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배낭세포
배낭
베낭
세포단체
단체
원형질체 단위
cell
뉴스
"
세포
"(으)로 총 7,337건 검색되었습니다.
유전자가위 이용해 면역항암제 치료 효과 높였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8.14
의미한다. 이어 연구팀은 전사체 분석, 면역침전법, 질량분석법 등을 활용해 TPST2가 T
세포
에서 나오는 면역반응 물질인 '인터페론 감마(IFNγ)'의 설포화를 진행해 면역을 조절한다는 기전을 규명했다. 설포화란 효소에 의해 특정 아미노산 잔기에 황산기가 붙는 과정이다. TPST2의 억제가 IFNγ ... ...
인구 10% 겪는 자가면역질환 제어 원리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8.14
최근에는 다양한 신호전달계에 직접 작용한다는 사실이 알려졌다. 연구팀은 면역
세포
인 T
세포
로 유입된 류신이 대사되는 과정에서 자가면역질환을 일으키는 물질인 사이토카인 분비가 증가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자가면역질환이 있는 쥐 모델에 류신 유사체를 투여해 류신 대사를 억제하자 ... ...
방학 끝 우리 아이도 혹시?…소아청소년 비만이 더 위험한 이유
동아사이언스
l
2024.08.13
수 있다”며 “한번 늘어난 지방
세포
수는 살을 빼도 줄어들지 않으며 소아비만은 지방
세포
증식형 비만이 대부분이기 때문에 성인 비만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말했다. 소아 비만은 성인 비만보다 다양한 합병증을 가져올 수 있다는 점도 관리가 중요한 이유다. 김 교수는 “소아비만은 ... ...
"암 억제 단백질, 손상된 DNA 합성 돕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8.13
아미노산으로 구성된 작은 단백질분자로
세포
내 수많은 단백질에 연결되면서 거의 모든
세포
내 기능에 관여하고 있다. 유비퀴틴화된 PCNA(Ub-PCNA)는 탈유비퀴틴화 효소를 통해 유비퀴틴이 제거되고 정상적인 DNA 합성을 재개한다. 지금까지 Ub-PCNA가 이같은 탈유비퀴틴을 하는 과정은 규명되지 ... ...
[과기원NOW] 항체 결합 약물 전달체, 암 치료 효과 높인다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8.12
정확하게 표적할 수 있다. 항체 단백질은 MOF 입자 표면에 부착되며 암
세포
외 다른
세포
와 불필요하게 반응하는 것을 줄여 생체환경 안전성을 높였다. ■ KAIST는 한동수 전산학부 교수 연구팀이 무선 신호가 없는 건물에서도 동작하는 '범용 실내외 통합 GPS 시스템'을 개발했다고 12일 밝혔다. ... ...
침·점액 등 체액으로 암 조기 진단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8.12
개발된 기술은 기존 암 진단법인 혈액 채취나 조직검사와 달리 암 환자의 체액만으로
세포
대사산물 변화를 고감도로 검출해 암을 진단하는 비침습적 기술로 활용도가 높다. 정 선임연구원은 "암 진단뿐만 아니라 파킨슨병, 뇌전증 등 시냅스 질환처럼 진단법이 잘 알려지지 않은 질병에도 확장할 ... ...
피 한방울로 50가지 암 진단 '갈레리 검사'…유착 의혹 제기돼
동아사이언스
l
2024.08.08
염기서열 분석 기술로 혈액 내에서 순환하는 DNA 조각, 즉 cfDNA를 분석하는 방식이다. 암
세포
에서 나오는 DNA 조각들은 생화학적 변형인 '메틸화'의 특정한 패턴이 남게 되는데 갈레리 검사는 인공지능(AI)을 활용해 DNA 조각에서 백만 개 이상의 메틸화 패턴을 확인하고 암을 진단한다. 갈레리 검사를 ... ...
식물 호르몬 분석해 '유전자 발현 조절 새 메커니즘'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8.08
컴퓨터 모델링 등을 수행한 결과 친화력이 상대적으로 낮은 전사조절 억제인자들이
세포
내 농도에 따라 친화력이 높은 억제인자들에 대한 결합 경쟁을 하는 것이 확인됐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에서 밝힌 전사 억제인자들에 의한 옥신 작용 조절 메커니즘은 다양한 환경 조건에 적응하는 ... ...
간암 촉진 메커니즘 규명…"극적인 치료 전략 기대"
동아사이언스
l
2024.08.08
띄게 줄어든 점도 확인했다. 연구팀은 “간암 종양 미세환경 내 면역
세포
와 간성상
세포
의 상호작용 메커니즘을 대사적 측면에서 최초로 확인했다”며 “해당 상호작용을 억제하면 간암이 호전된다는 점에서 간암 치료의 새로운 전략을 제시했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에서 제시한 치료 ... ...
[과기원NOW] 변종 바이러스 치료제 개발 '감염 원천 봉쇄'
동아사이언스
l
2024.08.07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의 원인 바이러스 종류인 코로나바이러스는 인체
세포
가 외부 물질을 흡수하는 과정을 통해 침투한다. 연구팀은 이 과정에서 UNI418이 특정 단백질을 저해하면서 유전체 항상성이 유지돼 바이러스 침입을 막을 수 있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이번 연구결과는 ... ...
이전
91
92
93
94
95
96
97
98
9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