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달걀
계란
난자
알맹이
난세포
알집
알찝
d라이브러리
"
알
"(으)로 총 8,223건 검색되었습니다.
[2021년 흰 소의 해] 스마트 헬‘소’케어
과학동아
l
2021년 01호
앱으로 실시간 확인할 수 있다. 소가 질병이 걸리는 등 평소와 신체 기능이 달라지면
알
림이 와서 바로 확인할 수 있다. 특히 번식 시기와 분만 시기는 98%의 정확도로 예측할 수 있다. 2021 복지 ‘소’사이어티축사도 변하고 있다. 가축을 기르는 데 필요한 기술과 노동력을 정보통신기술(ICT)과 로봇 ... ...
[이슈1] 수학과 친해지는 진짜 쉬운 방법
어린이수학동아
l
2021년 01호
노벨경제학상을 받았어요. 수학이 다른 학문 분야에도 큰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어요. 스티브 잡스가 만든 애니메이션 회사인 ‘픽사’는 ‘토이스토리’ 같은 애니메이션을 만들기 위해 많은 수학자를 채용했어요. 생생하고 역동적인 3차원 그래픽을 만드는 데 수학이 쓰이기 때문이에요 ... ...
[특집] 취향저격수가 되는 첫걸음 ‘벡터’
수학동아
l
2021년 01호
뒤 ‘여성’ 벡터를 빼면 ‘여왕’이라는 결과를 내놓습니다. 이런 식으로 기계학습
알
고리듬은 벡터로 학습한 정보를 연산한 결과를 사용자에게 제시한답니다 ... ...
[방구석 과학×음악 콘서트] 수학으로 악보를 그리다!
수학동아
l
2021년 01호
수학을 적용한 음악이라 더 감미롭게 들리는 건 제가 수학동아 기자여서 그런 걸까요? 음
알
못에겐 무척 신기한 경험이었는데요, 과학×음악 콘서트는 1월 4일 유튜브 채널 ‘유못쇼’에 공개됩니다. 여러분에겐 어떻게 들릴지 궁금하네요.과학×음악 콘서트를 감상하고 감상평을 폴리매스 홈페이지 ... ...
DBTI로 내 동물 부캐를 찾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01호
커요. 야생에서의 생태를 이해해야 동물원에 사는 동물이 행복하려면 무엇이 필요한지
알
수 있어요. 동물이 본성을 발휘할 수 있게 해주는 게 행복의 첫 번째 조건이거든요. 그래서 마승애 수의사와 함께 한국 동물원에 흔히 보이는 동물 10종의 생태를 담아 DBTI(Dongmul Bukae Type Indicator, 동물 부캐 ... ...
[과학뉴스] CERN의 앨리스 검출기 센서 국내 연구진이 양산 시험 성공
과학동아
l
2021년 01호
실험(SPHENIX)을 진행하는 미국 브룩헤이븐 국립연구소와 러시아 핵물리통합연구소도
알
피드를 사용하겠다는 의사를 밝힌 상태다. 권 교수는 “실험에서 가장 근본적인 활동은 측정이기 때문에 장비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며 “국내 중소기업이 장비 분야에서 거대한 잠재력이 있다는 사실을 ... ...
태양계 비밀 품은 50억km의 비행, 하야부사2의 귀환
과학동아
l
2021년 01호
“베누와 류구의 시료를 지구로 가져오면 두 행성의 관계에 대한 여러 사실을 정확히
알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NASA와 JAXA는 베누와 류구의 시료를 서로 교환해 연구할 예정이다.구니나카 히토시 ISAS 소장은 캡슐이 일본에 도착한 당일 기자회견에서“앞으로 소행성 물질 분석을 통해 과학적 ... ...
영재교육 전문가도 깜짝 놀란 ‘궁극의 질문’을 소개합니다!
수학동아
l
2021년 01호
길이 1과 2가 같은 것인가?’라는 질문과 비교해보면 왜 ①의 증명이 말이 안 되는지
알
수 있을 것”이라고 조언했습니다.특히 서 교수님은 무한의 개념에 관해 질문한 조은호 학생을 자신의 경험에 비추어 격려했습니다. “①과 ②가 다른 이유는 함수의 수렴과 관련한 이론이나 극한에 관한 ... ...
[기획] 코로나19 비켜! mRNA 백신 납신다~
수학동아
l
2021년 01호
말합니다. 그러나 mRNA 백신은 최초로 도입되는 만큼, 접종 후 시간이 흘렀을 때의 반응을
알
수 없습니다. 그래서 국내외 제약회사들은 과거 사례를 통해 안정성이 입증된 방식으로 코로나19에 대항하는 백신을 개발 중입니다 ... ...
마스크를 쓰느냐 마느냐 그것이 문제로다!
수학동아
l
2021년 01호
UNIST 수리과학과 교수님은 전염병 상황에서 집단 방역 효과를 게임이론으로
알
아보는 방식도 제안했습니다. 전체 인구 중 마스크 착용률이 특정한 비율(r)을 넘으면 집단 방역 효과를 모두가 누릴 수 있다고 가정한 것이죠. 마스크 착용률이 r보다 아래에 있다면 협력을 선택한 사람들은 자기 ... ...
이전
91
92
93
94
95
96
97
98
9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