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단지
오직
d라이브러리
"
다만
"(으)로 총 2,278건 검색되었습니다.
배아줄기세포, 이제 병원으로 간다!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직접교차분화(direct conversion)라고 부른다.사실 교차분화가 완전히 새로운 현상은 아니다.
다만
이전에는 서로 비슷한 세포로 분화시키는 정도였다. 예를 들어 신경교세포를 신경세포로 바꾼다던지(둘 다 외배엽에서 유래한 세포다) 섬유아세포를 근육세포로 바꾸는(둘 다 중배엽에서 유래한 세포다) ... ...
Part 1. "세계에서 가장 깨끗한 미라"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현장에서 미라 4구가 거의 원형에 가깝게 발견됐지만 후손들은 그날 즉시 화장했다.
다만
복식과 부장품만 권영숙 교수팀이 수거해 복원하고 있다. 2003년 충남 태안군에선 300여 년 전 미라가 발견됐다. 피부색까지 보존된 미라였지만 후손들은 바로 화장을 했다. 2006년 전남 장성군에서 발견된 미라도 ... ...
Part 1. 방사능 논란, ‘저선량 방사선’이 문제다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영향력이 입증되지 않았지만 생활 속에 노출된 위험은 원전 방사선 말고도 많다.
다만
생물농축이 문제가 될 수 있으니(파트2 참조) 연구가 필요하다.하지만 이 말이 ‘원자력은 안전하다’는 결론으로 이어지는 것은 비약이다. 우연히 사고가 1000km 떨어진 곳에서 일어났기 때문이지, 만약 국내에서 ... ...
천리안은 왜 일주일에 한 번 궤도를 바꿀까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인공위성은 어떻게 될까. 대부분의 인공위성이 지구로 떨어지면서 불타 없어진다.
다만
떨어지는 시간은 위성의 궤도에 따라 달라진다. 당연히 지구에 가까이 있던 위성일수록 일찍 지구 대기권으로 낙하하게 된다. 고도 1000km 미만의 저궤도위성이라면 대략 수백 년, 3만 5800km인 정지궤도위성들은 ... ...
PART 2. 어떨 때 전자계산기를 쓰나?
수학동아
l
2011년 05호
않은 문제다.이런 유형의 문제는 수학의 어떤 정리나 원리를 알아야 풀 수 있다.
다만
전자계산기를 사용하면 조금 빠르게 계산할 수 있다. 그런데 어떤 문제는 전자계산기를 이용하면 더 복잡해져 시간이 오래 걸린다.④번 유형의 문제 중 첫 번째는 로그 원리를 알아야 하는 문제다. 양변에 로그를 ... ...
2011 한국수학올림피아드 1차 시험 대비법 수학 최고수라면 도전하라!
수학동아
l
2011년 05호
순열과 조합, 비둘기집의 원리 등이다. 이런 정리를 이해하는 것은 그리 어렵지 않다.
다만
이를 이용해 실제 문제를 풀어봐야 KMO에서 제 실력을 낼 수 있다.2차 시험에서 각 문제의 만점은 7점이다. 한국뿐만 아니라 각종 국제 수학올림피아드에서 서술형 문제는 7점 만점으로 채점된다. 서술형 ... ...
Part 2. 과학으로 다시 보는 후쿠시마 원전 사태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되지 않을 정도로 적다. 더구나 국내 검출량은 모두 기준치보다 한참 낮은 수준이다.
다만
한 번 배출돼 침착되기 시작한 방사성 물질이 얼마나 오랜 시간이 걸려야 정상화되는지에 대한 힌트는 얻을 수 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방사능 공포는 과장인가Part 1. 방사능 논란, ‘저선량 ... ...
1984년 발터 게링 교수의 호메오박스 발견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발생과정에서 어떤 문제가 있었구나 생각하고 넘어가겠지만 이처럼 완벽한 기관이
다만
엉뚱한 자리에서 생기는 현상에 과학자들은 커다란 흥미를 느꼈다.스위스 바젤대 생명과학센터의 발터 게링 교수가 이런 대표적인 인물로 그는 더듬이 자리에 다리가 나는 기괴한 초파리를 붙잡고 늘어져 그 ... ...
젊은 여성 위협하는 3대 질환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있기 때문에 영향이 있을 거라는 주장도 일부 있지만 확실히 규명되지는 않았다.
다만
목 부분에 방사선 노출을 받았을 때가 가장 직접적인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➊ 최근 갑상샘, 유방암, 자궁근종의 발병률이 높아진 것은 발병 자체가 늘어났다기보다 진단 기술이 발달하고 일반 검진 문화가 ... ...
Part2. 꿈의 기술? 아직 피지 못한 꽃?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액체질소를 냉매로 쓸 수 있다. 질소는 공기 중에 풍부하고 유출돼도 해롭지 않다.
다만
현재 기술로는 가정에서 쓰는 일반 전선을 초전도체로 바꿀 수 없다. 초전도 케이블은 발전소와 변전소 같은 전력 시설에 먼저 쓰일 예정이다.조 책임연구원은 “미래에 수소 연료가 현재의 액화천연가스(LNG ... ...
이전
91
92
93
94
95
96
97
98
9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