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연구"(으)로 총 22,887건 검색되었습니다.
- [4컷 만화] 무분별한 로켓 발사, 오존층 파괴한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6호
- 의해 분해돼 염소 원자를 방출해 오존 분자를 분해하지요. 켄터베리대학교 로라 리벨 연구원은 “앞으로 우주 로켓 산업이 발달하면서 로켓의 파괴적인 영향은 더욱 커질 것이다”라고 우려했답니다 ... ...
- [기획] 바이러스를 먹고, 알리고, 무찌르는 면역 정예 부대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6호
- T 세포를 주입해도 킬러 T 세포가 제 역할을 하지 못했던 거지요. 도허티와 칭커나겔의 연구는 킬러 T 세포의 특이성을 발견한 첫 사례였어요. 특정 바이러스에 감염됐을 때 그에 맞는 킬러 T 세포만 활성화되는 현상을 ‘면역의 특이성’이라고 한답니다. 용어 정리●종두법: 1796년 영국의 의사 ... ...
- [통합과학 교과서] 거울 나라의 우유는 마실 수 없다고?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6호
- 일이에요. 그래서 화학자들은 유용한 이성질체 분자만을 합성할 수 있도록 끊임없이 연구하고 있답니다. # 에필로그“배달을 끝냈으니 우리는 이만 탐정사무소로 돌아갈게요.”꿀록 탐정과 개코 조수는 거울 나라를 떠나려고 했지만, 출구를 찾을 수 없었어요. 그때 앨리스가 오토바이에 ... ...
- 토론 1. 챗GPT, 학교에서 허용해도 될까?수학동아 l2023년 06호
- 토론에 앞서 사회자인 김영국 충남대학교 컴퓨터융합학부 교수이자 바이오AI융합연구센터 센터장은 “자동차, 검색사이트, 공학계산기 등 신기술이 등장할 때마다 이 기술을 허용할 것인지 말 것인지 식의 논란은 역사상 계속 있어왔다”라면서, “이 기술이 우리 사회에 어떤 영향을 끼칠지 ... ...
- [수학 상위 1% 비밀무기] 2023 한국과학영재학교 합격 비결은 수학 아이디어 공책x폴리매스수학동아 l2023년 06호
- 사고력 문제도 풀 수 있게 도와줬어요. 이때 경험을 서술하며 한과영에서 R&E를 통해 연구 역량을 키우고, 미래엔 자유로운 분위기에서 제자들과 소통할 수 있는 교수가 되고 싶다고 적었어요. 두 번째 질문은 학교와 가정환경을 중심으로 자신을 소개하는 거예요. 초등학교 시절 텃밭을 가꾸며 ... ...
- 수학적 사고력이 쑥쑥! 두뇌퍼즐수학동아 l2023년 06호
- 논리력을 키우는 스도쿠와 문제해결력을 높이는 사고력 퍼즐, 공간지각능력을 향상시키는 공간 퍼즐까지! 에서만 만날 수 있는 고품격 퍼즐을 지금 바로 풀어보세요. ...
- [에디터 노트] 그저 그렇지 않은 화성 이야기과학동아 l2023년 06호
- 30p), 뇌세포로 컴퓨터를 만들었다는 해외 괴짜 과학자를 직접 인터뷰하고(92p), 기사 속 연구현장에 독자와 함께 찾아가는(137p) 이야기를 부디 잘 즐겨주시길 바랍니다. 그리고 앞으로도 무엇이 새로운지, 무엇이 궁금한지 많이 들려주세요. 과학동아에게 남다름의 기준은 독자 여러분들의 생각입니다 ... ...
- 습도 따라 모양 바뀌는 4D 프린팅 씨앗 로봇과학동아 l2023년 06호
- 수도 있다는 뜻이다. 이번 연구의 1저자인 루카 세치니 이탈리아기술연구원 박사과정 연구원은 “씨앗 로봇은 전선과 배터리 없이도 토양 표면 탐사와 모니터링을 해낼 수 있을 것”이라며 “생물에서 영감을 얻는 접근 방식을 통해 현장 데이터를 수집하는 저비용 기기를 만들 수 있었다”고 ... ...
- Transportation 화성까지 더 빠르게, 더 편안하게과학동아 l2023년 06호
- 원자력을 이용하겠다는 계획도 있다. NASA는 지난 1월 24일 우주선에 적용할 핵추진 기술을 연구하겠다고 발표했다. NASA의 빌 넬슨 국장은 “새로운 기술의 도움을 받으면 우주인들은 전에 없던 속도로 심우주를 여행할 수 있을 것”이라며 “이는 화성 유인 탐사를 위해 해결할 주요 과제”라고 했다. ... ...
- [네, 그래서 이과가 일해봤습니다] 네, 그래서 이과가 AI 기자와 기사를 써봤습니다과학동아 l2023년 06호
- 특히 AI 기자가 오디오로 제시할 때 부정적 감정이 가장 낮게 나타났습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AI를 활용한 기사를 적절히 제공할 경우 과도한 감정 유발을 다소 완화시킬 수도 있음을 시사합니다. 감정을 잘 전달하는 인간의 능력이 기사 작성에는 오히려 단점이 될 수도 있단 뜻입니다. Round 2. ... ...
이전91929394959697989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