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위치
지위
장소
좌석
처지
신분
공간
스페셜
"
자리
"(으)로 총 1,394건 검색되었습니다.
[우주로 가는 기업들]①3억원에 위성 쏜다…소형위성 발사시장 장악한 민간기업들
동아사이언스
l
2018.10.26
제공 모니카 디렉터는 “스페어 타이어처럼 크게 설계를 변경할 필요 없이 빈 엔진
자리
에 로켓인 랜처원을 탑재할 수 있기에 이 기종을 선택했다”며 “승객용 의자 등 불필요한 부분을 들어내 무게를 크게 낮췄다”고 말했다. 현재 버진 오빗은 위성이 들어갈 발사체인 런처원, 코스믹걸과 ... ...
[강석기의 과학카페]합성석유가 고유가 시대 대안이 될 수 있을까
2018.10.23
제트유 함량이 41%를 넘을 수 없다는 기존 이론을 넘어서는 수치다. 끝으로 수소원자
자리
를 칼륨(K)으로 바꿔 촉매활성을 조절하자 조성의 58%가 디젤유인 액체연료가 나왔다. 역시 피셔-트롭 공정으로 얻은 액체연료에서 디젤유 함량이 40%를 넘을 수 없다는 기존 이론이 틀렸음을 보여주는 ... ...
[강석기의 과학카페]길들인 여우 게놈 분석해보니…
2018.10.02
DNA 염기가 다른
자리
가 845만여 곳인 것으로 드러났다. 이 가운데 그룹별로 의미가 있는
자리
를 찾았다. 그 결과 길들인 은여우와 선별하지 않은 은여우 사이의 차이가 사나운 은여우와 선별하지 않은 은여우 사이의 차이보다 큰 것으로 드러났다. 이는 예상한 결과로 애초에 은여우가 사나운 편인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모르는 걸 모른다고 말하자
2018.09.15
얼굴이 화끈거렸고 속이 상했다. 나의 무지가 만천하에 드러난 것만 같았고 나는 이
자리
에 있을 자격이 없다는 생각까지 들었다. 그렇게 며칠을 분노와 부끄러움, 자학에 소모했다. 그러다 문득 그런데 내가 뭘 모르는 게 그렇게 큰 일인가 질문해보았다. ‘내가 뭘 좀 모르는 게 그렇게 큰 일인가?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팔 잘린 사람은 손목 잘린 아픔을 모른다
2018.09.08
경멸스럽다고 더 많이 응답하는 경향을 보였다. 두 번째 실험에서는 사람들에게 아홉
자리
의 숫자들을 20분 동안 외우게 하는 고통스러운 과제를 주었다. 사실은 그렇지 않았지만 참가자들에게는 과제의 목적이 직무 능력을 파악하는 테스트라고 알렸다. 이러한 고통스런 시험을 보지 않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약이 되는 독액 이야기
2018.09.04
지니고 있다. 청자고둥은 치설에 있는 작살처럼 생긴 독침을 지나가는 물고기에 쏴 그
자리
에서 마비시켜 잡아먹는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 참고로 지난 2004년 미 식품의약국(FDA)의 승인을 받은 진통제 지코니타이드(ziconitide)는 청자고둥의 코노톡신의 하나로 아미노산 25개로 이뤄진 펩티드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갈색지방 속 ‘숙신산’서 다이어트 효과 찾았다
2018.08.07
때 모르는 척 뒤로 슬쩍 물러나 있는 것도(인색함) 씁쓸한 장면이다. 어쩌다 한번 모이는
자리
라면 돈이 없는 사람은 얻어먹고 있는 사람이 내는 게(물론 생색은 내지 않고) 훈훈한 모습 아닐까. 자기 형편에 맞게 씀씀이를 조절하면 좋겠지만 그게 잘 안 되는 건 우리 몸도 마찬가지다. 굶주림이 ... ...
[표지로 읽는 과학] 미국이 슈퍼컴·양자컴 연구에 매진하는 까닭
동아사이언스
l
2018.07.28
내준 뒤 내리 4년 동안 최강의 컴퓨터를 선보이지 못했다. 서밋은 미국에게 5년 만에 1위
자리
를 선사해 준 슈퍼컴퓨터다. 직전까지 1위였던 중국의 타이후라이트보다 약 1.5배 빠른 속도(122페타플롭)를 자랑한다. 잡지 표지에 등장한 사진답게, 소위 ‘포샵’을 많이 한 사진이다. 슈퍼컴퓨터는 거대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동물 다세포성의 기원에 대한 고찰
2018.07.10
다세포성에 대한 내용으로 깊은 인상을 받았다. 독자들도 공감할지 확신은 안 서지만 이
자리
에서 소개한다. 동물과 가장 가까운 친척은 깃편모충류 먼저 동물 다세포성의 기원을 유전자 차원에서 규명한 연구로, 결론부터 말하면 지금까지 동물 고유의 유전자라고 생각했던 것 가운데 다수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잃어버린 물질을 찾아서
2018.07.03
WHIM에 존재할 것이라고 가정하고 유럽우주국(EPA)의 XMM-뉴턴 X선 우주망원경으로 도마뱀
자리
BL천체 1ES 1553+113를 장기간(총 관측시간 175만 초(약 20일)) 관측해 얻은 스펙트럼을 분석했다. 1ES 1553+113는 X선을 가장 많이 방출하는 퀘이사로 최소한 72억 광년 떨어져 있다. 그 결과 퀘이사에서 나온 빛이 두 ... ...
이전
90
91
92
93
94
95
96
97
9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