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극단
연극단
끝
끄트머리
궁극
극치
극한
d라이브러리
"
한쪽
"(으)로 총 2,058건 검색되었습니다.
과유불급(過猶不及)과 부등식
과학동아
l
2009년 07호
흔히 세상을 살아가며 어느
한쪽
으로 치우치지 않게 행동해야 한다는 ‘중용(中庸)의 도(道)’를 이야기한다. 어떤 어려운상황에서도 삶의 중심을 지키면서 자신의 신념을 잃지 않는 상태를 중용이라고 할 수 있는데, 중용을 따르는 일은 말처럼 그리 쉽지 않다. 자신의 사리사욕(私利私慾)을 ... ...
손가락 굵기에 도전하는 LED TV
과학동아
l
2009년 07호
빛을 특정 각도로 입사시켰을 때 그 빛을 100% 반사시키는 특성(전반사)을 갖고 있어 빛을
한쪽
끝에서 다른 쪽 끝까지 중간에 손실 없이 전달할 수 있다. 삼성은 이런 특성을 도광판에 활용해 LED 광원에서 나온 빛이 화면 전체에 효율적으로 전달되도록 만들었다.또 LED와 거리가 가까운 화면 주변부는 ... ...
헤엄 잘 치는 '밥도둑' 꽃게
과학동아
l
2009년 06호
모여 있으면 동족끼리도 공격하고 잡아먹기에 어부들은 꽃게를 잡아 올리자마자 집게발
한쪽
을 가위로 자른다. 중국의 고서 ‘박물지’에서 “추모(꽃게)의 큰 놈은 힘이 세 호랑이와 싸울 정도이며 집게발로는 사람을 잘라 죽일 수 있다”고 밝힌 것을 보면 꽃게의 사나움과 폭력성은 ... ...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병원성의 비밀
과학동아
l
2009년 06호
희생양이 됐다. 연구자들은 생쥐를 두 집단으로 나눠
한쪽
은 평범한 독감 바이러스를,
한쪽
은 스페인 독감 바이러스를 감염시키고 어떻게 되는지 관찰했다.2006년 10월 5일자 ‘네이처’에 실린 논문을 보면 스페인 독감 바이러스가 정말 끔찍하다는 걸 알 수 있다. 생쥐들은 대부분 5일 만에 죽었는데 ... ...
지하철과 KTX 선로 같을까? 다를까?
과학동아
l
2009년 06호
각각 재서 마모를 판단한다. 둘 사이의 온도 차가 너무 크면 바퀴를 제어하는 베어링
한쪽
이 과열로 마모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또 선로의 중앙에 60km마다 ‘끌림물체검지장치’가 설치돼 있다. 차체에서 떨어져 나온 부속품이 없는지 즉각 판단하는 시스템이다. 이러한 전자장치들이 KTX 전용선로를 ... ...
내 세포로 만든 바이오치아 시대 열리나
과학동아
l
2009년 06호
크게 벌리고 있는데, 치과용 핸드피스가 위협적인 소리와 함께 입속으로 들어온다.
한쪽
잇몸에 부분 마취를 해 느낌은 없지만 충치가 있는 부분을 갈아내는 순간엔 누구라도 치아 관리를 좀 잘할 걸 하는 생각이 든다. 음식이나 간식을 먹을 때마다 양치를 한다고 했지만 충치를 막기에는 ... ...
자생 생물 세밀화에 빠지다
과학동아
l
2009년 06호
모습부터 줄기에서 액이 나오는 것까지 표현하고 있죠.”컬러가 돋보이는 작품들의
한쪽
에는 채색하지 않은 채 펜으로 그린 그림도 있다. 이른바 ‘학술묘사’(scientific drawing) 작품이다. ‘한국 자생생물 세밀화 공모전’은 3회부터 학술묘사 작품을 따로 심사했는데, 정인영 씨의 ‘참작약’이 ... ...
생활 속 밀도 이야기
과학동아
l
2009년 06호
따로 떨어져 있을까 서로 연결된 것일까. 확인을 위해
한쪽
부레를 터뜨렸더니 나머지
한쪽
도 꺼져버렸다. 보기에는 두 개의 떨어진 주머니처럼 보이지만 사실은 하나로 연결된 것이었다.위쪽의 하얗고 통통한 주머니가 부레다. 암컷 붕어(1)에는 노란 난소가, 수컷 붕어(2)에는 하얀 정소가 부레 앞에 ... ...
연필심에서 발견한 꿈의 나노 소재 그래핀
과학동아
l
2009년 05호
일반적으로 반도체 소자에 전류를 흘려보내면 로렌츠 힘 때문에 전자들은 반도체 소자의
한쪽
가장자리로 이동한다. 이때 전류의 수직 방향으로 전압차가 유도되며(홀 효과) 홀 저항은 옴의 법칙(R=V/I)에 따라 유도된 전압차를 전류로 나눈 값을 갖는다. 그런데 모든 반도체 소자는 필연적으로 ... ...
생활 속 압력과 전기의 소통
과학동아
l
2009년 05호
반대쪽이 음(-)극성을 띠는 분극 현상이 일어난다. 압전체 내부를 자세히 들여다보면
한쪽
에 양전기를, 반대쪽에 음전기를 띠는 쌍극자(dipole)들이 수없이 존재한다. 쌍극자들이 일정한 방향으로 정렬해 압전체에 분극 현상이 나타나는 셈이다.이제 압전효과가 발생하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살펴보자. ... ...
이전
91
92
93
94
95
96
97
98
9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