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태양"(으)로 총 4,409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모래, 어디에 쓰이는 걸까?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0호
- 번째로 많은 원소라서 얻기가 훨씬 쉬워 가장 많이 쓰여요. 반도체는 스마트폰, 컴퓨터, 태양전지 판 등 점점 더 많은 곳에 쓰이고 있어요. 그 결과, 지난 5년간 전세계의 규소 사용량은 30% 정도 증가했답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바다가 들썩들썩~, 사라진 모래를 찾아라!Part ... ...
- Part 4. 소행성 찾으러 우주로!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9호
- 물질로 이뤄졌을 가능성이 커요. 그래서 목성 트로이군에 속하는 소행성들을 조사하면 태양계가 생겨날 때 어떤 일이 있었는지 추측할 수 있죠. 2025년에 소행성대에 도착한 뒤, 2027년~2033년까지 목성 트로이군의 소행성을 관찰할 예정이랍니다. 2023년에 발사 예정인 프시케는 소행성대에서 가장 ... ...
- Part 2. 핵실험 얼마나 세길래?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9호
- 폭발시킨 결과, 폭발 위력은 TNT 20kt이었어요. 이 실험을 지켜본 과학자들이 “1000개의 태양이 폭발하는 듯하다”고 표현할 정도로 강력했죠. 이후로도 과학자들은 계속해서 더욱 강력한 핵무기를 개발해 왔어요. 그 결과 증폭 핵분열탄과 수소폭탄이 등장했지요. 원자폭탄이 플루토늄과 우라늄의 ...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인류와 함께 4000년! 쇠, 철, 강-철의 문화사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9호
- 지구 내부의 90%를 차지하는 철이 자성을 갖기 때문에 생긴 거랍니다. 지구의 자기장은 태양의 자외선이 지구 대기로 들어오지 못하게 막는 역할을 해요. 만약 자기장이 없다면 자외선이 쏟아져 들어와서 지구에 생명체가 살 수 없을 거예요. 김강현 기자(도성초 3)는 “철의 다양한 역사 중에서도 철 ... ...
- Part 5. 소행성에서 광물을 캔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9호
- 채굴 기술로는 이렇게 깊숙이 있는 금속 자원들을 채취하는 것이 어렵지요. 소행성은 태양계의 행성들이 만들어지고 남은 물질들이 뭉쳐져서 만들어지는데, 여기엔 철을 포함한 금속 물질이 많이 포함되어 있어요. 그래서 소행성 중에선 금속 자원이 풍부한 경우가 많답니다. 또한 소행성은 큰 ... ...
- 한눈에 보는 교과 맵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9호
- 가 교과서와도 밀접하게 연결돼 있다는 사실, 알고 있나요? 재미있게 읽은 기사와 만화가 어떤 교과단원과 관련돼 있는지 ... 경도 15°마다 1시간씩 차이가 생겨요. 이때 그리니치 천문대의 본초자오선을 기준으로 태양의 움직임을 계산한 시각을 ‘세계시’라고 한답니다 ... ...
- Part 2. 지구를 아슬아슬하게 스쳐가는 소행성?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9호
- 화성과 목성 사이의 ‘소행성대’에 존재해요. 그런데 가끔 목성의 강한 중력이나 태양열, 빠른 자전에 의한 쪼개짐, 주변 소행성과의 충돌 등으로 궤도가 틀어지기도 한답니다. 그러면 소행성대 밖으로 빠져나와 지구 가까이로 날아오기도 하지요. 다행히 2012 TC4가 지구에 피해를 줄 가능성은 매우 ... ...
- [가상인터뷰] 카시니 호, 토성에서 최후를 맞이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9호
- 아주 많아요. 무려 60개가 넘지요. 그중에서도 ‘타이탄’이란 위성이 가장 커요. 태양계 행성인 수성보다도 더 크죠. 일리: 토성에서 너는 어떤 일을 했니? 카시니 호: 수많은 자료들 중 가장 주목받은 성과는 위성인 엔셀라두스에서 생명체의 가능성을 발견한 거예요. 저는 얼음 위성인 ... ...
- [현장 취재] ‘지구를 위한 과학’ 메이커 프로젝트 내 손으로 야생 동물을 지켜요!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9호
- 이천 양정여고 2), 이다현(이천 양정여고 1) 학생은 학교 안 위험지역에 설치한 ‘친환경 태양광 잔디등’을 발표했어요. 청각 장애로 교통사고를 경험한 장윤석(고양 신능중 2) 학생은 ‘야생동물 로드킬 방지 시스템’을 소개했지요. 장윤석 학생은 “내가 동물을 도울 수 있다는 사명감을 가지고 ... ...
- Part 3. 스마트폰만 있으면 나도 과학자!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8호
-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답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달이 태양을 꿀꺽! 개기일식Part 1. 축제 같았던 2017 개기일식Part 2. 코로나의 비밀을 밝혀라!Part 3. 스마트폰만 있으면 나도 과학자!Part 4. 개기일식, 영화가 되다Part 5. 개기일식을 만들어라! 인공 ... ...
이전909192939495969798 다음