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유일"(으)로 총 1,756건 검색되었습니다.
- [강석기의 과학카페] 2억 년 전 화석 계보 밝힌 고(古)단백질체학2019.10.22
- 수 있었다. 이 가운데 단 하나를 제외한 모든 아미노산의 서열이 세 종에서 동일하다. 유일한 예외가 콜라겐 1알파2 단백질의 996번째 아미노산으로, 네안데르탈인과 현생인류는 아르기닌(R)이고 데니소바인은 라이신(K)이다. 어금니에서 추출한 콜라겐 1알파2 단백질의 996번째 아미노산은 ... ...
- 원자력연 개발 고농축우라늄 최소화 기술 "핵비확산에 기여"동아사이언스 l2019.10.21
- 쓸 때만큼 성능을 높이려면 핵연료의 우라늄 밀도를 높여야 한다. 이 난제를 해결한 유일한 방법이 원자력연이 개발한 원심분무 U-Mo 핵연료 기술이다. 2012년에는 서울에서 열린 핵안보정상회의에서는 한국과 미국, 프랑스, 벨기에 4개국이 원심분무 U-Mo 핵연료 기술을 이용해 비군사 목적 ... ...
- [주말 고고학산책] 스웨덴 황태자가 발굴한 경주 고분의 수난사2019.10.19
- 모습(왼쪽)과 출토 당시의 모습(오른쪽). 서봉총 금관은 지금까지 발견된 신라 금관 중 유일하게 정수리 부분에 봉황을 장식한 것으로, 최고 권력자를 상징한다고 추측한다. 국립중앙박물관 제공 관련기사 어린이과학동아 21호(10.15 발행) [Go!Go! 고고학자] 경주 고분을 외국인이 발굴했다고? ... ...
- 한국 연구자 발표한 '세 부모 자녀' 가이드라인 반박 연구 나와동아사이언스 l2019.10.17
- “미토콘드리아 치환술이 현재까지 미토콘드리아 유전병을 해결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인 만큼 주의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강 교수는 “당시 연구의 경우 공여자는 모두 건강한 사람으로 한정했고 4세대를 스크리닝 했지만 병이 나타나지 않는 가족이었다”고 말했다. LHON를 일으키는 ... ...
- 일본 과학 올해도 웃었다…노벨과학상만 24명째동아사이언스 l2019.10.09
- 에 이른다. 미국이나 유럽에 비해 아시아는 '노벨상 가뭄'이다. 이 가운데 일본에서는 유일하게 노벨 과학상 수상자를 꾸준하게 배출하고 있다. 올해 요시노 교수가 노벨 화학상을 공동수상하며 올해까지 일본에서는 1949년 유카와 히데키 당시 일본 교토대 교수가 처음으로 노벨 물리학상을 ... ...
- [과학자가 해설하는 노벨상] 산소 감지하는 세포 '분자스위치' 암 치료 새 장 열다2019.10.08
- 이현숙 서울대 생명과학부 교수 “이 교수, 윌리엄 케일린 교수가 노벨 생리의학상을 수상하게 됐다는데, 11월에 한국에 올 수 있을까?” 7일 오후 울산의 동료 과학자 ... 이미 연구(research)라 할 수 없다.” 미지의 세계로 질문이 이끄는 대로 가는 것. 노벨상으로 가는 유일한 길이다. ... ...
- 법원 "김박사넷, 명예훼손·정보통신망법 위반 아냐" 동아사이언스 l2019.09.26
- 알려졌다. 26일 ‘법률신문’에 따르면, 서울중앙지법 민사 25부는 대학 교수 A씨가 유일혁 김박사넷 대표를 대상으로 낸 손해배상청구소송에서 원고패소 판결을 내렸다. 유 대표가 운영하는 김박사넷은 국내 주요 대학의 이공계 대학원 교수와 연구실의 정보를 제공하는 평가 사이트다. 재학생과 ...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과학계의 인종차별2019.09.25
- 인종차별로 나타날 수 있다. 우리는 언제든 인종차별주의자가 될 수 있다. 그걸 막는 유일한 방법은 끊임 없는 자각과 교육 그리고 제도적 정비 뿐이다. ※필진소개 김우재. 어린 시절부터 꿀벌, 개미 등에 관심이 많았다. 생물학과에 진학했으나, 간절히 원하던 동물행동학자의 길을 자의 반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아프리카돼지열병 어떻게 한국까지 들어왔을까2019.09.24
- 3~4년은 걸릴 것으로 보인다. 이번에 유라시아를 휩쓸고 있는 ASF는 철저한 방역이 사실상 유일한 대응책이라는 말이다. ※필자소개 강석기 (kangsukki@gmail.com). LG생활건강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근무했으며, 2000년부터 2012년까지 동아사이언스에서 기자로 일했다. 2012년 9월부터 프리랜서 작가로 ... ...
- [애니멀리포트]개의 초롱초롱한 눈빛은 인간과 소통 위한 진화의 결과 과학동아 l2019.09.21
- 세균이 번식하기 좋은 환경이다. 개는 사람처럼 다른 부위에는 피부에 땀샘이 없고, 유일하게 발바닥에만 땀샘이 있다. 따라서 산책을 하거나 뛰어놀 때 발바닥을 통해 땀을 흘린다. 때문에 개 발바닥에는 프로테우스(Proteus)속, 슈도모나스(Pseudomonas)속에 해당하는 세균이 번식하고 있다. ... ...
이전90919293949596979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