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전화
전화기
phone
후드점퍼
홀리데이
fawn
phon
d라이브러리
"
폰
"(으)로 총 1,398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4. 인공 뇌에도 마음이 있을까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혼백처럼 외부에서 유입되는 물질이 없다는 뜻이다. 19세기에는 독일의 생리학자 헤르만
폰
헬름홀츠가 신경의 운동신호 전달 속도를 측정했다.현대에 와서 뇌의 모든 작용은 뉴런의 이온채널에 의한 작용이라는 게 밝혀졌다. 뉴런 외부와 내부에 있는 여러 이온의 농도 차이로 세포막은 -70mV의 전압 ... ...
[3월] 이슈 키워드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의미가 있지만 비밀 투표가 보장되지 않고 대리 투표 가능성도 있다. 또한 스마트
폰
이 익숙하지 않은 노인층이 소외될 수 있다는 우려도 있어 선거의 해인 올해 지속적인 논란이 될 전망이다. 현실에 맞게 장기이식법 개정해야서울아산병원 소아외과 김대연 교수팀은 선천성 희귀병을 앓고 있던 ... ...
입는 컴퓨터 옷이포디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있다. 영화 파일과 함께 4D효과 파일을 내려받아 스마트
폰
에서 재생하면 끝이다. 스마트
폰
과 옷이 블루투스로 통신하며 옷으로 4D효과를 전송한다. 옷에는 소형 진동모터, 송풍팬, 물분사기 등이 장착돼 장면에 맞는 4D 효과를 만들어낸다. 맥박을 측정할 수 있는 센서를 장착하면 맥박의 변화를 ... ...
PART1. 내가 아직도 게임기로 보이니?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기획하면서 장치에 대한 고민을 많이 했는데 이제는 그럴 필요가 없다”며 “스마트
폰
은 터치패드, 자이로센서 같은 첨단 기술을 대중과 가깝게 만들어 줬다”고 말했다.우 교수는 현재 관광 같은 아웃도어 활동에 게임을 활용하는 연구를 하고 있다. 단순히 코스를 따라 순서대로 둘러보는 ... ...
PART2. 게임, 현실을 침공하다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비전을 내세운 그린구스는 가정 내 무선 공유기에 작은 녹색 수신기를 달아 스마트
폰
앱이나 칫솔, 장난감 등의 센서와 정보를 교환한다. 밤에 양치질하기 싫어하는 아이에게 센서가 달린 칫솔을 주고 양치질한 정보를 모아 보상해 준다. 양치질을 시키기 위해 아이와 싸울 필요가 없어진다 ... ...
황당맨의 취재수첩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데 도움이 된다.정 센터장은 여기에 IT기술을 접목해 연구자가 태블릿이나 스마트
폰
으로 영상을 확인할 수 있게 만들었다. 원격 진단과 치료에도 효과적으로 쓸 수 있다. 정 센터장은 “우리나라는 아직 외국에 비해 이 분야에 대한 지원이나 제반 상황이 떨어지는 실정”이라며 “나노 프로브 같은 ... ...
휴대전화로 3차원 입체영상 촬영한다
수학동아
l
2012년 02호
지난 1월 5일, 미국 메사추세츠공대(MIT) 전기전자공학과 에셔 박사팀은 수학을 이용하면 영화관에서만 볼 수 있던 3차원 입체영상을 휴대전화로도 즐길 수 있다는 ... 크기의 카메라로 입체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며, “이번에 개발한 카메라가 스마트
폰
에 이용될 전망”이라고 밝혔다 ... ...
'톡톡ʼ스마트 세상!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2호
안 돼서 2000년대 중반까지 연구실에 머물러 있었지. 그러다 지난해 말에 애플이 ‘아이
폰
4S’에 설치한 음성인식기능 ‘시리(Siri)’를 공개하면서 음성인식 기술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단다.시리는 딱딱한 명령어 대신 사람과 대화하듯이 말을 나눠. 시리에게 “엄마랑 말하고 싶어!”라고 하면 ... ...
How the Concept of Invention Changed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뿐 아니라 현재 스마트
폰
이 할 수 없는 팩스 기능까지 가능했다. 사이먼은 현재 스마트
폰
보다 어떤 측면에서는 훨씬 진보했던 원조격이다. 태블릿 PC 독자들은 혹시 태블릿 컴퓨터의 개념이 언제 처음 발명됐는지 아는가? 컴퓨터 업계의 선구자인 앨란 케이가 제록스사에서 1968년 다이나북이라는 ... ...
황당맨의 취재수첩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화분과 학습 내용, 결과를 보여주는 창이 한 눈에 보인다. 웹 기반의 프로그램이라 스마트
폰
이나 태블릿PC용 어플리케이션으로 만들면 언제 어디서나 실행할 수 있다.김 교수는 “생물 교과는 실험과 실습이 중요한데 학교에서는 이를 충분히 제공하지 못한다”며 “이 프로그램으로 탐구학습을 ... ...
이전
91
92
93
94
95
96
97
98
9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