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한국말"(으)로 총 4,075건 검색되었습니다.
- [Culture] 혼밥족을 부탁해, 3대 간편식 분석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적당한 크기로 토막 낸 갈비를 삶아 달콤짭짤한 간장 양념에 각종 야채를 넣고 1시간 이상 푹 끓여내야 갈비찜이 완성된다. 갈비를 제외한 야채 등 각종 재료만 8가지, 여기에 10종 이상 양념을 섞어야 갈비찜용 특제 양념장이 완성된다. 바깥에서 먹기에도 가격이 만만치 않다. 소(小)자 기준 평균 2 ... ...
- [Culture] 이황화결합과 가교결합, 크루아상 & 애플파이과학동아 l2018년 01호
- 깊고 진한 향의 에스프레소 한 잔과 딱 어울리는 크루아상. 프랑스어로 ‘초승달’이라는 이름답게, 통통하면서도 양 끝이 뾰쪽하게 말려 있는 모양이 친숙합니다. 손으로 집으면 무척 가볍고, 손끝에 약간만 힘을 줘도 껍데기가 얇게 부서져 가루가 날립니다. 그런데 속살은 무척 부드럽습니 ... ...
- Part 1. 1998~2018, 해시태그로 본 20년의 기록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익스피디션 익스피디션(Expedition)은 임무 수행을 위해 ISS로 향하는 우주인들로 구성된 탐사대를 말한다. 지금까지 15개국 239명의 우주인이 54회의 익스피디션을 완수했다. 거액의 자비를 들여 민간 우주비행사 자격으로 ISS에 방문한 사람도 7명이나 된다. ‘익스피디션 1’은 밀레니엄이 시작되 ... ...
- [필즈상 미리보기] 필즈상 0순위, 어린 나이가 변수수학동아 l2018년 01호
- 수학자가 점치는 필즈상 0순위는 독일의 수학자 페터 숄체 교수입니다. 2017년 12월 19일 기준 910명이 참여한 2018 필즈상 예측 투표 사이트에서 538표를 받아 압도적으로 선두를 달리고 있지요. 참고로 2위인 호주 수학자 게오르디 윌리엄슨 교수의 득표 수는 175표입니다. 많은 수학자가 필즈상 수상 ... ...
- Part 4. [활약3] 우주쓰레기를 줄여라!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2호
- 큐브샛의 활약은 정말 무궁무진하군. 그런데 잠시만! 큐브샛이 먼 우주까지 갔다가 임무를 끝내면 그대로 우주에 남게 되는 거야? 우주로 간 수많은 큐브샛이 쓰레기가 된다면 지구 주변은 온통 우주쓰레기로 가득할 텐데…. 과학자들, 우주쓰레기를 고민하다! 우주로 발사되는 큐브샛이 급격하 ... ...
- Part 5. 별처럼 반짝반짝~ 캔, 인공위성이 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2호
- 이제 나도 큐브샛이 되어 하늘의 별이 되고 말 거야.그런데 지금까지 본 큐브샛은 나와 생김새가 많이 달라. 과연 음료수 캔인 나도 인공위성이 될 수 있을까? 음료수 캔으로 만드는 인공위성, 캔샛캔으로 만든 큐브샛도 있어요. 음료수 캔(Can)으로 위성(Satellite)을 만들었다고 해서 두 단어를 합 ... ...
- Part 3. 폭염, 막을 수 있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5호
- 가장 큰 원인인 지구 온난화가 멈추지 않는이상 폭염은 계속될 거예요. 앞으로 폭염은 얼마나 더 심해질까요? 또 폭염을 막기 위해서는 무엇을 해야 할까요?멈추지 않는 지구 온난화, 폭염은 얼마나 강해질까?세계 기상을 연구하기 위해 만들어진 국제기구인 IPCC는 최신 보고서를 통해 지구 평균기 ... ...
- Part 3. [변신 3단계] 수박으로 움직이는 자동차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우리의 변신은 다양한 수박을 만드는 데에서 그치지 않아. 먼 미래에는 우리를 이용해 자동차를 움직일지도 모른다구~! 무슨 말이냐고?버리는 수박으로 자동차를 부릉~!2009년, 미국 농무부 웨인 피시 연구원팀은 수박즙을 이용해 바이오에탄올을 생산하는 방법을 발표했어요. 한 해 동안 미국 농장 ... ...
- [DJ CHO의 롤링수톤] 김소희의 ‘춘향가’ 판소리 명창의 비법수학동아 l2017년 12호
- 지금으로부터 100년전 인 1917년 12월 1일, 전라북도 고창 흥덕에서 역사가 될 소리꾼이 태어납니다. 김소희 명창입니다. 판소리뿐 아니라 무용과 서예 등 전통예술이라면 분야를 가리지않고 뛰어났던 김소희 명창은 1972년에는 한국 국악 최초로 미국 카네기홀에서 공연을 합니다. 판소리는 우리나라 ... ...
- Part 2. AI, 인공신경망으로 뇌 뛰어넘나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이름 모름. 여성. 32.1세. 행복과 약간의 공포(fear).” 10월 말,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인지로보틱스연구부의 한 실험실. 얼굴 인식 인공지능(AI) ‘딥미러(deep mirror)’가 처음 만난 기자의 얼굴을 분석한 결과다. 얼굴 정보만으로 용케 여성임을 알아봤다. 활짝 웃으면서도 내심 긴장했던 기자 ... ...
이전90919293949596979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