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자동차
차량
탈것
카
승용차
수레
티
d라이브러리
"
차
"(으)로 총 4,289건 검색되었습니다.
밀감vs청견
어린이과학동아
l
201202
깔깔깔~!벌써 날 잊어 버렸나? 나는 알쏭달쏭 헷갈리는 과학 상식을 더 헷갈리게 하는 교과서 마녀 헷갈리나!오늘은 더 헷갈리는 과학을 가져 왔지롱~! 온주밀감귤은 감 ... 울퉁불퉁하다. 밝은 노란색을 띠며 신맛이 강하다. 과육이 부드럽고 향기가 좋아 설탕에 절여
차
를 만들어 먹는다 ... ...
예쁜 건 기본, 맛이 덤인 먹는 꽃
어린이과학동아
l
201202
품종에 따라 다양한 색을 띰. 복숭아꽃 잎보다 꽃이 먼저 핌. 쟈스민 향이 좋아 향수나
차
원료로 이용함. 예쁠 뿐 아니라 맛도 있는 먹는 꽃처럼 사람에게는 누구나 여러 가지 장점이 있어. 친구들에게도 많은 장점이 숨어 있을 거야. 이번 겨울에는 지금까지 몰랐던 자신의 다른 장점을 찾아보는 ... ...
수학으로 꿰뚫는 추리 셜록홈즈 그림자 게임
수학동아
l
201202
건넨
차
를 마시고 즉사했거든.홈즈는 모라아티 교수가 독성이 있는 식물을 우려낸
차
로 그녀를 살해한 걸 알아 냈어. 그의 식물에 대한 정보가 없었더라면 불가능한 일이었지.이처럼 셜록홈즈는 타고난 천재적인 추리능력뿐만 아니라 수학은 물론, 과학 실력까지 갖추고 있었어.어떤가? 이만 하면 ... ...
정교한 수학이 숨 쉬는 이탈리아 건축물
수학동아
l
201202
모양은 이오니아식을 거쳐 코린트식으로 바뀌었다.시간이 흐르면서 건물의 외관부터
차
츰 코린트식 기둥을 써, 나중에는 건물 대부분을 코린트식으로 만들었다.그렇다면 도형의 성질로 기둥의 모양과 특징을 설명할 수 있을까?도리아식은 겉면에 난 골을 무시하면 기둥 한가운데를 관통하는 직선을 ... ...
늦잠, 유전자 때문이야!
과학동아
l
201202
약 100mg의 카페인이 들어있다. 카페인의 반감기는 약 5시간이다. 따라서 저녁 6시에
차
나 커피를 마셨다면 밤 11시에도 50mg의 카페인은 피 속에 떠다니면서 수면을 방해한다. 하지만 밤 늦게 에스프레소를 마셔도 잘 자는 사람이 있다. 이미 몸이 커피에 익숙해져 카페인에 반응하지 않기 때문이다 ... ...
재난 앞에서 우리는 왜 똑똑하지 못할까
과학동아
l
201202
모호한 경우에는 동조 현상이 더 잘 일어난다. 대구 지하철 사고에서 많은 사람들이 전동
차
에 연기가 자욱해지는 상황을 보고도 눈치만 볼 뿐 아무도 탈출하려 하지 않았다. 그렇게 불안해만하다 불길이 번지자 출입문 쪽으로 달려갔다. 모두가 엉켜 붙었고 상황은 더욱 나빠져 탈출이 불가능해졌다. ... ...
고분자로 범인을 찾아라!
과학동아
l
201202
1978년 일본 경찰청 지문 감식과에서 처음 고안했다. 순간접착제는 어떻게 발명됐을까. 2
차
세계 대전이 한창이던 1942년, 필름 제조사인 코닥의 연구원 해리쿠버 박사는 항공기 조종석 덮개를 개발하는 연구를 하기 위해 시아노아크릴레이트를 연구했다. 그러던 중 두 개의 광학프리즘에 ... ...
PART 1. 낭낙이와 순대 이야기
과학동아
l
201202
‘그루밍’처럼 낭낙이도 제 몸에 더러운 것이 묻거나 상처가 나면 핥곤 합니다. 둘의
차
이는 치장의 빈도입니다. 낭낙이는 아주 가끔 하지만, 순대는 짬이 나면 몇 시간이고 제 몸을 핥아댑니다. 보고 있으면 둘 다 자신이 예쁘다고, 잘생겼다고 생각하는 것 같아요. 가끔 ‘순대와 낭낙이 중에 누가 ... ...
유방암 백신 여성의 구세주 될까
과학동아
l
201202
아시아에서도 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2001년부터 유방암이 여성 암 1위를
차
지했으며 2004년 이후부터 현재까지는 감상샘암 다음으로 많이 발생하는 암이 됐다. 더욱이 국내 유방암 발생률은 1996년 이후 지난 10여 년 간 3배나 증가했다. 1996년 3801명이던 환자수가 2008년에는 약 1만 300 ... ...
유룡 KAIST 화학과 교수 “제올라이트 연구로 사이언스 10대 성과에 뽑혔습니다”
과학동아
l
201202
할 때면 늘 그렇듯이 이번에도 마지막에 노벨상 이야기가 나왔다. 흥미롭게도 화학에서
차
지하는 비중이 큰 제올라이트 분야에서는 아직 노벨상 수상자가 없다. 수상 범위에 든 화학자들이 수상이 무르익을 때쯤 사망했기 때문이다.“사실 지난해 외국의 한 블로그에서 노벨화학상을 예측했는데 ... ...
이전
91
92
93
94
95
96
97
98
9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