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방식"(으)로 총 6,226건 검색되었습니다.
- STEP ④ 새로운 바이러스 조립과학동아 l2020년 07호
- 것이다. 복사본 RNA의 합성은 유전체의 뒷부분에서부터 일어나기 시작한다. 따라서 이 방식을 이용하면 유전체 뒷부분에 있는 껍질 단백질 유전정보를 담은 복사본 RNA가 많이 만들어진다. 결과적으로 짧은 시간 안에 껍질 단백질을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다. 유전체의 특정 부분을 번역해 필요한 ... ...
- 1996년 면역세포가 ‘남’을 구분하는 원리를 밝히다과학동아 l2020년 07호
- 를 이용해 세포 매개 면역(면역세포가 직접 병원체나 감염된 세포를 제거하는 면역반응 방식)에 대한 연구를 진행했다. LCMV는 쥐와 사람을 숙주로 삼아 뇌수막염을 유발한다. LCMV가 몸에 들어오면 T림프구가 이를 인식하고 파괴한다. 이들은 실험용 쥐에 LCMV를 감염시켜 생성된 T림프구를 채취한 뒤, ... ...
- 단백질 백신_B형 간염 백신 Hepatitis B vaccine과학동아 l2020년 07호
- 거의 없다. 이런 장점 덕분에 서브유닛 백신으로 개발된 백신도 지금은 펩타이드 백신 방식으로 제작되고 있다. B형 간염 백신이 대표적이다. 그밖에도 단백질 백신의 종류는 다양하다. 바이러스의 유전 물질 없이 바이러스의 외피를 접종하는 바이러스유사입자(VLP·virus like particle) 백신도 큰 ... ...
- [동상이문] 7화 '첨벙 첨벙' 여름이 떠오르는 '더 큰 첨벙'수학동아 l2020년 07호
- 움직이는 방향이 정해져 있었는데, 이 전시는 그렇지 않더라고! 그래서 찾아보니 그런 방식의 전시를 ‘자유동선’ 전시라 하고, 방향이 정해져 있는 건 ‘강제 순환 동선’ 전시라고 해. 그런데 놀랍게도 미술관의 동선을 정하는 데 ‘수학’을 사용하지 뭐야~! 미술관에서는 사람들의 이동을 ... ...
- 2011년 선천 면역과 후천 면역의 시작을 알아내다과학동아 l2020년 07호
- 경우를 말한다. 반면 후천 면역반응은 항원의 특징을 매우 특이적으로 잡아내는 방식으로 항원을 완전히 제거한다. 물론 항원이 너무 강력하거나 새롭게 출현한 경우에는 인체의 면역시스템이 작동해도 항원이 제거되지 않고 살아남을 수 있다.호프만은 1996년 초파리 연구를 통해 생물의 체내에서 ... ...
- 생백신&사백신_인플루엔자 백신 Influenza vaccine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점이다. 최근 세포배양 방식이 유정란 배양법의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다. 세포배양 방식은 바이러스를 원숭이나 개와 같은 동물의 세포에 감염시켜 증식시킨 뒤 분리 정제해 백신으로 만든다. 현재 소아마비 백신, 인플루엔자 백신 등이 유정란 배양법 대신 동물세포 배양법으로 생산되고 있다 ... ...
- [노벨상 수상자 특별 인터뷰] 피터 도허티 "백신 개발 전까지 코로나19는 위험한 질병"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우리 몸이 바이러스에 감염됐을 때 면역반응을 일으키며 항체를 만들어내는 것과 같은 방식으로 단일클론항체는 세포 밖에서도 만들 수 있다. 특정 항체를 암세포와 융합하는 ‘하이브리도마(Hybridoma)’ 기법으로 무한히 증식하는 불멸의 상태로 만들거나, 항체의 정보를 담은 유전자를 발현시켜 ... ...
- [진로체험] 건설 현장의 문제도 수학으로 푼다! 인공지능 엔지니어수학동아 l2020년 07호
- 전문가가 함께 일하는 시스템을 만드는 게 목표예요. 토목 분야에서는 아직 생소한 방식이다 보니 받아들이는 데 시간이 필요한 것 같아요. 수학이 어떤 점에서 도움이 되나요?제가 하는 일에서 가장 중요한 것이 데이터인데요, 데이터를 이해하는 데 수학이 매우 중요해요. 방정식과 벡터, 행렬 ... ...
- STEP ② 숙주세포 침투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알려진 대부분의 바이러스는 사실 정이십면체 모양을 하고 있다. 캡소미어들이 여러 방식으로 연결돼 정이십면체를 만든다. 구제역바이러스의 경우 단백질 세 개가 모여 정삼각형 모양의 소단위체를 만들고, 이 소단위체 20개가 모여 정이십면체 구조를 만든다. 정이십면체는 5종류의 정다면체 ... ...
- 자연살해세포...침입 즉시 공격, 진정한 킬러과학동아 l2020년 07호
- T림프구처럼 퍼포린과 그랜자임 단백질을 차례로 분사해 세포막과 세포질을 해체하는 방식으로 감염된 세포나 종양세포가 자살하도록 만들거나, 공격 대상인 세포 내부로 물과 염분을 주입해 괴사를 일으키게 유도한다. 다양한 방법으로 항원을 무력화할 능력을 갖춘 셈이다.자연살해세포에서 가장 ... ...
이전91929394959697989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