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겉
외부
밖
노천
표면
외면
겉모습
d라이브러리
"
바깥
"(으)로 총 2,058건 검색되었습니다.
수학으로 풍덩, 수영의 매력 속으로
수학동아
l
2011년 07호
8번 레인에서 수영하는 선수는 4번 또는 5번 레인에서 경기하는 선수들로 인해 수영장
바깥
쪽으로 퍼져 나오는 물살의 영향까지 받게 된다는 말이다. 따라서 예선 경기 때 우수한 성적을 낸 선수에게물의 저항을 덜 받는 위치에서 좋은 기록을 낼 수 있도록 우선권을 주는 것이다. 2011년 ... ...
Part 3. 과학이 만든 '착한 토네이도'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단순한 장식용이 아니라 불이 났을 때 관람객들이 질식하지 않도록 연기를
바깥
으로 내보내는 용도로 설치했다”고 설명했다. 세상에서 가장 빠르고 가장 위협적인 바람을 예술가들은 아름답게, 과학자들은 실용적으로 활용하고 있다. ‘대평원의 악몽’을 ‘첨단기술’로 승화시키는 재주, ... ...
고양이가 혀로 물 마시는 건, “볼 때문이야~"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양옆으로 틈이 생긴다.이 상태에서 숨을 들이켜 봤자 물이 딸려 오는 게 아니라 옆에서
바깥
공기가 새어 들어온다. 한마디로 이들은 ‘볼’이 불완전하게 발달한 셈이다.아무튼 맹수류들이 혀로 물을 마신다는 건 알려졌지만 구체적으로 어떻게 물을 마시는지는 최근까지도 잘 모르는 상태였다. ... ...
안전띠에 대한 궁금증 5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내려가면서 안전띠가 허리와 배를 충분히 좌석에 밀착시킨다. 이외에도 안전띠 안쪽이나
바깥
쪽에 에어백을 달아 사고 시 풍선처럼 부풀어 오르는 에어벨트도 있다. 포드 자동차에만 장착돼 있다. 하지만 더욱 먼 미래에는 안전띠가 사라질지도 모른다. 삼송 윤용찬 팀장은 “승객 입장에서 ... ...
건강한 신발 찾아라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서 박사는 발을 두 손으로 잡고 위로 당기거나 종아리에서 뒤꿈치까지 다리의 안쪽과
바깥
쪽을 쓸어내리고, 또는 발가락 사이를 벌리고 발가락을 하나씩 돌리며 뽑듯이 살짝 잡아당기는 방법을 제시했다. 발마사지는 한 부위를 5분 이상 하는 것보다 1분씩 3~4회 반복하는 것이 좋다. 얼린 캔이나 빈 ... ...
PART 2 각을 알면 비행이 보인다
수학동아
l
2011년 06호
날개의 가장
바깥
쪽 부분이 꺾여 있는 경우도 있고, 몸체와 맞닿아 있는 부분부터
바깥
쪽으로 갈수록 여러 번에 걸쳐서 꺾여 있는 경우도 있죠.날개의 상반각이 큰지 작은지에 따라 날개가 기울어졌을 때 원래의 상태로 얼마나 빨리 회복할 수 있느냐가 결정됩니다. 상반각이 클수록, 양 날개에 ... ...
에베레스트 산 등정에 나서다
수학동아
l
2011년 06호
거야. 온도가 떨어지지 않게 따뜻하게 몸을 보호해야 해. 온도계를 잘 확인해둬야지.”
바깥
에 적힌 숫자는 가로세로 줄마다 수은주가 표시된 수은 온도계의 개수와 눈금을 합한 것이다. 이에 맞게 각 온도계에 수은주를 표시해야 한다.★ 뜨거운 남자의 눈물“그쪽은 포기한다. 모두 등정로로 ... ...
발명의 나라 스웨덴 4D프레임과 사랑에 빠지다
수학동아
l
2011년 06호
겨울인 셈이다. 특히 이 시기에는 하루에 3시간 정도만 해를 볼 수있다. 따라서 겨울에는
바깥
활동을 하기 쉽지 않다. 그래서일까? 긴 겨울 동안 무료함을 달래기 위해 스웨덴 사람들은 시계나 라디오 등의 가전제품을 수백번씩 분해하고 조립한다는 이야기가 전설처럼 내려온다. 스웨덴에 발명가가 ... ...
3D 시뮬레이션으로 재현한 태양폭발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이뤄진 ‘자기 덮개’에 갇혀 방울처럼 태양표면에 붙어 있다. 플라스모이드는 태양의
바깥
쪽 대기인 코로나에서 자기장들 사이의 상호작용에 따라 덮개 안에 남아 있거나 코로나 밖으로 분출된다. 자기 덮개 주위에 새로운 자기장이 발생하면 덮개에 있던 자기선이 파괴되는데 이때 ... ...
선글라스에 숨은 과학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유리의 중간 정도의 물질로 돼 있다. 이로 인해 렌즈의 안쪽 면에서 반사된 빛의 세기는
바깥
쪽면에서 반사된 빛의 세기와 거의 같지만 상이 바뀌기 때문에 서로 상쇄된다. 빛의 파장의 약 1/4 정도 두께라면 AR 필름에 입사한 두 반사광은 상쇄 간섭을 일으켜 우리가 보는 눈부심을 최소화시킨다.3D ... ...
이전
91
92
93
94
95
96
97
98
9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