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창작
신설
창시
창설
독창
창안
천지창조
뉴스
"
창조
"(으)로 총 1,558건 검색되었습니다.
“홍릉 지역, 홍릉과학단지로 만들어야”
2015.05.11
개발 정책을 교육하는 시설을 마련하겠다는 계획을 세웠고, 문화체육관광부도 ‘문화
창조
융합벨트’ 계획을 발표하는 등 홍릉 지역을 둘러싸고 부처마다 경쟁적으로 개발 계획을 발표했다. 이덕환 과학기술포럼 간사(서강대 화학과 교수)는 “각 부처의 개발 계획을 반대한다는 것이 아니라 한국 ... ...
우리나라 과학기술 수준은 세계 최고 수준의 78.4%
2015.05.03
2014년 우리나라 과학기술은 세계 최고 수준의 78.4%이며 기술격차는 4.4년으로 나타났다. 미래
창조
과학부와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은 우리나라 과하학기술 10대 ... 정책을 마련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해 우리나라 기술수준을 개선해 나갈 것”이라 밝혔다. 미래
창조
과학부 ... ...
[미래를 듣는다 9]“사회 변화 따라가는 인재로 성장해야”
2015.04.30
책임감이 있어야 합니다.” ― 이전 포럼에서 과학기술인과 소통해야 하는 미래
창조
과학부 공무원의 경우 과학적 소양이 없다는 지적이 나온 적이 있습니다. 여기에 대해서는 어떻게 생각하지는지요. “자기계발의 문제라고 생각합니다. 능력을 향상시키겠다는 강한 동기부여와 실천력을 ... ...
나노기술에 1772억 원 투자 ‘나노기술 산업화 전략’ 발표
2015.04.30
이석준 미래부 1차관이 30일 판교 나노기술 중견기업 크루셜텍에서 '나노기술 산업화 전략'을 발표했다. - 미래
창조
과학부 제공 정부가 세계적으로 급성장 추세인 나노기술산업 육성에 나선 ... 우리 산업과 경제발전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미래
창조
과학부 ... ...
790개 우주기술 ‘스핀오프’ 시작
2015.04.29
29일 밝혔다. 이번 사업은 박근혜 정부의 핵심 국정과제인 ‘우주산업 육성을 통해
창조
경제 구현’을 위한 것으로 국가가 보유한 790여개에 이르는 핵심 우주기술의 성과 확산을 본격 추진하는 신호탄이 될 전망이다. 우리나라 우주기술은 25년이라는 비교적 짧은 시간 내에 세계 8위 수준으로 ... ...
[청년드림]“1억원대 인공손, 수십만원에 제작”
동아일보
l
2015.04.29
기술과 만나다’를 주제로 제5회 창의메이커스데이를 개최했다. 이날 행사에서 이기태
창조
경제포럼 의장은 ‘3D프린팅 기술이 가져올 산업 혁신’을 주제로 기조연설에 나섰다. 주제 발표에 나선 다른 참가자들은 △이비인후과와 치과 및 심장내과에서의 3D프린팅 활용 사례와 확대 방안 △의료 ... ...
김종훈 회장 “한국 창업기업, IT와 과학기술 융합분야 고민해야”
2015.04.29
입지전적인 인물로 꼽힌다. 이후 미국 벨연구소 사장을 거쳤다. 김 회장은
창조
경제 정책에 대해 “현재 정부가 여러 제도를 마련해 창업을 돕고 있고, (창업을 권장하는) 문화 역시 생기고 있는 점이 잘하고 있는 것 같다”고 말했다. 국책연구기관과 기업 간 상생 방안에 대해선 “내가 거론할 ... ...
티라노사우루스도 노아의 방주에 탔을까?
과학동아
l
2015.04.28
변했다는 소리입니다. 어라, 그럼 지금 동물은 신이
창조
했을 때와 다르다는 건가요?
창조
과 학회가 반대하는 진화론처럼 들리는 건 저뿐인가요? 성경의 대홍수가 약 4500년 전에 일어났다는 주장은 더 큰 문제를 일으킵니다. 대륙이동설이야 옳지만, 몇천 년 만에 이 정도 변화를 일으킨다는 건 ... ...
빛 파장이 일주리듬 조율한다
2015.04.27
왼쪽은 여름 맑은 날이고 오른쪽은 가을 해질녘이다. - 위키피디아 제공 눈(eyes)은
창조
론자들이 진화론을 공격할 때 단골메뉴였다. 눈처럼 정교한 구조가 진화하려면 오랜 기간 기능이 없는 과도기 형태를 거쳐야하는데 논리적으로 말이 안 된다는 것. 물론 진화론자들도 시뮬레이션까지 동원해 ... ...
[미래를 듣는다 7] “‘울산의 눈물’ 막을 길은 과학기술 혁신과 도전”
2015.04.27
것은 과학기술사회에서 아주 후진적인 현상입니다. 우리 과학기술인과 소통하는 미래
창조
과학부만 봐도 그렇습니다. 미래부에는 행정고시 출신들이 앉아 있지요. 과학기술인과 소통해야 하는데 전문가가 없습니다. 적어도 미래부 공무원은 어느 정도의 과학적 소양은 있어야지요. 그래서 저는 ... ...
이전
90
91
92
93
94
95
96
97
9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