94
95
96
97
98
9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