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인간"(으)로 총 7,604건 검색되었습니다.
- 1996년 면역세포가 ‘남’을 구분하는 원리를 밝히다과학동아 l2020년 07호
- 통해 우리 몸의 면역시스템이 외부 물질의 정보를 기억한다는 사실을 처음 증명했다. 인간을 비롯한 고등생물은 체내로 침투하는 항원에 대항하기 위한 방어 수단으로 면역시스템을 가지고 있다. 면역시스템은 외부 물질을 인식하고 유해성을 판단해 제거한다. 그리고 외부 물질의 정보는 항체로 ... ...
- DNA&RNA 백신_코로나19 백신 Covid-19-vaccine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제작한다. 이때 인체에 DNA만 주입하면 정상적으로 단백질이 발현되지 않기 때문에 DNA가 인간 세포에서도 발현될 수 있는 플라스미드(스스로 복제할 수 있는 유전물질)에 DNA를 끼워 넣어 만든다. DNA 백신의 장점은 보관이 매우 쉽다는 것이다. DNA는 물리적으로 안정된 분자구조를 갖기 때문에 온도와 ... ...
- [노벨상 수상자 특별 인터뷰] 피터 도허티 "백신 개발 전까지 코로나19는 위험한 질병"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세포독성 T세포가 (사스코로나바이러스-2 사례에서도) 감염된 세포를 제거하고 숙주인 인간을 보호하는 역할을 할 것이라고 생각한다. Q. 코로나19 극복에도 면역반응 조절이 중요하다는 뜻인가? 사스코로나바이러스-2는 숙주세포의 ‘포털(portal)’ 역할을 하는 ACE2 수용체에 바이러스의 스파이크 ... ...
- [질문하면 답해줌!] 개미에게도 땀샘이 있나요?!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7호
- 땀샘이 있나요? (이서현 (seohyun5091)) A 땀샘은 오직 포유동물만 지니고 있는 기관이에요. 인간과 낙타, 말, 소 등의 동물은 땀샘을 통해 체온을 조절해요.땀샘이 없는 개미는 체온을 조절하기 위한 다양한 전략을 지니고 있어요. 한 예로 지면 온도가 최대 70℃까지 올라가는 사하라 사막에 사는 ... ...
- 기후변화에 무관심한 정부 우리가 빼앗길 미래는?수학동아 l2020년 07호
- 2050년이면 모든 생물종의 3분의 1 이상이 멸종할 수도 있다고 말했다. 그 3분의 1에 인간이 없으리라는 보장은 없다. 이제는 정말 ‘살기 위한’ 정책이 필요할 때다. 용어정리* 증발산량 : 강수량과 물이 대기로 증발하거나 증발해 흩어진 양 ... ...
- 대한민국 청소년, 우리는 잠이 필요해!수학동아 l2020년 07호
- 것이 아니라 문제 해결력과 통찰력에도 영향을 준다는 거야. 놀랍지 않니? 그러니 청소년 인간인 너희도 질 좋은 잠을 충분히 자야만 해! 뭐? 그럴 수 없다고? 2019년 3월 15일 대한수면학회, 대한수면연구학회 기자간담회에서 김혜윤 가톨릭관동대학교 의과대학 신경과 교수가 우리나라 청소년의 ... ...
- [에디터노트] 바이러스 특별판을 펴내며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사스코로나바이러스-2와 같은 신종 바이러스를 잡을 방안을 들었다. 과학은 인간과 인간을 둘러싼 세계를 탐구하는 과정이며, 이 과정에서 얻은 지식을 이용해 인류의 번영과 발전에 기여한다. 코로나19 백신과 치료제를 개발해 인류의 생명을 구하기 위한 과학자들의 노력도 이런 과정의 일환이다 ... ...
- 2012년 메르스코로나바이러스 ┃사스와는 다른 ‘중동의 사스’ 메르스과학동아 l2020년 07호
- 바이러스다. 코로나바이러스는 크게 알파, 베타, 감마, 델타 등 총 4개의 속으로 나뉜다. 인간 감염을 일으키는 코로나바이러스는 1960년대 처음 발견됐다. 알파(229E, NL63)와 베타(OC43, HKU1, SARS-CoV, MERS-CoV)만 존재하며, 총 6종류였다. 그런데 최근 사스코로나바이러스-2가 발견되면서 한 종이 추가돼 .. ...
- STEP ① 숙주세포 탐색과학동아 l2020년 07호
- 바이러스 일생의 첫 장면은 숙주를 찾는 얘기로 시작된다. 바이러스는 단독으로 생존할 수 없다. 번식을 위해서는 반드시 숙주를 찾아 기생해야 한다. ... 스스로 조절할 수 있는 완벽한 숙주의 몸속에서 끊임없이 돌연변이를 일으키며 언제든 인간에게 옮겨갈 준비를 하고 있을지 모른다 ... ...
- STEP ⑤ 바이러스 전파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이례적으로 증상이 나타나면 이미 바이러스 전파가 시작된 이후다.또 광견병바이러스나 인간면역결핍바이러스(HIV)처럼 전파가 몹시 느린 바이러스도 있다.광견병바이러스는 발병하면 치사율이 100%에 이르고 대부분 포유류에서 병원성을 나타내는 무시무시한 바이러스이지만, 감염된 뒤 짧으면 3~ ... ...
이전91929394959697989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