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권력
위신
권세
체면
위엄
신망
세력
뉴스
"
권위
"(으)로 총 1,009건 검색되었습니다.
세계 최고의 학술지는 어떻게 탄생했나 ② 네이처
동아사이언스
l
2013.10.25
베로니크 키어머 네이처 편집주필은 “매년 5억 건의 인용이 발생하고 5000명의
권위
자가 피어리뷰에 동의하고 있다”라며 “과학자들은 자신의 최고 성과를 네이처에 싣기를 희망하고, 이는 전 세계 과학 보도에도 영향을 미친다”고 말했다. 그렇다면 네이처의 성공 요인은 뭘까. ... ...
[책의 향기]‘제 눈에 안경’은 뇌의 장난입니다
동아일보
l
2013.10.24
죽겠다며 히죽거린다. 왜 이러는 걸까. 미국 존스홉킨스대 의대 교수로 신경학의 세계적
권위
자인 저자는 이렇게 설명한다. 사랑에 빠지면 뇌의 복측피개영역(VTA)에서 만들어진 신경전달물질인 도파민이 측중격핵, 전전두피질, 배측선조체, 편도체에 분비된다. 이 영역이 바로 우리에게 황홀한 ... ...
비둘기 날개짓 실감나게 재현할 수 있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13.10.23
유추하는 데도 쓰일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번 연구는 컴퓨터 그래픽스 분야
권위
지 ‘ACM 트랜잭션스 온 그래픽스(ACM Transactions on Graphics)’ 9월호에 실렸다 ... ...
[고려大 미래과학 콘서트]다차원 분광학 분야서 독보적 성과
동아일보
l
2013.10.21
명이다. 국내 최초로 다차원 분광학(分光學) 연구를 시작한 조 교수는 이 분야를 개척한
권위
자로 꼽힌다. 서울대 화학과를 졸업한 조 교수는 같은 대학 대학원에서 유기화학을 전공해 석사 학위를 받았다. 하지만 박사과정을 시작하면서 물리화학으로 전공을 바꿨다. 조 교수가 분광학에 관심을 ... ...
[고려大 미래과학 콘서트]세포 사멸 연구분야 세계적
권위
자
동아일보
l
2013.10.21
교수 최의주 고려대 생명과학부 교수(56·사진)는 세포 사멸 연구분야의 세계적
권위
자로 꼽힌다. 그는 지난 20여 년간 ‘세포는 왜 죽어야 하는가’라는 질문에 대한 답을 찾으려고 끊임없이 연구해왔다. 1990년 미국 하버드대 대학원에서 생화학·약리학 박사학위를 받은 뒤 지금까지 세포의 생성과 ... ...
[고려大 미래과학 콘서트]연구활동에만 매진 환경마련… ‘과학명문’으로 거듭난다
동아일보
l
2013.10.21
SCI)급 논문 점수를 평가할 때엔 기존 관행보다 최대 300점까지 점수 폭을 늘려 세계적으로
권위
있는 저널에 실린 논문에 대해서는 확실한 보상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했다. 연구자들이 호봉승급을 위한 의무적 논문 제출에 구애 받지 않게 하기 위해 남는 점수는 추후에 활용할 수 있도록 개편한 것도 ... ...
[고려大 미래과학 콘서트]주요 참석 연사 6人
동아일보
l
2013.10.21
MFS 2013에 참여하게 돼 영광이다. 20년 넘게 쌓아온 내 연구업적을 전달하는 한편 다른
권위
자들의 연구 노하우까지 습득하는 귀중한 자리가 될 것 같다. 기대가 크다”고 말했다. 신진우 기자 niceshin@donga.com 면역학 분야 혁신적 연구 주도하는 학자 이경미 고려대 의대 생화학교실 교수는 면역학 ... ...
차세대 총천연색 디스플레이 상업화 길 열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13.10.18
서울대 공동연구팀이 이번에 개발한 차세대 친환경 양자점 LED. 유독성 중금속인 카드뮴을 이용하지 않는 친환경 방식으로 효율이 높은 LED를 만들어 냈다. - ... 길을 열었다”고 설명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미국화학학회에서 발행하는 나노 분야
권위
지 ‘ACS Nano’에 지난달 실렸다 ... ...
“영재교육, 문.제.발.견.력. 키워야”
동아사이언스
l
2013.10.15
열정을 발판 삼아 ‘상업적으로’ 변질되는 경우가 많다는 것이다. “정말로
권위
있는 과학 관련 대회나 행사를 만들고 위계를 정하는 등 노력이 필요합니다. 대통령상, 국무총리상, 장관상 등을 무분별하게 남발하는 것도 문제지요. 열심히 하고 잘하는 영재들에게 상을 주는 것도 필요하지만 ... ...
세계 최고의 학술지는 어떻게 탄생했나 ① 사이언스
동아사이언스
l
2013.10.11
통과해 사이언스 게재의 영예를 얻는 논문은 단 10%에 불과하다. 이 연구원은 “
권위
자의 의견을 토대로 진행되는 이런 검증 방법이 주관적이라는 점에서 최근 전 세계 누구든 논문을 평가할 수 있는 ‘오픈 액세스’ 같은 게재 방식도 생겼다”면서도 “그럼에도 여전히 과학자들이 가장 ... ...
이전
90
91
92
93
94
95
96
97
9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