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미립자
원자에너지
에너지
에네르기
태자
황태자
전자
뉴스
"
원자
"(으)로 총 2,398건 검색되었습니다.
[과기원은 지금] GIST
원자
층 두께 다강성 반데르발스 물질 최초 발견 外
동아사이언스
l
2021.06.16
원자
층 단위 두께 조절에 따른 물성 변화를 실험적으로 추적해 이 물질에서 다강성이
원자
층 수준에서 존재한다는 사실을 규명했다. ■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손재성·채한기 신소재공학과 교수팀과 권범진 미국 애리조나주립대 교수팀이 열전소재인 구리-셀레나이드를 벌집 형태로 3차원(3D) ... ...
합판으로 만든 첫 위성 '우드샛' 11월 지구궤도 오른다
연합뉴스
l
2021.06.15
있는 부식성 산소
원자
에 합판 표면이 노출되지 않도록 보호하는 작용도 한다. 이런 산소
원자
는 태양의 강한 자외선 방사로 정상적인 산소 분자가 분해되면서 생성되는데, 미국 항공우주국(NASA)의 초기 우주왕복선 단열재를 훼손하면서 처음 발견됐다. [Arctic Astronautics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 ...
CNN "미 정부, 중국 광둥성 원전 누출 신고받고 위험성 평가 중"
동아사이언스
l
2021.06.14
인구를 갖고 있다.
원자
력안전위원회 관계자는 "해당 사안에 대한 문의가 들어와 중국
원자
력 규제기관인 중국국가핵안전국(NNSA) 측에 문의를 해놓은 상황"이라며 "현재까지 국내에 설치된 감시기의 방사선 수치는 별다른 변화를 보이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 ...
페로브스카이트 소재로 고성능 메모리 소자 구현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6.13
소재의 특성 및 현상을 이해하고 예측하기 위한 방법으로 양자역학 해석에 기반해
원자
들 사이의 상호작용을 정확히 기술하기 때문에 예측력이 높은 게 특징이다. 연구진은 제일원리계산 기법을 통해 다이머 구조의 할로겐화물 페로브스카이트 소재가 기존 페로브스카이트 소재들보다 빠른 ... ...
신한울 1호기 운영허가 '불발'…다음 회의에 재상정
동아사이언스
l
2021.06.11
하나는 원전에 설치된 피동촉매형수소재결합기(PAR)의 안전성을 둘러싼 논란이다. PAR는
원자
로 격납 건물 내부의 수소 농도를 낮추는 장치로 지진이나 해일 같은 대형 재난이 발생하면 자동으로 원전 내 수소 농도를 낮춰 폭발을 막는다. 2011년 일본 후쿠시마 원전 사고에서도 격납용기 내부의 ... ...
‘궁극의 원전’ 찾아 4세대로 눈 돌린다…韓 100MW ‘살루스’ 연구 시작
동아사이언스
l
2021.06.11
차세대
원자
로 개발을 위해
원자
로를 컴퓨터로 시뮬레이션한 모습. 미국 오크리지국립연구소 제공 마이크로소프트(MS) 창업자인 빌 게이츠가 ... “테라파워를 시작으로 2030년대 중반에는 4세대
원자
로를 300MW 이하 소형모듈
원자
로(SMR)로 짓는 차세대 원전 시장이 열릴 것”이라고 전망했다 ... ...
[랩큐멘터리]
원자
에서 소재의 본질 찾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6.09
이해하고 나아가 새로운 소재를 설계하는 데 기반이 되고자 한다. 포스텍 전자∙
원자
구조 이미징 해석 연구실 보기 ` ※대학 연구실은 인류의 미래에 어떤 일들이 펼쳐질지 엿볼 수 있는 창문입니다. 인류 지식의 지평을 넓히는 연구부터 실제 인간의 삶을 편하게 하는 기술 개발까지 ... ...
원자
력硏, 삼성중공업과
원자
력 추진 선박 개발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6.09
높다. 고효율 전력은 물론 수소를 동시에 생산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박원석 한국
원자
력연구원 원장은 “MSR은 기후변화 이슈에 효율적으로 대응 가능한 무탄소 에너지원으로, MSR 기반 해양 수송선 개발은 국제 물류에서 게임체인저가 될 만한 차세대 기술”이라며 “삼성중공업과 함께 MSR ... ...
[표지로 읽는 과학]전사의 과정을 생생히 본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6.06
멈추게 한 뒤 정밀하게 관찰하는 전자현미경이다. 바이러스, 단백질 같은 생체 분자를
원자
수준에 가깝게 자세하게 볼 수 있다. 과학 연구에 혁신을 가져온 공로를 인정받아 극저온전자현미경을 개발한 과학자 3명은 2017년 노벨 화학상을 받기도 했다. 연구팀이 극저온전자현미경을 활용해 전사 ... ...
[잠깐과학] 멸망까지는 몇분?… ‘운명의 날 시계’의 등장
어린이과학동아
l
2021.06.05
세계의 멸망이 가까워질수록 시계의 분침이 자정에 더 가까워지는 원리입니다. 소련이
원자
폭탄보다 훨씬 위력이 강한 수소폭탄을 개발하던 1953년에는 분침이 자정 2분 전으로 당겨지기도 했습니다. 소련이 해체되고 냉전이 끝난 1991년에는 자정 17분 전으로, 운명의 시간이 멀어졌습니다. 냉전은 ... ...
이전
91
92
93
94
95
96
97
98
9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