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달성
성취
실행
실천
수행
실시
구현
d라이브러리
"
실현
"(으)로 총 1,561건 검색되었습니다.
과연 인류의 앞날은?
과학동아
l
1998년 04호
창안했다. 그는 인간의 행동 욕구를 단계별로 규명하고는 최상의 단계인 ‘이타적 자아
실현
’이 유토피아의 열쇠라고 보았다. 그의 학문적 입장은 인간에게 진정으로 행복한 사회란 어떤 것인가를 논하는데 많은 시사점을 던져 준다.1975년에 발표된 칼렌바크의 소설 ‘에코토피아’는 자연과 ... ...
르네상스) 몽상이 창조한 기괴한 기계
과학동아
l
1998년 04호
마음이 없었다는 점이다. 단지 상상력이 풍부한 기술자들의 ‘지적 유희’가 그림으로
실현
되는 것으로 만족했다. 그래서 설계도는 세부 사항의 많은 부분이 생략된 채 외형 위주로 그려졌다.한 예로 1588년 프랑스 군대 기술자인 라멜리가 출판한 ‘다양하고 독창적인 기계’는 몇년 안에 재판을 ... ...
정보 전도사들이 주장하는 디지털사회의 신화들
과학동아
l
1998년 04호
교육받고, 그만큼 자유롭다면 시민 스스로가 자신을 다스린다는 민주주의의 이상이
실현
될 수 있다.단지 비밀선거로 국회의원과 대통령을 직접 뽑는다고 민주주의가 이루어지지 않음을 우리는 잘 알고 있다. 우리에게 영향을 미치는 사건과 쟁점에 대해 그 진상을 제대로 알아차리고 논의할 수 ... ...
고대) 자동으로 열리는 신전
과학동아
l
1998년 04호
로마의 선인들이 이루어낸 과학적 업적을 포괄적으로 연구하고 이를 실생활에서 널리
실현
시킨 인물이다. 현재까지 전해지고 있는 헤론의 책에는 압축되거나 가열된 공기의 압력을 이용하고, 정교한 도르래와 톱니바퀴, 나사, 피스톤과 같은 도구들이 동원된 정밀한 기계장치들이 적지 않게 ... ...
중세) 영원히 멈추지 않는 꿈의 기관
과학동아
l
1998년 04호
않았다. 증기력이 산업과 수송에 큰 역할을 담당한 19세기에는 이를 활용해 영구운동을
실현
시키려는 관심이 절정에 달했다. 1855-1903년에 영국에서만 영구기관과 관련된 특허건수는 5백건 이상이었다. 이미 열역학 제1·2법칙에 따라 영구기관이 만들어질 수 없다는 점이 과학적으로 밝혀졌지만 아무 ... ...
르네상스) 만능천재 레오나르도 다빈치
과학동아
l
1998년 04호
것이다. 하지만 타의 추종을 불허하는 그의 모험심과 상상력, 그리고 독창성을
실현
시키기에는 당시의 기술과 인식 수준이 상대적으로 너무 뒤쳐져 있었다. 레오나르도를 앞선 중국 발명품흔히 레오나르도가 가장 먼저 설계했다고 알려진 장치들이 그보다 훨씬 이전에 중국에서 만들어졌다는 ... ...
1. 실리콘밸리 패러다임
과학동아
l
1998년 04호
새로운 변혁의 길로 접어들고 있다. 정보고속도로(National Information Infrastructure) 구상을
실현
하기 위한 첫 과제로 21세기 미국의 모델을 만들어내려는 미국 정부의 강력한 정책이 이곳을 근거로 추진되고 있기 때문이었다.92년 빌 클린턴 대통령 집권 이후 제기된 NII 구상은 정보인프라를 토대로 21세기 ... ...
말로폰 아직 걸음마 수준
과학동아
l
1998년 03호
손을 통하지 않고 순전히 기계가 문의자의 말을 인식하고 이에 답하는 획기적인 생각을
실현
하고 있는 중이다.이용자가 종합주가지수! ㅇㅇ건설! 등 원하는 정보를 말하면 자동으로 그날의 시세와 거래현황을 알려준다. 매번 안내에 따라 번호를 누르면서 신경써야 하는 기존의 기계식 안내 ... ...
디제라티
과학동아
l
1998년 03호
4백억달러를 훨씬 넘는 재산을 가지고 있다. 그는 이 엄청난 재산을 정보사회를
실현
하는 거의 전 부문의 첨단기업에 투자하고 있다. 마이크로소프트에서 출발, 방송 미디어의 유망주 MSNBC엔 4억달러 규모를 투입했고, 사이드워크라는 지역문화예술정보 미디어에도 손을 뻗쳤다.또 지난 89년에는 ... ...
북한에 다녀온 옥수수박사 김순권
과학동아
l
1998년 03호
구한 기여는 노벨평화상감이지만 생물계에 공생의 장을 역설하고 이것을 연구로
실현
시킨 기여는 노벨생리의학상감이었다. 모든 과학계가 아직 김박사의 철학과 이론을 이해하고 지지하는 것은 아니지만, 지난 1996년 노벨상위원회에 제출된 김박사의 업적 논문이 “수평저항성: 아프리카의 ... ...
이전
91
92
93
94
95
96
97
98
9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