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공학"(으)로 총 5,957건 검색되었습니다.
- [동아리탐방] 미적분 공부하며 함께 성장한다, 경기북과학고 Limes수학동아 l2020년 02호
- 특화된 동아리가 있다는 말을 듣고 그때부터 Limes에 들어가기로 마음먹었다. 로봇 공학자를 꿈꾸는 박석현 학생은 “하드웨어만 다루는 로봇 동아리보다 소프트웨어 개발에 꼭 필요한 미적분을 배우고 싶어 들어왔다”고 말했다.이주연 학생은 “Limes에는 수학을 잘하는 학생이 많다”며, ... ...
- [한페이지 뉴스] 모래+박테리아=살아있는 콘크리트?과학동아 l2020년 02호
- 수 있는 친환경 콘크리트 제조법을 개발했다. 윌 스루바 미국 콜로라도볼더대 건설환경공학과 교수가 이끄는 공동연구팀은 광합성을 하는 시아노박테리아(남세균)의 일종인 시네코코커스(Synechococcus)를 이용해 건축 재료를 만들었다. 연구팀은 배양액에 젤라틴을 섞어 혼합한 뒤 뼈대 역할을 할 수 ... ...
- 천문학자가 남극점에서 본 우주과학동아 l2020년 02호
- 사람들을 실험 천문학자라 부른다고 했다. 하는 일만 들어서는 천문학자와 물리학자, 공학자 사이 어딘가 위치한 직업 같았다. 그런데 굳이 지구 끝 남극까지 가서 실험 천문학을 해야 했을까. 관측 기기 직접 만드는 실험 천문학의 매력“남극점은 전파 관측을 하기가 정말 좋은 장소니까요 ... ...
- [진로체험] 자산 관리 하는 AI 비서 만든다, 권영준 블루바이저 상무수학동아 l2020년 02호
- 열심히 하지 않아 전공을 바꿔야 했던 사람도 있었습니다. 그만큼 SW를 포함해 모든 공학 분야에서 수학은 선택이 아니라 필수예요. 수학 전공자가 AI나 SW 개발 분야에 뛰어든다면, 다른 사람보다 SW 개발에 필요한 지식을 훨씬 빠르게 배울 수 있을 거예요. Q.개발자는 어떤 소양이 필요한가요 ... ...
- [SF에 묻는다] 프로스트와 베타 vs. 트랜센던스과학동아 l2020년 02호
- 감각과 능력이 달라진다면 예전 그대로이기는 어렵겠죠.이와 다른 의견도 있습니다. 로봇공학과 인공지능을 연구하는 한스 모라벡 미국 카네기멜론대 교수는 패턴 동일성을 주장했습니다. 인간 의식의 본질을 패턴으로 정의하고, 이 패턴만 유지된다면 정체성은 그대로라고 보는 시각입니다. 내 ... ...
- 나는 과학동아 키즈 과학동아 l2020년 02호
- 아직 그 누구보다 뜨겁다. 쏘카 소속으로 폴라리언트를 운영하면서 동시에 서울대 컴퓨터공학부 대학원에 진학한 이유다. 2월이면 석사학위를 받는다. 그동안의 경험을 되돌아보면 편광으로 자신이 나아갈 길을 찾는 사막개미처럼 나 또한 과학동아를 통해 나의 길을 찾았던 것이 아닐까 생각한다. ... ...
- [수학뉴스]거미의 사냥 실력, 비결은 수학!수학동아 l2020년 02호
- 생각했기 때문입니다.알레샨드리 카와노 브라질 상파울루대학교 메카트로닉스및기계공학과 교수팀은 조금 다르게 접근했습니다. 거미줄이 만드는 동심원, 그리고 동심원들이 모두 직선으로 연결된 방사형 모양을 하나의 큰 막으로 생각했습니다. 이를 토대로 새로운 수학 모형을 개발했습니다. ... ...
- [탐험대학] 실패에서 배운다! 탐험 페스티벌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1호
- 12월 7일, 서울대학교 글로벌공학교육센터에서 ‘2019 탐험대학 페스티벌’이 열렸어요! 탐험대학에 참가한 30명의 청소년은 전문가 멘토 등 200여 명의 앞에서 지난 반년간 자신의 탐험 이야기를 들려주었지요. 청소년 탐험가들, 반년 동안 과연 어떤 일을 겪었을까요? 탐험대학은 초등학교 ... ...
- [한페이지 뉴스] 진공인데 열에너지가 전달되네?과학동아 l2020년 01호
- 전달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장시양 미국 버클리 캘리포니아대(UC버클리) 기계공학과 교수팀은 100nm(나노미터· 1nm는 10억분의 1m) 두께의 질화규소에 75nm 두께의 금을 코팅한 멤브레인(막) 두 개를 준비하고, 두 막을 진공에서 1200nm 거리에 배치했다. 그리고 막 하나를 가열해 온도가 2 ... ...
- [신년기획] 2020년 쥐의 해과학동아 l2020년 01호
- 2019년 11월 28일 중국 네이멍구에서 네 번째 흑사병 확진 환자가 발생했습니다. 흑사병은 1347년 유럽에서 창궐해 14세기 유럽 인구의 30%를 앗아간 무서운 병입니다. 당시 최소 7500만 명이 사망하며 인류 역사상 최악의 전염병으로 기록됐죠. 이에 네이멍구 보건당국은 대대적인 쥐 퇴치작업을 펼쳤습 ... ...
이전91929394959697989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