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과하기"(으)로 총 2,734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학 문제 증명했더니 그 크기가 무려 13GB?수학동아 l2014년 04호
- 최근 영국 리버풀대의 수학자인 알렉세이 리시짜와 그의 동료 보리스 코네브가 수학계의 난제 중 하나로 손꼽히는 ‘에르도스 불일치 문제’ 해결의 실마리를 찾았다고 합니다. 이 증명에는 컴퓨터를 사용했는데, 증명파일의 크기가 무려 13GB에 달한다고 하네요. 정말 어마어마하죠? 도대체 어떤 ... ...
- [생활] 생생한 화질 경쟁, 수학으로 앞서 간다!수학동아 l2014년 04호
- 소녀시대, 걸스데이, B1A4가 춤추고 노래하는 모습을 보여 주는 텔레비전에 바라는 점이 있다면?아마도 사람들은 “생생하게 보일수록 좋다!”고 말할 것이다. 그런데 수학자들은 이 같은 사람들의 바람을 수학으로 이룰 수 있다고 말하는데…. 도대체 무슨 뜻일까?텔레비전 발전사는 화질 발전의 ... ...
- ÷가 상형문자의 원리로 만들어졌다고?수학동아 l2014년 03호
- 유럽에서는 빼기로 쓰이던 ÷오늘날 쓰고 있는 나누기 기호÷가 본격적으로 사용되기 이전에 쓰여진 나누기 기호는 또 있다. 바로 ‘:(콜론)’이다. 독일의 수학자 라이프니츠는 1684년 독일의 첫 번째 과학 저널 에서 비율과 나누기를 나타낼 때 이 기호를 사용했다. 하지만 이 기호는 나누 ... ...
- 개인정보 보호, 새로운 암호체계가 답이다!수학동아 l2014년 03호
- 연산이 가능한 완전동형암호이번 카드 정보 유출 사건은 롯데카드와 NH농협카드, KB국이 1억 4000건이 넘는 고객의 개인정보를 광고대행업체 대표에게 팔아넘긴 사건이다. 범인은 카드사의 전산망에 접근해 고객의 개인정보를 이동저장장치(USB)에 복사하는 방법으로 손쉽게 정보를 빼돌렸다. 그런데 ... ...
- GALAXY는 WARP중과학동아 l2014년 02호
- 새로운 은하의 모습에서 가장 주목할 만한 특징은 ‘워프’다. 휴대전화 통신사의 서비스 이름으로, 또 SF 작품에서 ‘순간 이동’을 의미하는 용어로 친숙한 단어다. 하지만 천문학에서 말하는 워프는 다른 뜻으로, 은하가 어떤 이유로 휘거나 뒤틀리는 현상을 의미한다.은하가 순간이동 하는 모습 ... ...
- PART2 서로 돕고, 교역하고, 견제하라과학동아 l2014년 02호
- 옛날에 전갈과 개구리가 살았다. 전갈이 길을 가다가 개천에 다다랐다.전갈: 개구리야, 나 좀 태워줘.개구리: 싫어, 부모님이 전갈은 독이 있으니 조심하라고 했어.전갈: 걱정마! 내가 너를 찌르면 나도 물에 빠져 죽는데, 설마 찌르겠니?개구리: 아~ 그렇구나. 어서 타렴!개천을 건너는데, 물살이 거 ... ...
- Part 3. 그녀들의 체형은 신의 선물일까과학동아 l2014년 02호
- 긴 팔다리가 예술성 더한다피겨스케이팅은 체조처럼 평균보다 키가 작고 팔다리 길이도 짧은 사람이 유리하다. 키가 너무 크면 무게중심이 상대적으로 가슴 위쪽에 위치해 균형을 잡기가 더 어렵고 체력도 많이 소모되기 때문이다. 피겨스케이팅 선수의 이상적인 키는 165cm 이하다. 김연아와 아사 ... ...
- 면역세포로 암세포 ‘킬러’ 만든다과학동아 l2014년 02호
- 1971년 미국 닉슨 대통령은 ‘암과의 전쟁’을 선포하며 10년 안에 암을 무찌르겠다고 약속했다. 당시에는 바이러스가 침입해 암이 생긴다고 믿었고 항암제 ‘인터페론’이면 충분하다고 생각했다.하지만 암은 이런 기대를 무시한 채 계속 살아남았다. 이제 과학자들은 암이 유전자 변이에 의해 발 ... ...
- 프랑스의 실패한 달력 혁명과학동아 l2014년 02호
- 2009년에 개봉한 영화 ‘2012’는 그간 끊임없이 회자돼 온 ‘2012년 인류 멸망설’을 소재로 했다. 고대 마야인들이 제작한 여러 가지 달력을 종합해 봤을 때, 현재의 태양계는 기원전 3113년에 시작됐고 5125년에 걸쳐 은하계를 서서히 이동한다. 그 운행이 끝나는 2012년 12월 21일에 지구의 종말이 오게 ... ...
- 도전! 수학자 수, 그림으로 말해요!수학동아 l2014년 02호
- 안녕하십니까? ‘도전! 수학자’에 참여해 주신 분들 환영합니다. 대개 수학자라고 하면 연구실에 콕 박혀 대부분의 사람들이 알 수 없는 연구만을 할 것 같지만, 의외로 누구나 흥미롭게 즐길 수 있는 퍼즐을 연구하며 시간을 보내기도 합니다. 이런 전통은 고대 그리스의 피타고라스학파 때부터 ... ...
이전91929394959697989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