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큰소리"(으)로 총 1,119건 검색되었습니다.
- 쉽고 재미있는 악기, 알티폰기사 l20160405
- 혹시 여러분은 악기를 연주할 줄 알거나 배우고 있나요? 악기 연주가 힘든 분들은 재미있는 악기 Artiphon(알티폰)을 시도 해 보세요. Artiphon(알티폰)은 많은 악기의 소리 뿐 만 아니라 연주하는 방법까지 따라할 수 있답니다. 기타 처럼 칠 수도 있고, 피아노 처럼 두드릴 수도 있습니다. Artiphon(알티폰) 창립자 JACUB GORDON은 ...
- 우리나라의 24절기에 대하여기사 l20160401
- 안녕하세요? 김민경 기자입니다.오늘은 우리나라의 24절기를 알아보겠습니다.잠깐! 절기가 무엇인지 모르겠다고요? 절기는 한 해를 스물넷으로 나눈 기후의 표준점으로 15일 내지 16일에 한 번 돌아온다고 합니다. 우리나라의 24절기를 한 눈에 보면 이렇습니다.24절기는 양력을 기준으로 해요. 대략의 날짜와 절기를 알려드렸으니 이제 더 자세하게 파헤쳐 보겠습 ...
- 세종대왕님과의 가상 인터뷰! 우리나라의 혁신, 세종대왕기사 l20160326
- 안시은 기자: 오늘은 우리나라의 기반을 잡아주시고 우리 고유의 멋을 담은 한글을 창조하신 세종대왕님을 만나보도록 하겠습니다. 안녕하세요. 먼저 간략한 소개와 대왕님의 업적을 소개해주세요.세종대왕: 그러도록 하지요. 흠, 나는 조선시대의 4대 왕으로 한자나 글을 익히지 못해 고통 받거나 힘들어하는 백성들에게 쉽고 어렵지 않게 ...
- 미친 화학자의 실험실어린이과학동아 l20160310
- “삐리리리릭! 비상! 비상!” 귀를 찢을 듯한 큰 소리에 잠에서 깬 시원이가 시계를 보다 화들짝 놀랐어요. “큰일 났다! 지각이다!” 첫 수업은 시원이가 좋아하는 화학 시간이었는데 늦잠을 자고 말았네요. [본 기사는 어린이과학동아 6호(2016년03월15일 발행)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 오늘 삼일절 이예요. 삼일절이니까 왠지 대한 독립 만세 라고 큰 소리로 외치포스팅 l20160301
- 오늘 삼일절 이예요. 삼일절이니까 왠지 대한 독립 만세 라고 큰 소리로 외치고 싶네요. ...
- 여러분은 오늘 오후 6시경의 낙뢰와 아주 큰 소리의 천둥을 보고 들으셨나요? 저흰 정전이포스팅 l20160213
- 여러분은 오늘 오후 6시경의 낙뢰와 아주 큰 소리의 천둥을 보고 들으셨나요? 저흰 정전이 일어날뻔 했어요. 보고 있던 티비가 연결신호가 약해 졌다 하고 인터넷 집전화는 전화가 불통이었어요. 천둥을 별로 무서워하지 않던 제가 순간 무서웠지요. ...
- 언브레이커블 만화가 현실이 된다면 주인공들은 과연 행복할까. 나이트 샤말포스팅 l20151220
- 언브레이커블 만화가 현실이 된다면 주인공들은 과연 행복할까. 나이트 샤말란 감독이라면 아마도 고개를 저을 것이다. '언브레이커블'의 주인공 데이비드(브루스 윌리스 분)는 대형 열차 사고에서도 혼자 살아남을 만큼 불사조 같은 육체를 가졌다. 그의 뼈는 절대 부러지지 않으며 어떤 사고로도 결코 다치지 않는다. 그러나 만화 속 주인공과 달리 그는 자신 ...
- 오늘은 제가 바이올린에 대해 소개해 드리려고 해요~^^ 제가 바이올린이 꽤 오랫동안 배워서포스팅 l20151220
- 오늘은 제가 바이올린에 대해 소개해 드리려고 해요~^^ 제가 바이올린이 꽤 오랫동안 배워서;;;;; (출처: 네이버 위키백과) 바이올린(독일어: violine, 프랑스어: violon,영어: violin)은 완전 5도로 조율하는 현이 넷인 찰현악기이다. 비올라, 첼로와 더불어바이올린족 악기에 속하며, 그중 가장 높은 소리를 낸다. 피아노와 대등할 만큼 인기 ...
-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KBSI)에 다녀오다 초고전압투과전자현미경(HVEM): 원자구조를 3차원으로 구현하는 수리수리 마하수리기사 l20151214
- 기자는 지난 11월 30일 대전광역시 유성구 과학로에 위치한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KBSI:Korea Basic Science Institute)에 다녀왔어요. 이곳은 대한민국 기초과학진흥을 위한 연구시설장비 및 분석과학기술 관련 연구개발, 연구지원 및 공동연구를 수행하는 곳입니다. 초등학생인 나로서는 처음 들어보는 곳이었는데요, 한마디로 우리나라 과학발전 ...
- 코셈을 다녀오다 주사전자현미경(SEM)으로 들여다보는 본 나노의 창: 작지만 큰 세상기사 l20151209
- 코셈을 다녀오다: 주사전자현미경(SEM)으로 들여다보는 본 나노의 창. 언젠가부터 전자현미경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어요. 기자가 현재 가지고 있는 광학현미경(OLYMPUS CH-30)이 구현할 수 있는 1000배율보다 더 자세히 보고 싶은 마음 때문일 겁니다.물론 기자도 처음에는 최대 50배율 정도의 교육용 현미경으로 관찰하기 시작했지만 이제는 1000배 ...
이전91929394959697989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