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활동"(으)로 총 6,600건 검색되었습니다.
- [이달의 과학사] 광부를 구한 생명의 지저귐, 탄광의 카나리아, 은퇴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4호
- 유독 가스를 민감하게 감지한다는 사실을 발표했어요. 이들은 체구가 작고 대사 활동이 빨라, 인간보다 일산화탄소에 더 빨리 영향을 받았거든요. 그래서 1896년부터는 광부들이 쥐를 데리고 광산 작업을 하기 시작했어요. 그러다 일산화탄소에 훨씬 민감한 카나리아로 바뀌었죠. 횃대에 앉아있던 ... ...
- [2020 어과동 어워드] 데이터로 보는 2020 지사탐!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3호
- 윤미정 임업연구사님은 최근 4년(2017~2020년) 동안의 귀화식물 탐사 기록을 분석하는 연구 활동을 시작했어요. 4년간 지사탐 대원들이 올린 기록만 해도 총 1만 4594건이나 되지요. 정확한 분석을 위해 국립수목원에서는 모든 탐사기록을 살펴보고 사진 속 식물이 어떤 종인지 동정*하고 있어요.그리고 ... ...
- 지구를 위한 작은 실천 따·분·행!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3호
- 사회적 가치를 만드는 일이에요. 따분행 프로젝트는 어과동 독자들이 참여할 수 있는 CSV 활동 중 하나로, 플라스틱을 분리배출하여 재활용률을 높이기 위한 캠페인이랍니다.플라스틱은 현대 생활의 필수품으로 꼽히지만, 한 번 쓰인 뒤 바로 버려지는 경우가 많아 환경 오염의 주범으로 꼽히고 ... ...
- [특집] 2020 어과동 어워드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3호
- 기자단과 지구사랑탐사대 활동을 데이터로 살펴보고 다양한 프로젝트에서 열심히 활동한 어과동 가족들의 이야기를 들어봤어요! ▼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 Intro. [2020 어과동 어워드] 어린이 과학동아 2020년을 빛낸 최고의 주인공은?Part1. [2020 어과동 어워드] 데이터로 보는 2020 기자단!Part2. [20 .. ...
- [2020 어과동 어워드] 지사탐 특별인터뷰 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3호
- “기후변화지표종인 나비를 꾸준히 관심 가져 주세요!”추헌철(서울특별시동부공원녹지사업소 공원여가과 실무관) 올해 지사탐에는 새로운 탐사종으로 나비가 ... 활동하는 지사탐 대원이 함께했지요. 이번엔 올해 첫 탐사지만, 누구보다 열심히 활동한 완도탐사대 팀을 소개할게요 ... ...
- [2020 어과동 어워드] 데이터로 보는 2020 기자단!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3호
- 부문입니다! 올해 1월 1일부터 10월 31일까지, 기자단 친구들이 쓴 포스팅, 기사, 댓글 등의 활동을 분석해 보았습니다. 올 한해 기자단 친구들이 관심을 가졌던 주제는 무엇이었을까요? 기자단 친구들이 가장많이 쓴 단어는 ‘사람’! 2020년 1월 1일부터 10월 31일까지, 기자단 친구들이 어과동 ... ...
- [2020 어과동 어워드] 데이터로 보는 플라스틱 다이어트 프로젝트!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3호
- 올해는 생물을 사랑하는 활동에서 나아가, 자연을 사랑하고 보전하는 플라스틱 다이어트 프로젝트가 활발히 이뤄졌어요. 특히 지난해 4월에 시작한 플라 ... 돌파했지요. 어린이과학동아 친구들은 플라스틱을 얼마나 덜 썼을까요? 올해 1월 1일부터 10월 31일까지의 활동을 분석해 보았어요 ... ...
- [현장취재] 여기 다- 모였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3호
- 10월 ISS에서 광고를 촬영했고, ISS에서 영화 촬영 계획이 발표되는 등 다양한 상업 활동이 이뤄지기 시작했어요. 나아가 미국 정부는 2021년 달에 사람을 보내는 ‘아르테미스 계획’을 위해 올해 초 민간 참여 프로그램을 열었어요. 로봇과 인간이 달에 착륙하는 주요한 기술을 개발할 때마다 NASA가 ... ...
- [질문하면 답해줌!]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3호
- 수축해요. 다리에 쥐가 나는 이유는 다양하지만, 대부분 갑작스러운 운동이나 무리하게 활동해 근육의 피로가 쌓이면 쥐가 나요. 또한 긴장했을 때에도 신체 부위에 쥐가 날 수 있어요.이 외에도 신경세포의 장애나 혈관 속에서 피가 굳어지며 생기는 덩어리인 혈전 등의 이유로 다리에 쥐가 나곤 ... ...
- AI만 있으면 나도 작곡가!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2호
- 돕는 기술이라고 말하고 싶어요. 글을 쓰거나 그림을 그리거나 노래를 만드는 창작의 활동은 매우 고통이 커요. 이봄은 내가 흥얼거리는 음, 지정한 계이름 등을 입력하면 다양한 멜로디를 뚝딱 만들어줘요. 그럼 그중에서 내가 원하는 곡을 선택하고 발전시켜나가면 완성도가 높아지겠죠?곧 ... ...
이전91929394959697989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