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성장
발전
발육
진보
진화
향상
생장
d라이브러리
"
발달
"(으)로 총 3,776건 검색되었습니다.
생면으로 요리한 봉골레 파스타
과학동아
l
2013년 09호
잘 자라는 듀럼 밀의 배젖을 갈아서 만든 밀가루에요. 그래서 이탈리아에서 파스타가
발달
할 수 있었지요.세몰리나는 입자의 지름이 약 0.5mm로 일반 밀가루(지름 0.1mm 이하)보다 굵어 거칠어요. 또 탈색과정을 거치지 않아 노란색을 띠지요. 강력분보다 글루텐이 풍부해 더욱 끈끈하고 탱탱하답니다. ... ...
Part 3. 신세계 : 뇌 너머의 뇌
과학동아
l
2013년 09호
뇌 부위를 자극한다. 아주 정밀한 뇌 기능 조절은 어렵다는 뜻이다. 만약 뇌지도가
발달
한다면 뇌 활동을 현재보다 더욱 정밀하게 관찰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또 그에 맞춰 더욱 정밀한 자극을 줄 수 있는 미세 뇌자극장치도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뇌공학자와 뇌과학자들은 그 시대가 곧 올 것이라 ... ...
배터리 닳는 속도가 LTE
과학동아
l
2013년 09호
전 세계 연구팀이 고민 중이지만 쉽사리 해결될 것 같지는 않다. 앞서 얘기했듯 배터리의
발달
은 새로운 물질의 발견에 크게 의지하는 만큼 빠른 발전을 기대하기 힘들기 때문이다. 그런데 잠깐. 그럼 이 말은 한나절도 못가 뻗어버리는 스마트폰 배터리를 앞으로도 한동안은 죽 써야 한다는 뜻이 ... ...
[해외취재] 융합수학의 달인들이 모였다!
수학동아
l
2013년 09호
유치한 이유는 이 지역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고 싶어서다.엔스헤더는 원래 섬유산업이
발달
한 지역이었다. 하지만 값싸게 옷을 만들 수 있는 중국과 동남아시아 지역으로 공장이 이동하면서 도시가 침체에 빠졌다. 게다가 엎친 데 덮친 격으로 2000년에는 도시에 큰 불이 나서 23명이 목숨을 잃고 94 ... ...
요리 속에 과학이 쏙, 문화가 쏙쏙! 내 짝의 도시락을 소개합니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09호
러시아에도 김치찌개가 있다러시아에는 염장처럼 음식을 오랫동안 저장하는 방법이
발달
했다. 춥고 긴 겨울을 나기 위해 이런 저장 방법은 꼭 필요했던 것이다. 러시아 김치찌개인 보르쉬도 생채소를 오랫동안 보관하기 위해 생채소를 식초에 절인 것을 끓인 음식이다. 보통 사워크림을 뿌려 ... ...
Intro. 양자역학의 위대한 시작
과학동아
l
2013년 09호
보어 모형의 핵심이다.아인슈타인이 극찬하기도 했던 이 3부작 논문은 향후 양자역학이
발달
하는 데 커다란 반석이 됐다. 하지만 역설적으로 양자역학의 성장과 함께 보어 모형은 과학사의 뒤안길로 사라져버렸다. 오늘날 어떤 물리학자도 더 이상 원자 모형을 찾지 않는다. 현대물리에서 ... ...
빠수니 탈출 백서
과학동아
l
2013년 08호
걸려서 표를 뺐길 뻔했다.어떤 면에서나 그렇듯 장단점은 존재한다. 팬덤 활동이 청소년
발달
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는 2000년 이후로 많이 등장했다. 팬클럽을 통해 사회활동을 시작면서 문화 실천의 주체로 발전할 수 있다거나, 내가 그랬듯 친구들과 서로 영향을 주고 받으며 공감대를 ... ...
왓슨과 크릭도 상상 못한 DNA 세상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08호
DNA를 확보하는 것조차 쉽지 않아 복제가 더 어렵답니다. 하지만 유전자 기술이 계속
발달
하고 있어 언젠가는 매머드와 공룡을 되살릴 수 있을지 몰라요. 그러나 그들이 살던 때와 지구 환경이 아주 달라서 동물원에서 구경하는 건 불가능할 거예요. 대신 매머드나 공룡이 살 수 있는 특별한 ... ...
[W5 코드 브레이커] 새로운 암호를 등장시킨 컴퓨터의 발전
수학동아
l
2013년 08호
군대에서는 컴퓨터 기술 개발에 막대한 돈을 투자하기 시작했다.그에 따른 기술
발달
에 힘입어 1970년대 초부터는 가정에서도 사용할 수 있는 작은 컴퓨터가 등장했고, 가격도 일반인이 구입할 수 있을 만큼 낮아졌다. 그리고 1976년 스티브 잡스와 스티브 워즈니악이 내놓은 ‘애플Ⅰ’이라는 ... ...
이제는 네발로봇 세상!
과학동아
l
2013년 08호
기술이었다. 하지만 이런 네발로봇을 최근 여러 나라가 경쟁적으로 개발하고 있다.
발달
한 로봇 기계기술과 정밀센서 덕분이다.DARPA 지원으로 보스톤다이나믹스 사가 개발 중인 네발 로봇 치타. 아직 개발 중이지만 시속 약 47km의 속도를 낼 수 있으며, 구보, 습보 형태로 뛸 수 있다. 다만 아직 ... ...
이전
91
92
93
94
95
96
97
98
9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