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밀도
밀집 상태
농도
뉴스
"
비중
"(으)로 총 1,472건 검색되었습니다.
“기하-과학Ⅱ 빠진 수능, 문·이과 통합이 아닌 문과로의 통합”
동아사이언스
l
2018.07.25
이들은 성명서에서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아 주요 선진국들은 최근 수학·과학 교육의
비중
을 오히려 강화하고 있다”며 “수학·과학 교육 축소는 이공계 학생들의 학습권을 박탈하고 국가경쟁력을 약화시킬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이공계 수능 출제범위에 기하와 과학Ⅱ를 포함하고 ... ...
[2022 수능개편안 연속기고] 공학 교육 측면에서 본 2022년 수학 과학 수능 개정안
2018.07.25
교과과정에서 수학과 과학의 지속적인 내용 축소, 수학능력시험에서의 수학 과학
비중
축소와 난이도 하향 조정 등에 무심했던 필자도 이제는 더 이상 방관만 할 수 없는 실정이다. 오명숙 교수 고등학교에서 화학I 수준만 배운 학생들이 화학공학과에 진학하면, 대학 1학년 화학에서 다루는 ... ...
[2022 수능개편안 연속기고] 수학을 강조하고 지원하는 영국의 교육 정책
2018.07.25
편집자 주. 정부는 현재 중3 학생이 치를 2022년 수능에서 수학과 과학 과목
비중
을 대폭 축소하는 방안을 추진 중입니다. 수학 시험은 문이과를 통합해 치르고, 과학은 사회와 합쳐 2과목만 골라 응시하는 방식입니다. 과학기술계에선 우려의 목소리가 큽니다. 쉬운 공부에 매달리다 정작 미래를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고기를 향한 무서운 열망... 어떻게 해결할까?
2018.07.24
시각이 많다. 오늘날 인류의 물 사용량을 보면 농업용수(arable+livestock)가 가장 큰
비중
을 차지한다. 농업용수의 40%가 가축 사육(livestock)에 들어간다(대부분은 사료 작물을 재배하는데). 산업용수(industrial)와 생활용수(municipal)가 그 뒤를 따른다. - ‘사이언스’ 제공 나쁜 넛지 좋은 넛지 ... ...
[2022 수능개편안 연속기고] 미래사회를 위해 수학교육에 필요한 현장의 목소리
2018.07.24
편집자 주. 정부는 현재 중3 학생이 치를 2022년 수능에서 수학과 과학 과목
비중
을 대폭 축소하는 방안을 추진 중입니다. 수학 시험은 문이과를 통합해 치르고, 과학은 사회와 합쳐 2과목만 골라 응시하는 방식입니다. 과학기술계에선 우려의 목소리가 큽니다. 쉬운 공부에 매달리다 정작 미래를 ... ...
[2022 수능개편안 연속기고] 언어학자가 말하는 쉬운 수학의 진정한 의미
2018.07.23
편집자 주. 정부는 현재 중3 학생이 치를 2022년 수능에서 수학과 과학 과목
비중
을 대폭 축소하는 방안을 추진 중입니다. 수학 시험은 문이과를 통합해 치르고, 과학은 사회와 합쳐 2과목만 골라 응시하는 방식입니다. 과학기술계에선 우려의 목소리가 큽니다. 쉬운 공부에 매달리다 정작 미래를 ... ...
[2022 수능개편안 연속기고] 수학과학 교육 외면...우리 미래는 지속가능한가?
2018.07.20
편집자 주. 정부는 현재 중3 학생이 치를 2022년 수능에서 수학과 과학 과목
비중
을 대폭 축소하는 방안을 추진 중입니다. 수학 시험은 문·이과를 통합해 치르고, 과학은 사회와 합쳐 2과목만 골라 응시하는 방식입니다. 과학기술계에선 우려의 목소리가 큽니다. 쉬운 공부에 매달리다 정작 미래를 ... ...
[2022 수능개편안 연속기고] 무리한 문이과 통합에 길 잃은 백년대계
2018.07.19
편집자 주. 정부는 현재 중3 학생이 치를 2022년 수능에서 수학과 과학 과목
비중
을 대폭 축소하는 방안을 추진 중입니다. 수학 시험은 문이과를 통합해 치르고, 과학은 사회와 합쳐 2과목만 골라 응시하는 방식입니다. 과학기술계에선 우려의 목소리가 큽니다. 쉬운 공부에 매달리다 정작 미래를 ... ...
국내 첫 표준 소형위성 ‘차세대소형위성 1호’ 9월 말 우주로
동아사이언스
l
2018.07.17
앞서 발사된 나로과학위성이나 과학기술위성 1·2호와 같은 100㎏급 위성이지만 탑재체
비중
이 40~50%로 높다. 그만큼 같은 크기의 위성으로 더 많은 관측 장비를 실을 수 있는 셈이다. 상공 550㎞ 지구저궤도에서 운용되는 차세대소형위성 1호는 발사 후 3개월 간 기초 시험을 거쳐 향후 2년간 임무를 ... ...
[표지로 읽는 과학] 우울증 약물 조절에 중요한 뇌 수용체 부위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7.08
힙스 미국 텍사스사우스웨스턴대 메디컬센터 교수팀이 뇌의 가바 수용체 중 가장 많은
비중
을 차지하는 ‘α1β2γ2 가바A’의 구조를 밝혀 네이처 5일자에 발표했다. 가바는 신경 활성을 억제하는 작용을 한다. 뇌에서 일어나는 신속한 억제성 신경전달은 기본적으로 가바와 A형 가바 수용체(가바A)에 ... ...
이전
90
91
92
93
94
95
96
97
9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