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옛날
고려대학교
고려대
고려대학
오래됨
상고
절벽
뉴스
"
고대
"(으)로 총 971건 검색되었습니다.
한가위 보름달은 수학으로 뜬다!
수학동아
l
2013.09.16
도로드나우는 구적이 가능한 초승달은 5개뿐이라는 것을 증명했다. 즉, 달의 모양은
고대
수학자들의 연구 대상이자 현대 수학자도 관심을 갖고 도전한 난제였던 것이다. 이밖에도 수학동아 10월호에서는 달 모양을 벤 다이어그램과 부등식으로 나타내는 방법, 달과 관련된 재밌는 수학 ... ...
"내가 바로 곤드와나의 3억5000만살 먹은 동물!"
동아사이언스
l
2013.09.04
남아프리카공화국 이스턴케이프에서 발견된 데본기 곤드와나전갈의 화석 - 비트바테르스란트대 제공 고생대 중기 3억 9500만~3억 4500만 년 전 데본기에는 남극, 남아메리카, 아프리카, 호주 등이 하나로 뭉쳐있었던 초대륙 '곤드와나'가 있었다. 최근 곤드와나 대륙에 살았던 것으로 추정되 ... ...
호빗족은 지금도 어딘가에 살고 있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13.09.02
플로레시엔시스(Homo floresiensis), 일명 ‘호빗(Hobbit)’의 발굴을 이끈 인류학자다. ●
고대
인이 남긴 암각화에 관심가져 1950년 뉴질랜드 오클랜드에서 태어난 모우드는 오세아니아 원주민의 조상들이 바위에 남긴 그림(rock art)에 매료돼 인류학자가 됐다. 1981년 호주 뉴잉글랜드대학에 자리를 잡은 ... ...
땅이 솟아오르니 못보던 생물체 생겨나
동아사이언스
l
2013.08.26
년 간 지속된 오르도비스기(Ordovician period) 당시 현재의 북미 지역은 ‘로렌시아’라는
고대
대륙의 일부였다. 그런데 오르도비스기 말기에 일어난 조산운동인 ‘타코닉 변란’에 의해 애팔래치아 산맥이 융기하면서 주변의 함몰된 지형에 바닷물이 유입됐다. 연구진은 당시 로렌시아 대륙과 ... ...
스토리텔링 수학, 여전히 잘 모르겠다면? 해답은 독서 활동!
수학동아
l
2013.08.26
왕관은 순금이야!”
고대
그리스의 수학자 아르키메데스가 목욕탕에서 우연히 부력의 원리를 알아내고 너무 기쁜 나머지 알몸으로 거리를 활보했다는 유명한 일화가 있다. 그런데 부력의 원리를 아르키메데스 스스로 알아낸 것이 아니라 미래에서 온 꼬마 수학자에 의해서라는데…. 대체 무슨 ... ...
물리학자가 암 정복에 도전을?
과학동아
l
2013.08.11
도전장을 낸 것이다. 이 주장에 따르면, 암이 진행될수록 더욱 깊은 곳에 숨어 있는
고대
의 유전자가 표현된다. 데이비스 교수는 “암이 진화 과정에서 없어지지 않은 것은 배아 발달의 초기 단계에서 필수적인 기능을 하기 때문”이라며 “배아 단계에서 활성화됐다가 잠복하는 유전자가 훗날 다시 ... ...
강한 자만 살아남는 냉혹한 세포 세계
동아사이언스
l
2013.08.04
리처드 포츠 박사는 “수백 만 년에 걸쳐 퇴적물이 쌓인 호수 바닥을 시추해 분석해 보면
고대
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의 기후변화가 생태계 시스템에 어떤 영향을 끼쳤는지 알 수 있다며 “이를 통해 미래의 인류 모습을 가늠해 볼 수 있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와 함께 사이언스는 앞으로 1 ... ...
2100년 전
고대
문명을 되살린 중국 발굴단의 이야기
동아사이언스
l
2013.08.04
장면을 차근차근 읽어 보는 것도 적잖은 즐거움을 가져다 줬기 때문일 게다. 더운 여름
고대
문물과 역사를 발굴한 현장 과학자들과 문화학자들을 만나보고 싶지 않으신가 ... ...
거북 등딱지 가슴뼈에서 왔다
과학동아
l
2013.07.24
것이다. 화석 연구도 이를 뒷받침했다. 연구팀이
고대
거북인 오돈토첼리스와
고대
파충류인 사이노사우로스파르기스의 화석을 연구한 결과 이 둘 모두 내골격에서 유래한 껍데기를 갖고 있었다. 히라사와 박사는 “조만간 거북의 등딱지가 언제 어떻게 진화했는지 수수께끼를 밝힐 수 있을 ... ...
[채널A] 식초로 소독은 금물…해파리 독침 공격 대처 요령
채널A
l
2013.07.22
촉수를 자극해 독침이 더 많이 나올 수 있어 절대 삼가야합니다. [인터뷰 : 조영덕/
고대
구로병원 응급의학과 교수] 바닷물로 씻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독침이 보이는 경우 깨끗한 카드를 사용해서 뽑아내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주로 물에 떠다니는 해파리는 물의 흐름이 느려지는 만에 몰리는 ... ...
이전
91
92
93
94
95
96
97
9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