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위성"(으)로 총 2,712건 검색되었습니다.
- 한국형 달탐사선 베일을 벗다과학동아 l2013년 04호
- 따르면 궤도선은 높이 1.5m, 너비 1.6m 정도로 나로호에 실려 우주로 나간 ‘나로과학위성’보다 50% 정도 크다. 우주에서 태양전지판을 모두 펼치면 너비 8.1m 정도가 될 것으로 보인다. 착륙선의 경우 A형은 높이 1.35m, 너비 1m, B형은 높이와 너비가 각각 0.98m, 0.94m로 더 작다. 고체연료를 쓰는 B형은 ... ...
- 항성 VS 행성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04호
- 주위를 도는 천체를 말합니다. 대표적인 예로 달이 있지요. 달은 행성인 지구를 도는 위성이랍니다. 혜성은 태양이나 큰 행성을 타원 또는 포물선 모양으로 도는 작은 천체를 의미해요. 길게 꼬리를 내리면서 떨어지는 것처럼 보이지요. 2013년 11월에는 보름달보다 15배나 밝은 ‘C/2012 S1’라는 혜성의 ... ...
- PART 3. 구글의 눈으로 보는 세상과학동아 l2013년 04호
- 수 없는 장애인이지만 아직도 연구와 후학 양성에 열정을 불사르고 있다.“무인자동차는 위성항법장치(GPS)와 센서 및 레이더 기술이 집약돼 있습니다. 지난해 7월 무인자동차 탑승과 방송 촬영을 동시에 진행했습니다. 방송장비 차량이 너무 딱 붙어서 접근하자 무인자동차가 움찔 하면서 속도를 ... ...
- PART 2. 도시 사막화는 죽음을 부른다과학동아 l2013년 04호
- 정부의 그린벨트 해제 정책에 따라 수십 년간 억제됐던 도시사막화 현상이 서울과 인근 위성도시를 중심으로 빠르게 확대되고 있다. 아파트 건설을 통해 얻는 수익과 녹지 공간을 보존해 절약할 수 있는 에너지양을 비교하면 장기적으로 어느 쪽이 더 이익일까.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PART 1. ... ...
- 밴 앨런 대, 알고보니 세 겹이네과학동아 l2013년 04호
- 대는 강한 에너지와 하전입자로 인공위성에 위협적인 존재였다. 이번 발견은 고고도 위성의 임무를 설계하거나 유인 우주비행을 계획할 때 도움이 될 예정이다. 존 그룬스펠드 나사 과학협조관은 “밴 앨런 대가 어떻게 하전입자로 채워지고 변화하는지 등을 연구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 ...
- 우주 개발의 개척자 사운딩 로켓과학동아 l2013년 04호
- 시험했다. 2002년 발사된 KSR-III는 우리나라 최초의 액체추진로켓으로 소형위성발사체 개발을 위한 기반 기술을 확보하는 데 기여했다. 나로호 발사에도 이때 얻은 경험이 도움이 됐다. 그러나 사운딩 로켓을 수백 대나 발사하면서 경험을 쌓아온 우주기술 선진국에 비하면 우리나라는 아직 부족하다. ... ...
- PART 5. 우주에 퍼지는 시공간의 물결, 중력파과학동아 l2013년 03호
- 검출 장치 사이의 거리가 멀기 때문에 강력한 레이저가 필요하다.거대한 장치를 인공위성에 실을 수 있을 정도로 작게 만들어야 하며, 전력 공급 문제도 해결해야 한다. 그러나 현재 리사는 예산 문제로 당분간 실행이 불투명하다. NASA와 ESA는 현재 리사를 바탕으로 규모를 축소한 우주 ... ...
- [체험] 발사 성공! 나로호 설계의 주역을 만나다수학동아 l2013년 03호
- 위성이 보낸 각종 자료도 볼 수 있었다. 비록 그 자료를 이해할 수는 없었지만, 마치 위성이 무사하다고 편지를 보낸 것 같아서 기뻤다.김정 기자의 첨삭 포인트독자기자들 모두 취재 수첩을 작성하느라 수고하였습니다. 윤수빈 기자는 취재에서 보고 배운 내용을 상세히 작성해 주었네요. 이현희 ... ...
- PART 3. 중력이 수상하다과학동아 l2013년 03호
- 문제가 있다. 시뮬레이션에 따르면 차가운 암흑물질은 은하단 안에 수백, 수천 개의 위성 구조물을 만드는데, 관측 결과는 겨우 수십 개뿐이었다.천문학자들은 아직 관측되지 않은 구조물이 많을 것으로 예상하고 더 정밀한 관측을 시도하고 있다. 하지만 누구도 차가운 암흑물질이 존재하지 않을 ... ...
- 나로호 볼 때마다 ‘고맙다’ 말했죠과학동아 l2013년 03호
- 떴어요. 위성 속도가 8km를 넘으면 실패할 수가 없어요. ‘이젠 됐다’ 싶었지요. 속도나 위성의 궤도만 보면 이번 발사는 상위 1% 안에 들어요(발사센터를 찍은 영상을 보면 다른 연구자들이 환호성을 지르며 기뻐할 때 발사 후 미동도 않던 조 단장이 성공이 확실해지자 박수를 두 번 치고는 자리에 ... ...
이전91929394959697989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