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재배
양성
경작
양식
교화
수예
사육
뉴스
"
배양
"(으)로 총 957건 검색되었습니다.
오락가락 기후변화 대응, 이번이 마지막 기회!
동아사이언스
l
2013.07.15
이산화탄소를 이용해 바이오 연료를 생산할 수 있는 플랑크톤 등 미세조류를 대량
배양
할 수 있는 기술. 이산화탄소 배출량 감소에 따른 환경보호와 미세조류 생산에 따른 고부가가치 자원 생산 및 새로운 소득 증대 창출이 기대됨. 기술의 실현 시기는 3~4년 후로 예상됨. 3)기후변화에 따른 전 ... ...
식중독 원인 1시간내 규명… 식약처 ‘휴대용 키트’ 만든다
동아일보
l
2013.07.15
현장에 출동해 식품 샘플과 환자의 배설물들을 수거한다. 검체에서 균주를 추출해
배양
하는 작업에 최소 3일, 길게는 일주일 이상이 걸린다. 이렇게 시간을 들여도 식중독 발생의 원인을 정확하게 밝히지 못하는 때도 많다. 질병관리본부의 역학조사 보고서에 따르면 2010년부터 3년간 식중독의 원인 ... ...
'이것' 흉내내니 방수기능 '대단하네~'
동아사이언스
l
2013.07.11
미세구조 막은 액체 영양분과 세포호흡에 필요한 기체를 동시에 공급할 수 있는 세포
배양
지를 만드는데 활용될 수 있으며, 선박표면 방수코팅제에 적용하면 배의 마찰저항을 줄이고 연료소모를 줄일 수 있다. 김 교수는 “이번에 개발한 기술은 기존의 초소수성 표면 제조방법과 달리 ... ...
오렌지나 레몬으로 암 치료할 수 있다고?
동아사이언스
l
2013.07.08
유전자 발현을 조절할 수 있는 방법을 찾기 위해 특정 물질들을 줄기세포에 주입하면서
배양
했다. 그 결과 비타민C가 줄기세포에 주입된 후 유전자 발현이 억제되는 것을 발견했다. 세포 안의 유전물질에 메틸기가 붙으면 유전자의 형질이 변하거나 발현이 억제되는 ‘DNA메틸화’가 일어난다. ... ...
[채널A] 간 조직
배양
·이식 최초 성공…무병장수 ‘성큼’
채널A
l
2013.07.05
[앵커멘트] 늙고 병들었을 때 원래 장기와 똑같은 건강한 장기를 만들어 쓴다, 공상 과학 영화 얘기가 아닙니다. 일본 연구진이 피부 세포로 만든 줄기 세포를 이용해 사람의 간을 만들어냈습니다. 이영혜 기잡니다. [리포트] 작은 간 조직이 자라납니다. 가로길이가 5mm밖에 안 되지만 사람의 간과 ... ...
세균 먹는 바이러스 東海서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7.01
그동안 분리·
배양
이 쉽지 않다. 더군다나 해양 바이러스도 세균과 마찬가지로 분리·
배양
이 어려워 유전적 분류나 유전자 기능 등이 잘 알려지지 않았다. 연구진은 이번에는 이 세균에 기생하는 바이러스 ‘HMNO-2011’을 분리하는 데 성공했다. 분리한 바이러스의 유전체를 분석했더니 기존 ... ...
[채널A] 의사들, ‘나비 넥타이’ 맨 이유 들어보니…
채널A
l
2013.06.16
유방갑상선센터장] 영국 병원 내 감염 조사 결과에 넥타이 끝과 의사 가운 끝에서 균을
배양
해보니 포도상구균이 굉장히 많이 발견 됐구요. 그래서 과감하게 넥타이를 짧게, 가운도 짧게 바꾸게 되었죠. 실제로 국내 한 대학병원 전공의 28명이 착용하는 가운과 넥타이를 조사한 결과 슈퍼박테리아로 ... ...
곤충 공생균이 살아남는 방법 밝혔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6.13
노린재’를 연구대상으로 선택했다. 이 노린재 장 속에서 자란 균과 시험관에서
배양
한 균을 분석한 결과, 장 속에서 자란 균에서 ‘phasin’이란 단백질이 많이 발현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phasin’은 미생물이 거친 환경에 적응하기 위해 세포 내에 합성하는 물질인 PHA의 구조단백질이다. ... ...
[헬스&뷰티]관절 고치는 ‘골형성단백질’ 국내 최초 개발
동아일보
l
2013.06.05
견고하게 재생하는 것이다. 골형성단백질은 동물세포나 대장균의 단백질을 추출한 뒤
배양
해서 만든다. 이 단백질을 몸에 주입하면 중간엽 줄기세포(성체줄기세포의 일종)가 뼈를 만드는 조골세포와 연골세포로 분화하는 데 도움을 준다. 이 때문에 이 단백질을 치과에서는 임플란트 치료를 할 때 ... ...
"법에 매달리다 보니 배아줄기세포 연구 뒤쳐지는 것"
동아사이언스
l
2013.05.28
만드는 연구를 진행한 적이 있다. 8세포기 배아에서 떼어낸 할구 하나는 아무리
배양
해도 생명체로 자랄 수 없기 때문에 법에 위배되지 않는다는 생각에서였다. 그렇지만 국내법은 수정에 실패한 난자나 수정을 포기한 난자 등 ‘잔여배아’만 사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데, 이 교수팀이 사용한 ... ...
이전
91
92
93
94
95
9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