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천연
만물
내추럴
자연계
네추럴
자연상태
상태
스페셜
"
자연
"(으)로 총 1,264건 검색되었습니다.
완전 분해 ‘친환경 플라스틱’ 가능할까
2018.12.31
바다까지 진출한 플라스틱 폐기물이 큰 문제가 되고 있다. 미생물에 의해 빠른 속도로
자연
분해되는 친환경 플라스틱 개발이 시급해진 이유다. -사진 제공 블루픽셀이미징 ‘플라스틱의 역습’이라는 말이 떠오르는 한 해였다. 미세플라스틱이 바다 생물의 목숨을 위협하고 식탁까지 침범해 왔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미세먼지 몸통 검댕 나노입자의 탄생
2018.12.05
때 늘 생기므로 공명-안정화된 라디칼을 통해 검댕 나노입자가 만들어지는 과정은
자연
계에서 널리 일어나고 있다는 말이다. 이번에 밝혀진 검댕 나노입자가 형성되는 메커니즘은 놀라우면서도 아름답기까지 하다. 그럼에도 지구촌 곳곳에서 지나치게 만들어져 미세먼지의 형태로 인체에 침투해 ... ...
수소 연료 앞당길 효율 높은 나노 촉매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1.13
때 생산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새로운 전극 촉매를 개발했다고 13일 밝혔다. 수소는
자연
계에 존재하는 가장 가벼운 분자로, 수소차 등에서 전기를 진환경적으로 생산하기 위해 연료로 사용하는 물질이다. 대량으로 수소를 얻기 위해 액화천연가스를 변환해 수소를 만들거나 물을 분해하는 방법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TV의 과잉스펙 시대
2018.11.13
이 더 넓어 채도가 좀 더 높은 색을 낼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필자가 UHD 채널에서
자연
풍경을 볼 때 더 선명한 것 같다고 느끼는 건 해상도가 아니라 채도가 높아져 색감이 풍부해진 결과일지도 모른다. 그럼에도 어느 채널인지 모르게 한 뒤 ‘지금 보고 있는 게 HD 영상일까 UHD 영상일까?’라고 ... ...
“정부는 왜 남북교류에서 과학기술을 뺐나"
동아사이언스
l
2018.11.10
생산량에 버금가는 수준임에도 수입이 불가능해 만성적인 식량 부족에 시달리고 있다.
자연
재해에도 취약하고 수확 뒤 손실률이 최대 15~20%에 이를 정도로 많다. 허성기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연구관은 “현재까지의 데이터를 중심으로 판단해 보면, 한국의 기술을 투입하면 북한의 식량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장수 비타민을 아시나요
2018.10.31
어느 정도 보충하면서 과잉으로 섭취되는 건 없게 하는 방편으로. 영양소 배치의
자연
선택이론 그럼 필자가 이런 인식의 전환을 하게 만든 ‘우선권 이론’을 소개한다. 사실 ‘triage theory’를 우선권 이론이라고 번역하는 게 맞는지 모르겠다. 영어사전을 보면 ‘triage’는 ‘사고나 전쟁으로 ... ...
[과학게시판]노벨상 수상자 기조강연 外
동아사이언스
l
2018.10.21
주제인 ‘국민을 행복하게 하는 기계기술’에 맞춰 과학상자와 오토마타, 기타
자연
재료 및 재활용품을 이용해 직접 움직이는 작품을 선보였다. ■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인공지능(AI) 혁신생태계를 활성화할 수 있는 정책 과제를 발굴하고 추진하기 위해 현장 소통을 강화한다고 밝혔다. ... ...
‘대중화’ 갈길 먼 수소車
동아사이언스
l
2018.10.12
개선하기 위해 화학적 변환을 돕는 ‘촉매’ 연구에 매진하고 있다. 김광수 UNIST
자연
과학부 특훈교수가 극미량의 백금을 탄소나노튜브에 입힌 촉매로 수소 생산 효율을 100배 높여 올해 7월 학술지 ‘네이처 에너지’에 발표한 게 대표적이다. 비록 외부 에너지를 투입하지만, 태양광발전 등 ... ...
[강석기의 과학카페]길들인 여우 게놈 분석해보니…
2018.10.02
한다. 갯과(科) 동물 가운데 이렇게 작은 종이 있을 거라고는 생각하지 못했다. TV
자연
다큐멘터리에서 사막여우를 본 적이 몇 번 있는 것 같은데 좀 작은 것 같기는 했어도 이 정도일지는 몰랐다. 주먹만한 머리에 커다란 귀 두 개가 솟아 있는 사막여우 역시 무척 귀여워 애완동물로 키우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올리버 색스와 신경퇴행성질환 리티코-보딕 이야기
2018.09.18
이럴 문제도 없었다. 사실 결론을 두 부분으로 정리해 따로 붙이면 된다. 최근 성선택이
자연
선택만큼이나 진화에서 큰 역할을 했다는 인식이 널리 퍼지고 있다. 만일 다윈이 성선택을 다룬 2부를 ‘성선택’이라는 독자적인 제목의 책으로 냈다면, 지금쯤 ‘종의 기원’만큼이나 지명도가 높은 ... ...
이전
90
91
92
93
94
95
96
97
9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