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스님
까까중
승려
사주
사승
d라이브러리
"
중
"(으)로 총 19,280건 검색되었습니다.
[수학으로 생각하기] 일본 대지진 바로 알기
수학동아
l
2011년 04호
증상이 나타난다. 1000mSv의 방사선을 한 번에 받으면 당장 생명에는 영향이 없지만 100명
중
1명은 몇 년 뒤 암에 걸릴 수 있다.방사선량은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한다. 즉 거리가 멀수록 그 양이 감소한다. 하지만 방사성 물질은 바람을 타고 날아가서 방사선을 내뿜을 수 있다. 일본에 지진이 발생한 ... ...
Part 5. 포스터로 보는 수학의 활약
수학동아
l
2011년 04호
50%로 감소한다.✚2007년 주제 ‘수학과 뇌’ 현대 수학에서 가장 흥미로운 도전 과제
중
하나가 사람 두뇌의 비밀을 밝히는 것이다. 수학을 이용하면 뇌 전체에 대한 원리뿐만 아니라 구성 요소 하나까지 이해할 수 있다. 함수 사이의 관계를 방정식으로 나타내는 미분방정식을 이용하면 뇌의 ... ...
[수학실험실] 소금성에서 내심을 찾아라!
수학동아
l
2011년 04호
외심 : 세 변의 수직이등분선의 교점. 외접원의
중
심이다.무게
중
심 : 세
중
선의 교점.
중
선은 변 길이를 이등분하는 선이다.수심 : 세 꼭짓점에서 대변에 내린 수선의 교점이다.방심 : 한 내각의 이등분선과, 다른 2개의 꼭짓점에 대한 두 외각의 이등분선의 교점이다 ... ...
[수학영재캠프] 낭만 올림피아드
수학동아
l
2011년 04호
국제수학토너먼트(TOT)’ 에서 만났던 수많은 멋진 문제들
중
에서도 ‘대표적인 멋진 문제’ 를 꼽으라 한다면 필자에게 가장 먼저 떠오르는 문제가 하나 있습니다. 그것이 바로 이번 호에 소개할 문제입니다. 어떤 문제일지 궁금해지지 않나요? 여러분도 기억에 남는 멋진 문제를 하나쯤 갖고 ... ...
수학교육 문제점, 생활수학으로 해결한다
수학동아
l
2011년 04호
수 있어 수학계 의견을 모아 바람직한 방향으로 결정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 며 신
중
하게 접근해 달라고당부했다. 배종수 교수는 “교과부의 수학교육 개선 방향 자체에 대해서 전문가 대부분이 찬성할 것” 이라며 “이번 정책으로 수학교육이 크게 개선될 것” 이라고 기대했다 ... ...
Part2. 다시 쓰는 인류의 진화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경우라면 같은 시기에 좀더 폭넓은 지역에 분포하는 종으로 편입된다. 유명한 예로는
중
국 조우코우디엔의 ‘북경인’이 ‘피테칸트로푸스 페키넨시스’라는 종으로 발표되었다가 인도네시아 자바의 ‘자바인’과 함께 ‘피테칸트로푸스 에렉투스’로 통합된 뒤, 피테칸트로푸스가 호모 속으로 ... ...
인공위성이 그린 호랑이의 포효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대지가 버티고 있는 모습이 이채롭다. 오만은 국토의 대부분이 사막이지만, 도파르 지역
중
아라비아 해와 맞닿아 있는 부분은 대조적으로 식물이 무성하다. 매년 여름 이 지역에 내리는 비는 해안가의 식물이 살아가는 데 충분한 물을 일 년 내내 공급해 준다.] [영역 싸움 서로 다른 색깔을 ... ...
잠꾸러기 원인은 유전자 고장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과학학술지 ‘네이처’에 게재했다.연구팀은 초파리에서 생체시계를 조절하는 유전자
중
‘per’ 유전자를 없앴더니 초파리의 생체리듬이 망가졌다. 연구팀은 per 유전자가 생체시계 단백질이 발현되는 것을 돕는다는 사실도 추가로 알아냈다. 앨리다 교수는 “뇌에서 생체시계 단백질이 일어나라는 ... ...
입자 가속기 삼국지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수백, 수천억 원이 투입되는 대규모 연구시설이니 효율적인 투자방법은 반드시 신
중
하게 논의해야 한다. 하지만 진정한 ‘과학강국’을 꿈꾼다면 가속기는 꼭 필요하다. 기초과학기술을 거머쥔 국가가 미래 강대국으로 부상할 거라는 데 이의를 제기하는 사람은 없기 때문이다 ... ...
굿 바이! 킬로그램의 어머니!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열리면 새로운 질량의 정의가 탄생한다. 아보가드로 상수와 플랑크 상수
중
과연 어느 것이 새로운 질량의 표준으로 등극할지는 아직 알 수 없다. 하지만 비록 정확성에서는 다소 떨어진다고 해도 1kg의 기준을 명료하고 직관적으로 보여 주는 원기가 사라진다고 생각하니 왠지 서운한 느낌이 든다 ... ...
이전
950
951
952
953
954
955
956
957
95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